중국의 버섯 총생산액은 2,356억 위안(2014년)으 로서 2000년(227억 위안)에 비하여 10배 증가하였 으며, 년 평균 18.2%의 속도로 발전하였다. 품목 은 표고, 느타리, 풀버섯, 털목이 등과 같은 대중 품목과 은이, 맛버섯, 노루궁댕이, 먹물버섯, 백령 고, 큰느타리, 차신고, 죽순, 신령버섯, 산느타리, 독청버섯아재비, 장근고, 느티만가닥버섯 등과 같 은 희귀버섯이 있으며 영지, 천마, 동충하초, 복령 을 대표로 하는 약용버섯과 송이, 그물버섯, 송로, 곰보버섯을 대표로 하는 야생버섯 산업도 발전시 켰다. 중국의 버섯 총 생산량은 1978년에 6만톤 (전세계의 5.66%)에 불과하였으나 1990년에 100만 톤을 돌파하였다. 2004년도에는 2,828만톤으로 세 계 총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2014 년에 3,532만톤에 달하는 등 생산량은 년평균 성 장속도는 12.7%이다. 중국에서 버섯 생산량이 제 일 많은 성은 하남성이며, 복건성은 중국에서 제 일 먼저 버섯을 재배했으며 품목이 제일 많고 생 산방법과 기술수준이 제일 높은 지역이다. 이 외 에도 산둥성, 하북성, 강소성, 사천성, 흑룡강성 등도 생산량이 100만톤을 넘기고 있으며 이들 지 역에서 생산는 버섯은 중국 전체 생산량의 63% 를 차지한다. 중국에서의 육종분야에서 유량균주 선발은 버섯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사업으로서 육종가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흑목이, 느티만가닥, 복령 등 새로운 품목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식용 균 재배용 종균 배지의 배합과 이용, 재배방법의 개진, 전간관리, 병충해방제 등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성과들을 취득하였다. 버섯에 함유한 활성 물 질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 러일으키며 생물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는 수백가 지에 달하고 이미 몇천가지 활성물질이 내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내 표고 생산비율은 23.52% 수준으로 느타 리(16.7%), 양송이(7.0%), 팽이(7.7%), 흑목이(17.7%) 등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2104년 기준 769만톤이 생산되었다. 중국 표고는 주로 베트남, 홍콩, 말레 이시아 등에 수출되고 있으며, 호북성과 하남성의 수출이 많은 편이다. 중국의 표고산업은 복건성, 절강성, 강소성 등 연해지역으로부터 시작하여 1995년도에 중국 식용균협회에서 “남고복이” 전 략을 제정하여 현재로는 전 중국에 확산되었다. 중국 각 지역의 농산품 도매시장 내에 버섯 전문 도매구역을 가지고 있는 시장이 100여개에 이르 며, 신파디(북경), 조안시장(상해) 등 규모가 비교 적 큰 도매시장이 20여개 정도이며, 버섯 주산지 지방정부에서 건설한 절강성 경원현, 하남성 비양 현, 흑룡강성 동녕현 등 버섯전문 도매시장도 37 여개에 이른다. 판매경로별 유통은 각 지역의 농 산품 도매시장 (40%)과 각 지방 야채시장(전국적 으로 약 5만개, 30%)의 비중이 높으며, 이외에도 직접판매(호텔이나 식당가를 대상으로 주요하게 는 대도시와 연해지역의 경제 발달 지역, 약 12.5%), 각 지역 백화점(전국적으로 약 3만개, 2%), 통조림이나 가공품(10%), 보건식료품이나 가 공품(약 0.5%), 수출(약 5%) 등으로 유통된다.
일본의 표고 생산량은 68,285t(2015년)이 생산되고 있다. 1986년에는 원목에서 생산되었으나 2015년 현재 원목표고재배는 11%에 불과한 반면 톱밥생 산은 89%에 도달한다. 주식회사 홋겐의 톱밥표고 종균 판매 점유율은 50%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재배기술과 주요 품종의 특성에 대 일본의 표고 해 알아보고자 한다.
In Korea, the production of edible mushrooms was estimated to be 614,224 ton a year. In addition, yield of L. edodes (Shiitake mushroom) was estimated to be about 37,000 ton a year. The shiitake mushroom (Phyogo mushroom in Korea) has mainly been cultivated on tree logs. However, recently, bag cultivation using sawdust is rapidly increasing yearly due to its high yield and easily process and currently, the sawdust cultivation of Phyogo mushroom is approaching to almost 50% of the cultivation in Korea. The mushroom growers faced on disposal problem of the SMS and required the available measures to recycle it without environmental hazard.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is the post-harvest substrate and retains a variety of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extracellular enzymes, antibiotics, secondary metabolites and carbohydrates produced during mycelium and fruiting body formation. Approximately, 5 kg of mushroom substrate are needed to produce 1 kg of mushroom, and consequently about 25 million tons of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is produced each year in Korea. Because this massive amount of SMS is unsuitable for reuse in mushroom production, it is either used as garden fertilizer or deposited in landfills, which pollutes the environment. SMS can also be considered as an easily available source of active compounds to protect plants from fungal and bacterial infections, helping alleviate the waste disposal problem in the mushroom industry and creating an eco- friendly method to reduce plant pathogens. We describe extraction of lignocellulytic enzymes and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SMSs of different edible mushroom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