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 세정 공정은 조선소 선박 건조과정에서 배관 설치 후 장비를 시운전하는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최종적으로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만약에 배관 내에 이물질이 있는 상태에서 장비를 시운전하는 단계로 넘어갈 경우 이물질이 고가의 장비에 유입되어 펌프 및 기어, 베어링 등이 파손되는 요인이 된다. 특히 펌프나 유압 밸브 같은 경우는 아주 작은 이물질이라도 장비 속으로 유입이 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며, 이런 장비 사고는 주변에 장비 운전을 하는 작업자의 인명사고까지 연계되어 중대 재해 의 잠재 원인이 되므로 조선소 고객인 선주들도 매우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 에서 기존의 배관 세정 공법에서 유세정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배관 내 세정 유체의 흐름을 증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버섯은 종류에 따라 재배 방법에 차이가 있는데, 양송이, 느타리 등 균상재배; 팽이버섯, 큰느타리, 느타리 등 병재배; 표고, 영지버섯 등 원목재배로 크게 구분한다. 우리나라에서 버섯재배는 균상재배 위주에서 1990년대 이후 병재배가 시작되었으며, 병재배도 90년대 말까지 3,000병/일 정도의 소규모에서 2000년 이후부터 2~10 만병/일 정도로 대규모 농장들이 설립되었다. 버섯 병재배 초기의 소규모에서는 배지 재료로써 톱밥, 미강 등 국내 부존자원을 활용하였다. 이후 대규모로 전환되면서 국내의 부산물 자원만으로는 안정적인 대량 공급이 어려워 콘코브, 비트펄프, 면실피, 면실박 등 다양한 재료들을 수입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배지재 료의 주요 수입국인 중국에서도 버섯 재배면적이 급증하면서 중국산 수입 재료의 가격이 3~5년 사이에 크게 올라서 수입국의 다변화는 물론 새로운 배지 자원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카사바(Cassava, 학명: Manihot esculenta)는 아메리카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브라질, 베트남 등 열대지방의 재배작물이다. 카사바는 수확기에 도달하면 잎과 잎자루가 떨어지고 지상부에는 줄기만 남는다. 카사바는 뿌리 부분을 식용으로 하는데, 지하 부의 뿌리는 카사바 가루, 빵, 타피오카 등을 만들며 알코올음료로 활용하기도 한다. 카사바줄기는 뿌리를 수 확할 때 산출되는 지상부의 부산물로서 땔감이나 울타리용 이외에는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어 새로운 활용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의 카사바 재배면적은 약 50만ha 정도이며, 카사바줄기는 ha당 10톤(건조) 정도를 추정하여 땔감 등으로 약 40%가 활용된다고 하며 나머지는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카사바의 주요 생산국에서 부산물로서 활용도가 낮은 카사바줄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하여 버섯 배지재료로써 톱밥의 부족분과 고가 수입품인 비트펄프, 면실피, 면실박 등에 대한 대체효과 및 이러한 수입 재료들의 가격인하 유 도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버섯 배지재료의 주요 수입국인 중국의 버섯 재배 급증에 따른 가격상승과 안정적 인 수입물량 확보에 대한 애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We improved the antenna efficiency of the Taeduk Radio Astronomy Observatory (TRAO) 13.7-m radio telescope by adjusting the antenna panels based on digital photogrammetric measurements. First of all, we measured the surface accuracy of the main reflector of this antenna at three elevation angles of 35°, 45°, and 60°. We performed a total of four sets of the photogrammetric measurements and panel adjustments. When adjusting the panels, we positioned the antenna to the zenith and applied the measured data sets at the elevation of 45°. We found that the antenna surface accuracy has been improved by a factor of ~ 3 times after the final adjustment in comparison with the value before the adjustments. And we also found that the antenna surface accuracy tended to be slightly better at the elevation angles of 35° and 60° than that at the elevation angle of 45°. After the final panel adjustment, the aperture and beam efficiencies of the telescope have has been improved from 35% to 44%, and from 41% to 51%, respectively.
In order to development medicinal Artemisia herbs of high quality, Korean A. annua L. were investigated with its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asic statistical data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This species, which is annual herb, is mainly distributed to marginal land, riverside, roadside, grassland. Ecological niche is low species in competition of the others. Its pollination is basically anemogamous, but is frequency pollinated by insect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as tap root, 1~3 pinnate compound leaf of ovate or narrowly ovate, stem is green, erect and solitary. Inflorescence is paniculate, receptacle is not hair. Capitulum, consist of ray floret and disk floret, is subglobose shape. Additionally, this species could be easily discriminated from related Artemisia herbs by the capitulum size. Ray floret is female, disk floret is bisexual. Flowering season is from August to October. Seed is achene unattached hair. Stem length ranged from 179 cm to 225 cm, an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branch were 17.14 ± 1.68 mm, 2.43 ± 0.51 mm, respectively.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14.5 ± 0.5 cm, 15.0 ± 1.0 cm, and leaf number of main stem were 48.06 ± 10.57 cm, respectively. Fresh weight of aerial parts and root were 364.7 ± 14.1 g, 32.6 ± 5.1 g, and its dry weight were 136.6 ± 10.0 g, 14.9 ± 2.34 g, respectively.
Several parts of Lythrum salicaria were used for this study. Scavenging activities on radicals, inhibitory activity on linoleic acid peroxidation and total phenol contents of extracts from root, flower, and aerial part were evaluated. Flower and root selected from in vitro assay were subjected to in vivo assay on CCL4-induced liver injury rat model for two weeks.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ion on rats produced large amounts of hepatic lipid peroxidation produc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mpared with normal rats. Treatment with root extract of L. salicaria (LSR) showed effective inhibitory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product. Administration with LSR extract significantly alleviated CCL4-induced increase in GPT activity which were more effective than silymar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oot and flower of L. salicaria have antioxidant and liver protecting activities, and root part is the most effective candidate to develop a new functional material.
An advanced extraction method by ultrasonic extraction with applied solid phase extraction (SPE) has been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simultaneous eight major ginsenosides, namely ginsenosides Rg1, Re, Rf, Rb1, Rg2, Rc, Rb2, and Rd in the root of Panax ginseng. Four extraction methods including n-BuOH reflux extraction (Method A), 70% EtOH reflux extraction (Method B), 50% MeOH reflux extraction with SPE (Method C), and 50% MeOH ultrasonication with SPE clean-up process (Method D) were investigated for the determination of eight major ginsenosides. Total contents of ginsenosides were highest by extraction of Method C as 2.408±0.011%. However, Method D was evaluated as relatively simpler and more efficient method due to short extraction time, small solvent consumption and less expensive, compared to conservative reflux method. Ginsenosides were also satisfactorily separated with good resolution and the accuracy range was between 1.05 and 4.06%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by Method D. SPE condition and HPLC condition were further optimized for determination of eight major ginsenosides by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Conclusively, ultrasonic extraction of 2 g sample of ginseng using ultrasonic bath and 1 loading for SPE was evaluated as proper condition for extraction of ginseng.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2종의 박하(M. viridis (spicata), M. piperita)를 대상으로 수행된 몇 가지 in vitro 항산화계에서의 활성, 총페놀 함량 및 수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uperoxide 라디칼에 대한 박하의 소거능은 M. viridis가 M. piperita 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물 추출물은 대조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우수하였다. 2.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 모두에서 M. viridis가 M. piperita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M. viridis의 메탄올 추출물은 롤α-tocopherol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3. 사람의 저밀도지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박하의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M. viridis가 M.piperita 보다 우수하였으며 M. viridis의 모든 추출물 (65.88%~77.59%, 37.69%~87.21%)은 α-tocopherol (28.37%~66.54%)보다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4. Linoleic acid의 산화에 대한 저해효과는 M. viridis가 M. piperita보다 높았으며 α-tocopherol의 활성에 근접하는 수준이었다. 5. 총페놀 함량은 M. viridis (17.95% & 10.18%)가 M. piperita (15.44% & 9.19%)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6. 추출물의 수율은 메탄을 추출물 및 물 추출물 모두에서 M. piperita (14.1% & 14.6%)가 M. viridis (13.3% & 13.5%)보다 높게 나타나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함량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할 때, 실험된 박하 중에서 M. viridis가 M. piperita보다 우수한 산업화 후보 자원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