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various hydrocarbon (HC) were measured from the ambient air at Mallipo beach after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on Dec. 2007. To determine HC levels in those samples, the analysis was made by SPME method aided by the GC/MS system. To produce quantitative HC data, all the calibrations were conducted in reference to toluene. The HC released from oil-covered soils were also analyzed by headspace method;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concentrations of paraffinic (9), aromatic (8) and miscellaneous components (5 compounds) were found above a few tens of ppb. In ambient samples, 10 compounds were measured which consisted of 8 paraffinics and 2 aromatics. And they have the maximum and minimum concentration that were 34.3 ppb (n-undecane) and 2.84 ppb (toluene). However, the concentration levels of the 2 aromatic compounds (toluene and xylene) measured during this study period were not distinguished from those commonly observed from ambient air. Based on our analysi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types an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hydrocarbons in ambient samples were in accord with those derivable from a large oil spill accident and the resulting weathering processes.
광양만 및 주변 하천에 존재하는 페놀류 화합물과 sterol 화합물의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lkylphenols (8종), chlorophenols (2종), bisphenol A (1종), coprostanols (2종) 및 cholesterol (1종) 등 화합물들을 분석대상물질로 선정하여 표층수와 표층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대상물질 중에서 nonylphenol과 dihydrocholesterol 화합물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
PCB 화합물 및 유기기염소계농약류는 난분해성이며 독성이 높은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질로서 환경 중에 배출되면 오랜 시간 잔류하게 된다. 대부분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은 우선적 관찰 및 규제 대상물질로 분류되어 지구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양만은 대단위의 공업단지가 밀집해있고 반폐쇄적인 지형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이 우려되는 대표적인 해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 모니터링에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퇴적물과 부착성 이매패류를 채집하여 분석함으
본 연구는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성별에 따라 영어듣기학습자가 듣기학습에서 사용한 듣기전략의 차이점과 영어듣기학습에서 사용한 듣기전략과 성별이 모의TOEIC 듣기성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설문을 Oxford(1990)의 듣기학습전략 중, 모의TOEIC 듣기전략에 알맞은 4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모의TOEIC을 치른 강원도 원주 소재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학습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신뢰도, 빈도분석, 평균비교,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TOEIC 듣기성적 Level Ⅱ집단이 Level Ⅰ집단보다 기억전략, 인지전략, 상위인지전략, 보상전략, 정의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대학생학습자가 여자대학생학습자보다 정의적 전략을 제외한 기억전략, 인지전략, 상위 인지전략, 보상전략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보상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전략들에서는 통계 적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별은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상관 관계를 가지지 못하였다. 넷째, 영어듣기학습에서의 듣기전략의 사용은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특히 인지전략과 보상전략의 사용은 모의TOEIC 듣기성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진적인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로 인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간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교육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다문화적 태 도와 다문화교육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적 태도 관련 12문항과 다문화교육인식 관련 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원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중에서 중학생 183명, 고등학생 249명, 그리고 대학생 221명, 전체 653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중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대학생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3의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다문화교육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상관관계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적 태도의 하위영역 중, ‘열린 자세’와 ‘관계존중’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순서로 평균 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에 한정적으로 영향 을 미쳤지만 대학생에게는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하위영역 중, ‘다문화교육 의 필요성 인식’,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교육의 목표 인식’, ‘다문화의 이해’, ‘세계화 인식’ 등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교육이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고등학생의 다문화인식에는 일부분만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다문화교육이 대학생의 다문화교육인식에는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발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이 위 치한 사회적 장에 실재한 잠재된 의미구조가 무엇인지, 또 그것이 어떻게 다문화청소년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각 사례의 경험 속에서 드러난 보편성과 특수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이 학업과 진로발달 경험에서 선택하고 실천하는 사회 구조적 행위의 인과적 메커니즘이 어떻게 경향성을 드러내는지를 재구성하였다. 이에 총 8명의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제 경험한 학업과 진로달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객관적 해석학’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사례의 재구 성 결과, 다문화청소년은 열악한 사회․경제적 삶의 긴급한 필요성에서 자유롭지 못해 학 업과 진로발달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단일민족이라는 국민국가의 특성은 다문 화청소년으로 하여금 생존을 위한 ‘문화 감추기 게임’과 ‘한국인 되기’라는 모종의 잠정협 정에 공모하도록 만들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과 진 로발달을 돕기 위한 실천 및 정책과제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들이 TOEIC 듣기평가에서 사용하였던 듣기전략의 남녀별 사용정도 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설문을 Bacon(1990)의 듣기학습전략을 참고로 하 고, Oxford(1990)의 듣기학습전략 중, TOEIC 듣기전략에 알맞은 28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2015년도에 모의 TOEIC을 치른 대학생 107명(남학생 25명과 여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생 남녀별 듣기전략의 사용정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구하였고 평균비교를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TOEIC 성취도 집단 간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28개 항목에 대하여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상위인 지전략 그리고 정의적 전략 모두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가리지 않고 남자의 듣기전략별 사용정도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전략별 선호도의 순서도 비슷하였다. 다만 세부적 전략별로 남녀 간의 선호도의 차이가 있었고, 정의적 전략의 경우에는 하위집단에서 여자의 사 용정도가 남자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