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evaluate lubrication of asphalt binder using WMA additives and compare their lubrication effects on two types of WMA additives and three types of asphalt film thicknesses. METHODS : This study is based on laboratory experiments and rheolog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esting materials are aggregate diskes, asphalt, and WMA additives. The main testing method is stress sweep test by using dynamic shear rheometer (DSR). RESULTS : Sasobit gives more lubrication effects on film thicknesses 0.2mm and under but LEADCAP does on film thicknesses over 0.3mm. CONCLUSIONS : LVE-Limit is a better parameter to discern the lubrication effects on the thin film asphalt thickness. Both Sasobit and LEADCAP WMA additives provide effective lubrication at the compaction temperature.
        4,000원
        3.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인도네시아는 해외건설시장에서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나라로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큰 관심을 가 지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에 의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체 투자 및 외자유치등을 통해 도로, 공항, 항만 등 국가 인프라 경쟁력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도로망 확충을 위한 노력을 하면서 에너지 절약 및 환경부하를 줄이는 새로운 도로포장기술인 중온 아스팔트 같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2011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인도네시아 도로연구소(IRE)는 기술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2012년에 인도네시아 중교 통용 맞춤형 개질 중온 아스팔트 포장 기술개발을 위한 협의 및 workshop을 가졌다. 그리고 2013년 현재 금호석유화학과 협력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인도네시아의 중교통용 맞춤형 개질 중온 아스팔트 첨가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본 논문은 맞춤형 개질 중온 아스팔트 첨가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인도네시아 시방기준인 Elastic Recovery에 대한 소개와 함께 이 기준을 만족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Elastic Recovery는 미국에서 개발한 AASHTO M320 수퍼페이브 아스팔트 기준이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경험적 시험법 중의 하나이다. Elastic Recovery는 신도측정하는 방법과 거의 유사하게 시료 준비를 하고 상온(25℃)에서 20cm까지 시료를 잡아 늘인 후 늘어난 시료 중간을 잘라 시료가 다시 탄성 회복되는 정도를 %로 확인하는 시험법이다. 인도네시아는 Elastic Recovery가 60% 이상이 되어야 개질 아스팔트 물성 기준을 만족하게 되어 있다. 본래 이 기준은 단기노화(RTFO 시험)된 개질 아스팔트를 시험하게 되어 있으나 시험한 결과에서 인도네시아의 개질 아스팔트가 60% 기준에 미치지 않아 RTFO 전과 후를 다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했다. Elastic Recovery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SBS 함량을 높이면 되지만 본 개질 첨가제는 30℃ 낮은 온도에서 다짐이 가능한 중온 아스팔트 기능을 요하기 때문에 중온화 기능을 가지는 재료와 Elastic Recovery를 만족하는 SBS 재료사이의 최적 비율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다양한 시험과 시도 끝에 Elastic Recovery를 만족하는 첨가제를 개발했고, 실재 혼합물의 다짐도 분석을 통해 낮은 온도에서 다짐이 되는 것을 확인할 예정이다
        4.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항 활주로는 항공기가 이륙할 때 부양하는데 필요한 양력을 얻거나 착륙시 감속하여 정지하기 위해 활주하는 포장면을 말한다. 여기서 활주(skid)라는 말은 항공기 제동 시 제동력이 항공기의 점착력보다 클 때 발생하는 항공기 바퀴와 접지면, 즉 포장면과의 사이의 미끄럼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항공기가 착륙할 때 항공기 타이어와 포장면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되면서 활주로 표면에 항공기 타이어 자국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항공기 타이어 자국이 퇴적된 형태를 Rubber Deposit(고무 퇴적물)이라 말한다. 발생 된 고무 퇴적물은 항공기의 착륙 시 미끄럼 저항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에서는 일일 항공기 착륙횟수에 따라 고무퇴적물 제거 주기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활주로의 미끄럼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고무퇴적물은 주기적인 제거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고무퇴적물을 제거하기위해서 전 세계의 주요 공항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무퇴적물 제거 방안으로써 Water jet과 같은 물리적 제거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Water jet 사용 시 고압살수로 인해 아스팔트 포장 표면부에 많은 파손 (박리 및 탈리 등)이 발생되어 활주로의 내구성 저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고압의 Water jet 사용 시 저항 가능한 내구성 및 고점도 아스팔트 포장을 위해 활주로용으로 적합한 내수성 아스팔트 바인더를 개발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본 물성 시험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는 고점도 특성을 가지면서도 낮은 온 도에서 혼합 및 다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용성 등급 결과 기존 배수성 아스팔트 바인더와 유사하거나 한 등급 높게 나타나 고온에서의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는 고온에서의 소성변형 저항성은 기존 아스팔트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수분에 대한 저항성 시험은 개발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가 기존 배수성 아스팔트 바인더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는 고점도 특성을 가지면서 고온에서의 소성변형 저항성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 저항성도 우수한 재료 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on the optimum asphalt content of warm-recycled asphalt mixture based on the Marshall mix design and to evaluate performance of warm-recycled asphalt mixture containing 30% RAP with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METHODS: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residual asphalt were evaluated in terms of penetration, softening point, ductility and performance grade (P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on the residual asphalt. Also, To evaluat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warm-recycled asphalt mixtures using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along with a control hot-recycled asphalt mixture, indirect tensile strength test, modified Lottman test, dynamic immersion test, wheel tracking test and dynamic modulus test were conduced in the laboratory. RESULTS : Based on the limited laboratory test results,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is effective to decrease mixing and compacting temperatures without compromising the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warm-recycled asphalt mixtures compared to hot-recycled asphalt mixture. Also, it doesn't affect the optimum asphalt content on recycled-asphalt mixture. All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warm-recycled asphalt mixture using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is similar to that of a control hot-recycled asphalt mixture. CONCLUSIONS: Overall, the performance of warm-recycled asphalt mixture using polyethylene wax-based WMA additive is comparable to hot-recycled asphalt mixture.
        4,000원
        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evaluate the compaction effects of asphalt binders using WMA additives and compare their compaction effects on two types of WMA additives, two types of testing temperatures, and three types of asphalt film thicknesses. METHODS : This study is based on laboratory experiments and rheolog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esting materials are aggregate disks, asphalt, and WMA additives. The main testing method is the stress sweep test by using dynamic shear rheometer (DSR). In addition, the testing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stress sweep results to evaluate lubrication effects are complex modulus and LVE-Limit. RESULTS : At both the first compaction condition (110℃, 0.3mm) and second compaction condition (80℃, 0.2mm) assumed, LEADCAP showed better compaction effects than Sasobit. CONCLUSIONS : The temperature 30℃ lower than general compaction temperatures can provide a better sensitivity for the evaluation of compaction effects. If a testing temperature and film thickness are grouped for the proper compaction conditions in the testing results, the compaction performance of each WMA additive can be more clearly discriminated in the grouped testing results matched with the grouped conditions.
        4,000원
        1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5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중온 아스팔트 포장은 국내·외적으로 현재 가장 관심대상이 되는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를 추구하는 도로건설분야의 그린기술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온 아스팔트의 물성평가를 아스팔트 덩어리 전체 거동으로 고려한 기존 침입도, 점도, 그리고 수퍼페이브에 의한 아스팔트 시험방식으로부터 벗어나 아스팔트 피막두께에 따른 물성평가로 시각을 바꾸어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결과분석에 따른 새로운 평가기준제안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개발한 DSR Moisture Damage의 실험 및 분석의 기본틀을 ARES장비를 통해 각 피막두께별 물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200μm와 400μm 사이에 물성의 급격한 변화를 볼 수 있는 한계피막두께가 존재하고 또한 가열아스팔트와 중온아스팔트가 가지고 있는 한계피막두께근처에서 발생하는 물성의 급격한 변화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기존 가열 아스팔트와 성질이 다른 중온 아스팔트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200μm와 400μm 사이 피막두께의 물성평가를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4,300원
        1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범세계적으로 아스팔트 포장분야의 대표적인 녹색기술인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포장기술을 재활용 포장기술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저탄소 중온 재활용 아스팔트 재생첨가제의 개발에 있어서 첨가제의 성상과 성분에 따른 기능과 조합을 통해 기능을 향상시켜 개발한 고상형 2종과 액상형 3종의 실내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아스팔트 바인더 시험 및 혼합물 시험을 통하여 5종의 저탄소 중온 재활용 아스팔트 재생첨가제의 기본 성능 및 물성을 확인하였고, 재생 아스팔트 포장에도 중온화 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1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presenting an environment as the probabilistic grids is effective to sense outlines of the environment in the mobile robot area. Outlines of an environment can be expressed factually by using the probabilistic grids especially if sonar sensors would be supposed to build an environment map. However, the difficult problem of a sonar such as a specular reflection phenomenon should be overcome to build a grid map through sonar observations. In this paper, the NRF(Neighborhood Recognition Factor) was developed for building a grid map in which the specular reflection effect is minimized. Also the reproduction rate of the gird map built by using NRF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a true ma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home environment to verify the proposed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