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 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간이 외부 환경이나 사건에 어떻게 반응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인 학문 분야만의 연구로는 인간의 인지 구조를 밝히기는 쉽지 않고, 공학이나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융합하여 꾸준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인간의 인지 구조를 탐구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인간의 자연언어를 지식베이스화 하여 하나의 망으로 구조화한 어휘의미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 요소의 속성 체계화에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동사 ‘지나다’를 대상으로 개념명을 설정하고 각 개념명에 소속(mapping)될 수 있는 다의(多義) 속성을 체계화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사 ‘지나다’의 각 개념명별로 기본 의미, 격틀 정보, 논항구조, 의미역, 공기하는 명사, 상적 속성, 상황유형 등의 요소를 살펴서 어휘의미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f the supplement formula may improve alcohol metabolism in healthy adult men.In a double-blinded, randomized, crossover study, subjects were administrated yeast extract mixtures (YEM, n=15), Hovenia dulcis mixtures (HDM, n=15), placebo (PLA, n=15), and control (CON, n=15) in an oral dose followed by one week washout periods. At each visit (0, 1, 2, 3, 4 week), subjects drank 450 mL, 20.1 percent alcohol after administered mixtures. Blood was drawn periodically (0, 0.25, 0.5, 1, 2, 4, 6, 15 hours). Fifteen subjects completed the protocol and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was lower in YEM (10 percent) and the HDM (5 percent) groups. The area under the curves (AUC) and Cmax for plasma ethan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YEM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 group. The AUC and Cmax for plasma acetaldehyd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YEM (45 and 54 percent) and the HDM (35 and 53 percent) groups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PLA (p<0.01). Together, these findings validate that YEM or HDM improved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syndromes, leading to reduce alcohol concentration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ithout adverse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게 국내의 플립러닝 연구를 통합하여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러닝 연구 95편을 선정하였고, CMA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립러닝 설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기간은 10주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토론시간은 25분-30분일 때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적용시 숙제가 부여될 때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 동영상은 교사가 직접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보다 기존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업 시 사전학습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영상시간, 사전학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대안 제시유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 제공유무, 학습자 수준에 따른 활동 제공유무, 심화, 보충학습 제공유무, 오리엔테이션 제공유무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할 때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