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 콘크리트의 감쇠비를 높이기 위한 재료 및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재료 및 방법으로 제작한 시험체의 감쇠비를 측정하여 폴리우레탄 혼입량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폴리우레탄으로 골재를 코팅한 후 공극을 시멘트 페이스트로 채우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폴리우레탄의 함유량에 따라 시험체를 제작하고 충격가진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체 제작을 통해 골재 무게대비 폴리우레탄의 양이 15%를 넘는 경우 폴리우레탄 층이 형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재료 및 방법으로 제작한 시험체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8.7배 높은 감쇠비를 나타내었으며, 폴리우레탄 층이 골재의 크기보다 두꺼운 경우 감쇠비가 20.08%까지 나타났다. 골재 무게대비 폴리우레탄의 양이 10%에서 20%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강성은 일반 콘크리트 대비 51%에서 6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종래의 간음(姦淫) 개념을 통해 2012년 개정 형법 내용 중 객체가 부녀 에서 사람 으로 확대된 강간죄 규정(형법 제297조)과 신설된 유사강간죄 규정(형법 제297조의2)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법률상 배우자 이외의 자와의 성교행위 라는 종래의 간음 개념을 2012 년 개정 전부터 논란이 되었던 여성으로 성전환한 자 , 법률상의 처 , 남성 피해자 문제에 대입(代入)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더 욱이 종래의 간음 개념을 유지하는 한, 개정 형법상 강간죄의 객체가 확 대되었다고 해서 기존의 논란이 완전히 종식될 수 없음도 살펴보았다. 이런 점에서 개정 형법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 간음 개념이 수 정·변경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간음 개념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 학설은 대체로 외국 입법례를 기초로 간음의 범위를 구강 ‧ 항문과 관련 된 성적 행위로까지 폭넓게 확대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간음 개념 은 시공(時空)에 따른 상대적 성도덕 관념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외국 의 입법례를 그대로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간음 개념이 지나 치게 확대될 경우 대부분의 유사성교행위가 간음 개념(강간)에 포섭된다 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음 개념을 합리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생 각건대, 간음 개념을 유사강간죄의 유사성교 유형 중 성기에 의한 또는 성 기에 대한 유사성교행위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따라 입법론적 으로 현행 3분류 체계를 취하는 형법 및 특별법의 유사(성교)강간 규정 을 삭제하고, 성적 침해 유형을 간음과 추행으로 2분류하여 성폭력범죄 를 강간죄와 강제추행죄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리 고 현행 유사강간죄의 구성요건과 관련하여 첫째, 그 불명확성에 대해 성적 자유의 침해라는 관점에서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둘째, 폭 행 및 협박의 정도에 대해서는 성적 침해 유형 중의 하나인 유사성교행 위의 불법을 검토함으로써 그 폭행 및 협박의 정도는 강간죄의 폭행 및 협박의 정도와 동일하다고 보았다.
        3.
        201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Ni alloys are widely used in numerous biomedical applications (e.g., orthodontics, cardiovascular science, orthopaedics) due to their distinctive thermomechan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he shape memory effect, superelasticity and low elastic modulus. In order to increase the biocompatibility of Ti-Ni alloys, many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s, such as the sol-gel technique, 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PIII), laser surface melting, plasma spraying,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have been employed. In this study, a Ti-49.5Ni (at%) alloy was electrochemically etched in 1M H2SO4+ X (1.5, 2.0, 2.5) wt% HF electrolytes to modify the surface morphology. The morphology, element distribution, crystal structure, roughness and energy of the surface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metry (EDS), X-ray diffractometry (XR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contact angle analysis. Micro-sized pores were formed on the Ti-49.5Ni (at%) alloy surface by electrochemical etching with 1M H2SO4+ X (1.5, 2.0, 2.5) wt% HF. The volume fractions of the pores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HF electrolytes. Depending on the HF concentration, different pore sizes, heights, surface roughness levels, and surface energy levels were obtained. To investigate the osteoblast adhesion of the electrochemically etched Ti-49.5Ni (at%) alloy, a MTT test was performed. The degree of osteoblast adhesion was increased at a high concentration of HF-treated surface structures.
        4,000원
        5.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보강한 높은 연성을 갖는 고강도 시멘트계 복합체의 재료강도와 인장변형거동을 실험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압축강도 80 MPa 수준의 재료 및 배합을 결정하였고, 보강 섬유로서 2 종류의 폴리에틸렌 섬유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밀도, 압축강도, 1축 인장변형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시멘트계 복합체의 인장거동과 균열 패턴은 보강 섬유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절한 폴리에틸렌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압축강도가 77.7 MPa 이고, 인장변 형성능이 7.9% 변형률인 시멘트계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단일 활성화제로 활성화시킨 슬래그 기반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초기재령에서 인장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활성화제 종류에 따라 재령 7일에서 균열강도, 인장강도, 인장변형성능에 차이가 있었으며, 규산나트륨을 활성화제로 사용한 배합이 가장 큰 인장변형성능을 나타내었다.
        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무기계 결합재 비율에 따른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무기계 분말 재료를 시멘트의 30 % 대체 혼입할 경우,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인장변형성능은 각각 93.2 MPa, 6.71 MPa, 및 7.65 %로 나타났다. 이는 시멘트만 사용한 복합재료보다 인장변형성능이 약 2.2배 향상된 결과이다.
        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arison of tensile properties between cement and cementless composite with polyarylate fib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ementless composite with polyarylate fiber showed lower strength and higher tensile strain capacity than the cement composite with polyarylate fiber.
        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resistance properties of UHPC and HDFRC.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HDFRC mixture has a higher penetration depth than the UHPC mixture, however, the HDFRC mixture has a higher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without perforation based on high ductility through multiple micro cracks.
        1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mping properties of preplaced concrete with W/C and coarse aggregate size was .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amping ratio of the C40 is 2.63%, which is 1.72 times higher than the damping ratio of the C30 of 1.53%. The higher the water cement ratio, the higher the damping ratio is. In addition, the damping ratio of the C-PA series is reduced by 17% to 60% as compared with the C-series. The difference of the damping ratio due to the coarse aggregate size in the C-PA series was found to be within the standard deviation
        1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detect carbonation region of concrete using a silhouette coefficient.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exhibited that the developed technique provided accurate detection of carbonation region of concrete.
        12.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sile properties of UHPC using by PE fib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UHPC with PE fiber has high tensile strain capacity compared with UHPC with steel fiber. PE Fiber content was not effective of the strength. But increase the PE fiber content was improved of tensile strain capacity.
        13.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는 높은 압축강도 및 높은 연성 등 재료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유망한 건설재 료로 분류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거동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 여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밀도, 압축강도, 일축인장실험 등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 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지만, 인장하중 하에서 알칼 리 활성 슬래그 기반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변형성능 및 인성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페이스트에 폴리에틸렌섬유를 보강하여 7.89 %에 달하는 높은 인장변형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oposed a technique to detect the carbonated concrete region in the image of concrete sprayed with phenolphthalein liqui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arbonation region can be detected accurately using the proposed technique.
        1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sile proper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addition of plastic bea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S beads induced the decrease of crack width and increase of number of cracks while maintaining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ain capacity.
        16.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UHPC according to fiber combin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E, PVA and basalt fiber mixtures have lower compressive strength than steel fiber mixture. Compres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of PE, PVA and basalt fiber mixtures were 0.95, 0.96 and 0.86, respectively.
        17.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와 유동성을 갖는 우수한 재료 특성을 나타내는 콘크리트이다. 그러나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비하여 낮은 연성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마이크로섬유의 조합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현무암섬유 조합에 따라 4가지 초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였고, 인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접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제조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기포를 생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밀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인장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현무암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균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가 의도하지 않은 기포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1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ber orientation on the tensile strength of PVA, PE and Basalt fib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fiber strength reduction coefficients of PVA, PE, and Basalt fibers were 0.171, 0.485, and 1.54, respectively.
        1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of basalt fiber surface treatment with fluorin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ly reduce the tensile strength through the basalt fiber surface treatment with fluorination.
        2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veloped an indirect measurement method for viscosity and yield-stress using an reduced v-funnel and mini-slump cone and proposed the correlation graph between v-funnel flow time and viscosity, mini-slump flow and yield stres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