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11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보호지역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며, 추가 지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완충지역이 상보성이 높아 보호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 는 경우가 적은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또는 잠재 보호지역 외 지역에 추가로 보호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별 보호지역이 보호지역으로서 고유한 생태계 또는 생물종 보전이 가능한지 각 보호지역의 생태적 대표성을 확인하고, 공간적으로 추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동물종까지 포함한 상보성 평가를 통한 보호지역의 질적 개선과 계속적으로 조사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보호지역의 효과성평가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197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봄철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기주선택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태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애멸구 약충은 둑새풀이나 벼에 비하여 보리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고 둑새풀과 벼사이에는 별 차이없이 식이선호성이 낮았다. 끝동매미충 약충은 벼 보다는 독새풀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었다. 2. 보리, 둑새풀 및 벼에 대한 애멸구의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간에 차이가 없었고 끝동매미충은 벼에 비하여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산란선호성이 현저히 낮았다. 3. 애멸구는 보리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고 우화율이 높았으나 둑새풀에서는 발육이 늦고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끝동매미충은 보리에서는 약충기 사충율이 로서 한마디리로 우화하지 못하였으며 둑새풀은 벼에 비하여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4. 보리에서 사육한 애멸구 성충의 평균수명과 평균산란수는 각각 32일 182개인데 비하여 둑새풀에서 사육한 것은 성충의 수명이 9일이었고 산란수는 불과 13개이었다. 둑새풀에서 사육한 끝동매층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5일, 평균산란수는 24일기이었다. 5. 벼 진흥의 유묘에서 얻어진 애멸구, 끝동매미충 성충을 보리와 둑새풀에 옮겼을 때 애멸구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27일, 둑새풀에서 9일이었으며 끝동매미층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8일, 둑새풀에서 12일이었다. 6. 월동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증식 가능 여부면에서 볼 때 애멸구는 보리를 좋은 기주식물로서 선택하나 독새풀은 그렇지 않으며 보리는 끝동매미충의 기주식물로서 그 가치가 낮아 세대의 증식이 크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11.6%으로 세대간차가 심하였으며 보리에서 5월 17일 접종구의 평균성충수가 였음을 생각할 때 기주의 생리적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이상으로 보아 애멸구의 선천적 증식능에는 세대간차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기주의 생리적 조건은 기상적 조건이나 천적과 아울러 밀도변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애멸구의 강한 이동성도 이와 같은 점과 유관한 것으로 추측된다.구방제효과가 월등히 좋았고 Omethoate보다는 Carbofuran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2. Carbofuran 1회 액상근부처리는 Carbofuran 2회 수면시용과 대등한 수도해충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3. A포장에서 보다 B포장에서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그것은 B포장에서의 약제처리시기가 이화명충 방제적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 같다. 4. Carbofuran 1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육기간에 걸친 수도해충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이었다. 따라서 양자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기간 중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 해 주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즉 1946년에 흰둥멸구의 대발생으로 충남, 전남지방에 피해가 심했으며 그중 피해액이 밝혀진 곳은 라주군에서 16만석, 서산군에서 19만석이었다. (당시 농사시험장 곤충담당관 이봉우씨 담, 현재선 교수 전) 1910년 이후의 우리나라에서의 벼멸구 생기록을 보면 항상 흰등멸구와 함께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의 예찰등성적을 보아도 함께 나타나 있고, 해에 따라 1975년도와 같이 벼멸구가 대발생하는 수도 있
        4,000원
        4.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컨설팅장학이 전국적으로 시행된 지 3년 차가 되는 2013년도의 시・도교육청별 컨설팅 장학 운영현황,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컨설팅장학의 질 제고를 위한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4개 시‧도교육청의 컨설팅장학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수행하였다. 컨설팅장학 운영현 황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크게 실행영역, 인적영역, 지원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도교육청 교육정책과 컨설팅장학의 연계, 컨설턴트 연수과정의 심화 및 영역 다양화, 컨 설팅장학 운영사례 공유와 확산을 위한 시・도교육청 간 교류 확대 등을 개선과제로 제언하였다.
        5.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hyl methanesulfonate (MMS) was fed to Drosophila melanogaster in order to investigate its toxic capability at developmental and adult stages, and the hereditary effect of toxicity and the potency for induction of sex-linked lethal mutation during the spermatogenesis by the means of an attached-X method. In the control group, the egg to adult viability of D. melanogaster was 95.2%, while 3.5mM and 5.0mM treated groups were 90.0% and 84.1%,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ir progenies (F_1), the viability was 96.9% in the control group, while 3.5mM and 5.0mM treated groups were 54.5% and 1.6%,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generations show significant physiological toxic effects in the next generation. In the parental generation, the developmental time was calculated 11.05 days in the control group, 12.43 days in 3.5%mM treated group, and 13.23 days in 5.0mM. In the case of F_1 it was estimated 10.35 days in the control group, and 11.43 days in 3.5mM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n two generations, the developmental time generally delayed as the dose of MMS increased. As to the sex-ratio,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MMS treated groups. The toxic values of adult stage showed which increased the frequency of mortality with MMS concentrations. The mortality at 120hr in the control group was 1.67% and it in 0.5mM MMS treated group 3.33%. In 2.5mM MMS treated group, it was 33.3% at 72hr, and it 95% at 120hr. The increase of the morality was shown from 72hr in 4.0mM treated group which was 100% at 96hr. There was the concentration-dependent induction of sex-linked lethal mutation during the spermatogenesis by means of an attached-X method, MMS had more pronounced effect in sperm and spermaid stages in D. melanog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