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상품광고에서 전문용어를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광고나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전문용어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를 접했을 때 보다 전문용어가 포함된 광고를 접했을 때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는지 반대의 경우인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전문용어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를 접했을 때 보다 전문용어가 포함된 광고를 접했을 때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상품광고에는 전문용어가 포함된 광고와 포함되지 않은 인쇄광고가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광고의 내용에는 전문용어에 관한 차이만 두었다. 스마트폰 전문용어로는 쿼드코어, DAC, 듀얼카메라, 베젤 등 4개의 용어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측정을 위하여 spss 21.0을 사용했으며 t-test와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용어 사용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대하여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상품 지식수준의 정도에 따라서 전문용어 사용에 따른 광고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는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 모두에 대해서 검증되었다. 이는 전문용어 사용이 현저성 효과를 일으킴으로써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창출한다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품광고의 메시지 전략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있어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유형에 따른 노인과 청년 모델에 대한 노인과 청년소비자의 태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광고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에 따라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가 광고태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 노인소비자는 제품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청년소비자는 제품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역시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노인소비자는 공익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청년소비자는 공익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역시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국사회가 급속도로 고령화사회가 되어가면서 국내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부나 기업, 공공단체들의 마케팅 활동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서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를 비교 연구한 것은 큰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이번 연구결과는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의 차이점을 보여주면서 비교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학이 광고를 집행할 경우, 광고메시지의 질이 중요하다. 이 광고메시지의 질이 대학을 가려는 수험생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일간신문에 게재된 4년제 대학과 2-3년제 대학광고물인 총 231개(4년제 대학:163개, 전문대학:68개)를 분석항목에 의거 분석한 결과, 대학광고메시지의 제작수준은 대학이 일방적인 메시지를 제작하여 광고를 노출시키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학광고메시지를 제작할 경우, 이성소구방법을 50%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고, 대학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콘셉트인 '특성화 대학'을 강조하는 광고 메시지를 개발하고, 대학광고 중 약 40%가 비주얼과 헤드라인의 조화를 이루지 못함으로 비주얼과 헤드라인 조화 비중도가 1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문광고지면을 구입하는데 막대한 광고비가 투입되기 때문에 대학의 홈페이지 웹주소를 반드시 명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라인 표현형식 중 효용·편익형식과 증언·실증형식을 확대하고 대학슬로건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의 유니크(unique)한 점들을 발굴하고 대학의 가치, 교육철학, 미래지향점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짤막한 대학슬로건을 개발하여 광고매체를 집행할 때 마다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유형에 따른 외국인과 한국인 모델에 대한 외국인과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를 비교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광고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에 따라 외국인 소비자와 한국인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에 대한 태도, 공익에 대한 태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 외국인 소비자는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공익태도에서 제품광고와 공익광고 모두 한국인 모델보다 외국인 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한국인 소비자는 제품광고에서는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서 외국인 모델과 한국인 모델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공익광고에서 한국인 소비자는 외국인 모델보다 한국인 모델에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의 매체 이용행태와 노인소비자 문제를 연구했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노인소비자는 일반적 정보 습득매체와 제품에 대한 정보 습득매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일반적 정보 습득 매체에서는 TV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제품정보 습득 매체에서는 지인·가족, 노인관련단체 등이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정보원과 제품에 대한 정보원 모두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TV, 지인·가족, 라디오, 노인관련단체, 신문, 인터넷,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 및 정신적인 노화로 인해 외출이 부자유스런 노인소비자의 경우 집에서 TV와 라디오 등 일반적인 매체에 의존하는 의존도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외출하는 경우도 지인·가족, 노인관련단체 등 관련되어 있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소비자의 소비자 문제에 대해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소비자가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소비자보다 소비자 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분석해 본 결과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소비자가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소비자보다 노인소비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득이 불안정한 노인소비자가 소득이 안정한 노인소비자보다 소비자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분석해 본 결과 소득이 불안정한 노인소비자가 소득이 안정적인 노인소비자보다 노인소비자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외국인 소비자의 소비생활 만족도와 매체이용 행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의 소비자 만족도는 소비생활 만족도가 불만족도 보다 약 30% 이상 높게 나타나서 국내 거주 외국인 소비자의 소비생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소비생활 불만족 원인 연구 결과 가장 큰 불만족 원인으로는 언어소통 어려움, 정보 부족, 경제력 부족, 외국인에 대한 배려가 없음, 문화적 차이 어려움, 피해, 불만처리 미흡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으로서 가지는 원천적인 문제, 즉 언어소통 어려움, 외국인에 대한 배려, 문화적 차이 등을 제외하고는 정보와 경제력 부족이라는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거주 하는 외국인 소비자의 일반적인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하는 매체에 대한 연구 결과 인터넷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TV, 신문, 라디오,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정보원에 대한 연구 결과 매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고 지인, 가족 , 자신의 경험, 외국인 모임이나 단체, 외국인용 안내책자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체를 제외하고는 본인을 포함한 가족이나 지인을 통해 얻는 비중이 높아 외국인 소비자의 경우 제품에 대한 정보는 본인을 포함한 인적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매체에 대한 연구 결과 인터넷이 가장 높았고 TV, 신문, 라디오,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