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베라 주산지인 경북과 경남 지역의 농가 재배 및 스마트팜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2020년 81 농가를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거베라 경영주 연령은 50∼60대가 71.6%로 가장 많았고, 30∼ 40대가 16%, 70세 이상이 9.9%, 30세 이하는 2.5% 순이었다. 거베라 재배 경력은 5년 이하가 37%였으며, 6∼10년 25.9%, 11∼20년 29.6%, 21년 이상 농가가 7.4%였다. 재배 면적은 0.3 ∼0.6ha가 61.7%로 가장 많았고, 0.3ha 미만이 30.9%, 0.6ha 이상이 7.4%였으며, 전체 평균재배 면적은 0.37ha였다. 거베라 재배 농가당 평균 인력은 자가 노동력 2.1명, 고용 노동력 0.8명 이었다. 재배 방식에서 토경 88.9%, 양액재배 농가는 11.1%였다. 국산품종을 전체 또는 일부라도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61.7%였고 외국산 거베라 품종만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38.3% 였다. 거베라 병해충 발생조사에서 병 발생이 많았다고 응답한 농가는 91.4%였으며, 충 발생이 많았다고 응답한 농가는 98.8% 였다.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치한 농가는 12.3%였으며, 설치하지 않은 농가에서 향후 설치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농가는 76.9% 였다. 향후 경영계획을 묻는 질문에서 현상유지 80.2%, 축소 8.6%, 경영확대 11.1%였으며, 경영 확대를 대답한 농가는 경북 지역이 8농가로 경남지역 1농가 보다 많았다.
        4,000원
        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추재배 경영비 절감방안을 모색 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중국의 일시수확재배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2. 중국의 新疆自治區 博湖縣과 吉林省 南市를 직접 방문 하여 新疆지역은 10농가를 조사하여 그중 7농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吉林지역은 15농가를 조사하여 11농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3. 재배형태는 新疆은 주간 25 cm × 조간 41 cm × 이랑넓이 110 cm 이며, 吉林은 주간 26 cm × 조간 63 cm × 이랑 넓이 118 cm로 재배하고 있다. 新疆지역은 평지에 고추를 심고 난 후 이랑만 만들어 주는 형태이지만 吉林지역은 두둑을 형성한 후 두둑의 가장자리에 고추를 식재한다. 또한 新疆지역은 1포기에 2주를 심지만 吉林지역은 1포기에 1주만 식재 하고 있다. 4. 노동력투입은 新疆지역이 10a당 자가투입노동은 5.7일, 고용노동은 4.5일으로 총 10.2일이다. 吉林지역은 자가노동 4.0일, 고용노동 3.4일으로 총 7.4일을 투입하고 있다. 연간 6회 정도 수확하는 한국에 비하여 중국은 1회만 수확하기 때문이다. 5. 경영성과는 新疆지역의 건고추 생산량은 666 kg/10a 이며, kg당 8.3위안에 판매하여 조수입은 5,530위안이며, 경영비는 3,901위안이 투입되어 소득은 1,630위안으로 분석되었다, 吉林 성은 농가에서 건고추 또는 생고추를 생산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건고추 7농가, 생고추 4농가의 평균 조수입은 4,684위안 이며, 경영비는 2,579위안이 소요되어 소득은 2,105위안으로 나타났다. 新疆지역은 생산량이 높으나 투입비용 역시 높아 소득이 吉林지역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상과 같이 중국에서는 대부분 일시수확 재배체계를 적용하여 고추를 생산하고 있다. 경영비 중에서 수확에 투입되 는 비용이 적기 때문에 전체 경영비가 우리나라에 비해 적게 투입되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기후와 토양이 달라서 일시수확 재배법을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비가림 온실재배, 일시수확 품종 개발 등과 같이 문제점을 개선하여 도입한다면 경영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의 평도시(平度市) 및 신강성 집단 재배농장을 대상으로 주요 채소 농산물인 고추, 마늘, 양파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생산 관리체계 및 기술 수준을 비교·분 석하였다. 2. 고추의 경우 한국은 묘를 구입하여 정식하는 비율이 높 지만 중국은 대부분 자가 채종 후 자가 육묘를 하는 체계이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한국은 수확을 10일 간격으로 5 ~ 6회 하 지만, 중국은 일시 수확하여 수확노동력을 줄이고 있다. 고추 의 경영비와 생산비 비교에서는 각각 한국이 3,975원/kg, 11,686원/kg이며, 중국은 519원/kg, 1,895원/kg으로 한국의 경 영비가 7.3배, 생산비는 6.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중국의 마늘 파종량은 한국에 비해 3배 이상으로 밀식파 종을 한다. 재배 이랑은 한국은 넓은 이랑이며, 중국은 2줄 좁 은 이랑에서 재배 하고 있다. 멀칭은 한국이 기계멀칭을 64% 하고 있으나 중국은 인력을 이용한 멀칭을 하고 있다 마늘의 경영비와 생산비 비교에서는 각각 한국이 1,128원/kg, 2,049원 /kg이며, 중국은 310원/kg, 686원/kg으로 경영비는 3.6배, 생산 비는 3.0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양파는 중국이 한국보다 경지기반은 좋으나 호당 경지면 적은 0.14 ha로 매우 영세하다. 한국은 복비와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고 방제를 3 ~ 5회하는 반면, 중국은 계분을 사용하고, 살균, 살충, 제초 방제는 1회만 실시하고 있다. 육묘는 중국과 한국이 모두 구입종자를 이용한 자가 육묘를 하는 동일한 생 산체계이다. 양파의 경영비와 생산비 비교에서는 각각 한국이 199원/kg, 334원/kg이며, 중국은 46원/kg, 98원/kg으로 한국보다 경영비 는 4.3배, 생산비는 3.4배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