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외 동물보건사 자격제도와 업무범위에 대해 비교 및 분석하여 국내의 동물보건사 업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2024년 국내・외 논 문 및 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동물보건사의 자격제도와 업무 범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 였다. 이를 통해 다소 체계적이지 않은 국내의 동물보건사 업무 범위의 방향성을 제시하 기 위해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동물보건사 자격제도를 조사한 결과, 국내의 동물보건사는 동물 간호 관련 학과를 졸업 한 후 동물보건사 국가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미국은 수의 테크니 션 교육 및 활동에 관한 위원회를 졸업한 후 VTNE를 통과해야 하며, 영국은 약 7년 동안 수의 간호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본은 애완동물 간호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공부 한 후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하고, 호주는 수의학 간호사 관련 시설에서 교육받은 후 자격 을 취득할 수 있다. 동물보건사의 업무 범위는 국내의 경우, 수의사의 지도 아래 약물 도 포, 경구 투여, 마취 및 수술의 보조 등을 수행하고 있다. 반면 국외의 경우, 영국은 수의 간호사가 수의사의 지도하에 내・외과 처치를 할 수 있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여 이를 수행하고 있다. 호주는 간호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규제 요건에 대해 관련 주 또는 규제 당국에 확인 후 수행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수의사의 지시하에 침습적인 의료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동물보건사 업무 범위가 국외에 비해 미흡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 를 기점으로 업무 범위에 대해 법적으로 명확하게 규제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동물보건사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동물보호 사회의 인식을 높일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psychosocial distress and suggested the preventive oriental medicine approaches in occupational health area. <Methods>
We measured job characteristics(job demand, job control, jop insecurity) by The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health behaviors(smoking, drinking, exercise, coffee), general characteristics at work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sycho social distress was measured by PWI(Psychosocial Well-being Index), a 18-item selfadministered instrument. 370 data for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oriental health examination with questionnaire in workplac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t 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version 10.0) <Results> Among the 152 respondents, the prevalence of high job strain was 27%(41 persons). The Odds ratio of high job strain was 3.11(95 2.12∼4.11), and those of passive group and active group were 2.01(95 0.83∼2.76) and 1.80(95 0.83∼2.76), respectively. Our results sup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distress and job strain. <Conclusion> The odds ratio of high strain isolated group(high strain group+low social support) was 3.59(95 2.05 5.13), but the odds ratio of high strain collective group was 1.32(95 0.23 2.41). Social support at work was modifing factor of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 social distress and job strain. Therefore we reviewed the evidence that economic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psycho social distress in this study,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social support was important in maintain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