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s, DES)는 일반 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재협착을 현저하게 줄였지만, 여전히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은 비율이 높다. 2012년 1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일 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스텐트 재협착 환자 187명 그룹 I (약물코 팅 풍선카테터 사용, n=127명), 그룹 II (약물용출 스텐트 사용, n=60명)로 분류하여 치료효과, 주요심장사건, 사망 발생률, 심근경색, 표적병변 재개통술 그리고 스텐트 혈전등을 2년 동안 추적 분석하였다. 임상적 특성는 두 그룹간 차이는 없었고(21.1 ± 5.3 vs. 25.3 ± 9.6 mm, p<0.002), 혈관조영검사에서 약물코팅 풍선 카테터 사용 그룹에서 스텐트 재협착 길이가 짧았다. 주요심장사건은 8.7%vs.10.0%, p=0.789, 사망발생률 0%vs.0%,p=1.000, 심근경색 1.6%vs.6.7%, p=0.085, 표적병변 재개통술 8.7% vs. 10.0%, p=0.789 그리고 스텐트 혈전증 0% vs. 0%, p=1000에서 양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물코팅 풍선카테터가 약물방출 스텐트와 비교하여 2년 추적 검사 결과 주요심장사건에서 차이가 없었고, 약물코팅 풍선카테터는 스텐트 재협착 병변에서 약물방출 스텐트와 함께 선택할 수 있는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사료된다.
난 시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일반대중이 선호하고 있는 동양계 심비디움 난은 대부분 수입 또는 산채에 의존하여 고가로 판매되고 있고, 서양계 심비디움은 외국 품종에 대한 로열티 지불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가치가 있고 대량증식이 가능하여 외국산 품종을 대체할 수 있는 소형 심비디움 난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동양계 및 서양계 심 비디움의 교배종인 "동양"의 바이러스 무병주를 생장점배양에 의해 기내에서 대량증식을 하던 중, 잎무늬 돌연변
In order to develop near isogenic lines (NILs) the heterozygous rice plants for alkali digestibility value(ADV) were selected and tested in every generation from F5 to F9 of a cross, Seratus malam/Suwon 345. Finally several sets of NILs, which were six low ADV lines and four medium-high ADV lines, were selected among F10 lines. No differences of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amylose content and protein content of rice grain were found between low and medium-high ADV lines. Rice flour of low ADV lines showed longer gel length in gel consistency test than medium-high ADV lines, and also showed different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measured by rapid visco analyzer compared with medium-high ADV lines. The result of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ADV-NILs developed were differed in a pair of major gene controlling ADV, and low ADV was dominant over medium-high AD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