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is a globally important food crop susceptible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fection, which causes significant crop losses. Previous transcriptome and proteome analyses have identified several genes that show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s in susceptible and resistant cultivars in response to root-knot nematode (RKN) infection. Among the genes responsive to this process, sporamin (SPO) gene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abundant in the transcriptome analysis, and additional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SPO genes that showed specific responses to RKN infection were identified during nematode infection. In this study, we used SPO genes used in previous studies to identify expression patterns under various abiotic stress conditions. The expression of four SPO genes in sweetpotato leaves was investigated under conditions of drought, high salt, and stress-related chemicals treatment. The expression of G13675/TU22356, G34367/TU56356, and G34382/TU56395 increased similarly under dehydration and chemicals treatment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G34367/TU56358 was constantly expressed during the stress treated condi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n how the gene for the major protein SPO of sweetpotato responds to various abiotic stress conditions as well as nematode infection.
        4,000원
        4.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저리는 식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충기가 오래 지속되면 더 좋다. 반면에 거저리의 개체수 유지를 위 해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유충이 빨리 성충이 되면 더 좋다. 이 연구에서는 개체군 밀도가 거저리의 발달 시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상단 7 cm, 하단 5 cm, 높이 3 cm 크기의 용기를 사용했다. 거저리는 용기 당 1, 2, 5, 10, 20마리의 밀도로 용기에서 서식하였다. 용기에 밀기울 1 g을 넣고 거저리의 먹이 여부에 따라 라벨을 붙였다. 실험은 세 번 반복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유충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이 짧았 지만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먹이가 있는 그룹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 이 단축되었지만,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충기를 연장하기 위해 더 낮은 밀 도가 필요하고 더 빠른 속도로 성충이 필요하다면 밀도가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거저리의 발달 시간은 개체수 밀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6.
        2024.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advancements in therapeutic approaches, radiotherapy and cisplatin-based chemotherapy remain primary noninvasive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Moreover, the 5-year survival rate for patients with OSCC has remained almost unchanged for several decades, and many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still exist.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3D) models of OSCC were established using fibroblasts, and the efficacy of various biological inhibitors was evaluated. A culture of epithelial cells with two types of fibroblasts (hTERT-hNOFs and cancer-associated fibroblasts) within a type I collagen matrix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 continuous layer of tightly packed cells compared to models without fibroblasts. Furthermore, the effects of biological chemicals, including Y27632, latrunculin A, and verteporfin, on these models were investigated. The stratified formation of the epithelial layer and invasion in OSCC 3D-culture models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verteporfin, whereas invasion was weakly inhibited by Y27632 and latrunculin. Collectively, the developed OSCC 3D-culture models established with fibroblasts demonstrated the potential for drug screening, with verteporfin showing promising efficacy.
        4,000원
        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류는 서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 양상과 개체군의 군집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감지하는 지표종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한라산 아고산지역에 서식하는 나비 개체군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영실에서 백록담까지 9개 구간을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확인된 나비목 곤충의 출현 종수와 개체수는 총 5과 35종 15,943개체로 나타났으며 2018년이 다른 해에 비해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간별로는 선작지왓부터 윗세오름 통제소까지 구간 (D)에서 29종, 남벽통제소부터 백록담까지 구간(H)에서 4,590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A구간과 6월, 풍부도 지수는 D구간과 7월, 균등도 지수는 G구간과 7월이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종다양도 지수는 A구간이 가장 낮은 반면 그 외 구간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었고, 월별로는 7월이 가장 높았 다.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8개의 생물기후인자를 분석한 결과 주요 출현종의 분포는 강수량과 강수 일수가 개체 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변 국가인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에서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를 채집하던 중, 벼멸구와 형태가 아주 유사한 이삭멸구(N. muiri)와 벼멸구붙이(N. bakeri), 그리고 흰등 멸구와 형태가 아주 유사한 흰등멸구붙이(S. kolophon), 피멸구(S. vibix) 그리고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가 동시에 채집이 되는 등 형태적 차이점이 거의 없어 전문가도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형태가 유사한 상기 멸구류의 종 동정을 확실히 할 수 있는 PCR용 프라이머의 개발을 위해 벼멸구 및 흰등멸구의 미토콘드리아 내 COI 영역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고 종 동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environments (urban area, migratory bird refuge, and cowshed) in Gyeoungbuk from March to November 2022. A total of 4,701 female mosqutoes were collected: 1,635 from urban area, 2,801 from migratory bird refuge, and 265 from cowshed. Among collected 9 species, Aedes vexan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50.9%), followed by Culex pipiens complex (31.8%), and A. albopictus (7.1%). In urban area, C. pipiens complex was the dominant species at 75.5%, while A. vexans was the dominant species at 82.3% and 58.9% in respective migratory bird refuge and cowshed. Among 253 pools tested for flavivirus, Japanese encephalitis virus (type Ⅴ) was detected in one pool of C. orientalis collected from the migratory refug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