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4.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project of TRAO with the fifteen beam array receiver system is presented. A multibeam array receiver system has been purchased from FCRAO, and is being installed on TRAO 14m telescope. The target region of the survey is from ι=120° ~137°, b=-1°~+1°, and velocity resolution would be 1 km/sec after smoothing from the original resolution of 0.64km s-1in the transition of J = 1-0 of 13CO The survey region is a part of the 12CO Outer Galaxy Survey(OGS), and would be an extension of the Bell Laboratories 13CO Galactic Plane Survey. By combining with the existing 12CO database of the Outer Galaxy Survey, we will derive physical properties of identified molecular clouds and will conduct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Outer Galalxy molecular clouds. Reduction process and analysis methods will be introduced.
        3,000원
        1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norum Lam.)와 톨페스큐 (Festuca arundinacea Schreb.)의 속간 교잡종 3계통에 대한 약 배양을 실시하여 약 유래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 NAA 2 mg/, kinetin 1 mg/을 첨가한 캘러스 유도배지에서 배양 20일만에 약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 유도율은 평균 11.6%였으며, 캘러스의 크기는 평균 9.1 mg/callu
        4,000원
        1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축산기술연구소 사료작물 육종연구실에서는 1984년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기호성과 페스큐류의 높은 환경적응성을 결합하기 위해 Lolium X Festuca 잡종을 생산하였고, 1991년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태형을 수집하여 특성을 검정하고 계통화하여 왔다. 1997년부터 이들 교잡계통과 생태형 중에서 임성이 있고 내한성이 강하며 출수기가 비슷한 영양계통으로 교배조합을 작성하여 Polycross 삼각배치법으로 합성종 내한 6, 7, 8, 9호를 육성
        4,000원
        1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덜이리응애와 dicofol 저항성 및 감수성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바맥틴의 선택독성을 실험실 내에서 엽침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아바멕틴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낮은 반면,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살균효과가 높았다. 0.12 ppm과 0.6 ppm의 농도에서 점박이응애는 두 계통 모두 침지 후 48시간 0]내에 사망하였고, 0.06 ppm과 0.012 ppm의 낮은 농도에서 120시간 이후에는 77% 이상이 사망하였다. 그러나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은 0.12ppm에서는 생존솔과 활동력이 영향을 받지 않았고, 0.6ppm과 6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사망솔이 약 20~23%이었다. 아바맨틴은 산란후 l일 이내의 점박이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패화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산란후 4일된 란에서는 패화솔이 멸소하였다. 반면에0.006-6ppm 용액에 긴털이리응애 난을 침지한경우 난의 패화솔과 그 난에서 부화한 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의 암컷 성충을 0.6 ppm과- 0.12ppm에 침지했을 때 산란수가 줄어들지 않았으나 잠박이응애의 산란수는0.006-0.6 ppm의 농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바맥틴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선택독성이 높은 약제로 점박이응애의 결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점박이응애에 대한 아치사농도(0.012-0.06 ppm)는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멸구 생태형 1, 2, 3의 형태의 차이를 구별하고자 장시형과 단시형 암수를 대상으로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암컷은 생식 부위인 Abdominal lateral lobes의 좌우 부위를 비교 조사하였다. 수컷은 앞다리, 가운데 다리, 뒷다리 부절의 Unguitractor plate를 조사하였다. 생태형 2의 단시형 암컷은 Abdominal lateral lobes의 기부가 잘라진 것으로 생태형 1과 3보다 많았다. Unguitractor plate의 경우 생태형 2는 장단시형 암 수 모두 부절 안쪽으로 함입되어 있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