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boridia(두점박이애매미충) 속(노린재목: 매미아목: 매미충과: 매미충아과)의 국내 미기록 2종인 Arboridia lunula Song & Li, 2013 와 Arboridia agrillacea (Anufriev, 1969)을 기록한다. 성충의 사진과 함께 수컷의 생식기와 복부, 날개의 그림과 채집기록을 기재한다. 또한 국내 Arboridia 속의 검색표를 제공한다.
        3,000원
        2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Asiacentistes Belokobylskij(아시아넓은칼고치벌속: 신칭)(벌목: 고치벌과)를 보고한다. 그 중 Asiacentistes sinica Chen and Belokobylskij(긴칼집아시아넓은칼고치벌: 신칭)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동아시아내 분포 정보를 포함하였다
        3,000원
        2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큰턱고치벌속(벌목, 고치벌과)을 보고한다. 수원큰턱나무좀고치벌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1종 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3,000원
        2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Syntretus속의 Exosyntretus아속(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2종을 보고한다. 그 중 Syntretus (Exosyntretus) nevelskoii Belokobylskij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전세계 기록종 목록,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3,000원
        2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장님노린재과의 미기록속 Neomegacoelum 속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Neomegacoelum vitreum (Kerzhner, 1988)의 한반도 분포를 보 고한다.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 등의 형태학적 정보와 생태학적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3,000원
        2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viparous female and male of Stomaphis betulidahuricae Zhang and Qio, 1999 (Aphidoidea: Lachninae)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detail for the for the first time. Notes on distribution, biology and host plants are presented. Also, the morphology of the male genitalia are illustrated.
        27.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of Stomaphis (Aphididae: Lachninae) is stem or root feeding aphid on trees and can be easily distinguished in having the very long rostrum which extends beyond the length of body. Most of species are monoecious holocyclic without host alternation and attended by ants. Based on body appearance and COI gene sequence, we report a Stomaphis betulidahuricae Zhang and Qio, 1999 (Aphididae: Lachnina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n Carpinus cordata Bl., C. laxiflora Bl., and Acer palmatum Thunb.
        28.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양 서식 절지동물은 토양 생물상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개체수가 풍부하며, 토양의 형성이나 변화에 대한 역할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 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에서는 토양에 서식하는 절지동동물을 대상으로, 분류군별로 토양에서의 역할 정도 에 따라 고유의 지수를 할당하고, 이 지수들을 이용하여 토 양의 상태 판정에 활용하는 기법(QBS, Biological Quality of Soil)을 개발하여 토양생태계 관리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 며(Parisi, 2005) 우리나라에서도 이 기법을 도입하여 토양 의 질을 판정하는 시도가 있었다. QBS에서는 토양환경에 적응한 절지동물들의 적응 수준을 평가하고, 토양에서의 역 할과 적응 정도에 따라 분류군별로 목 수준에서 생태ㆍ형태 학적 지수(EMI, Eco-morphologic index)를 부여하기 때문 에, 토양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종수준에서 동정하는 어려움 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예를 들면 토양에 서식하는 미소절지동물들은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형태 학적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데, 체색이나 시각기구의 감소나 퇴화, 부속지(털, 더듬이, 다리)들이 감소하거나 빽빽한 형 태로 된 유선형의 체형, 비행능력이 퇴화하거나 없고 도약 이나 달리는 것의 적응, 그리고 큐티클 층이 얇고 바깥쪽 표면에 소수성 화합물이 부족해서 수분보유능이 감소한 것 등이다. QBS에서는 이런 토양환경과 관련된 특징들의 존 재 유무만 집중하여 조사하고 토양에 사는 절지동물을 복잡 하고 까다롭게 종 수준에서 동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토 양서식 절지동물 동정에 비전문가인 사람들도 손쉽게 시스 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사지역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QBS 값을 구하는 순서는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게 먼저 대상지역의 토양을 채취하고 미소절지 동물을 분리한 후 주로 목 수준에서 동정하고 최종적으로 분류군과 맞는 EMI를 계산하여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 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라, 토양 심층에 서식 하는 분류군(eu-edaphic)의 지수는 20, 중층서식 분류군 (hemi-edaphic)은 적응 정도에 따라 보통 5∼20, 표층에 서 식하는 분류군(epi-edaphic)은 1을 부여하였다. 낫발이목이 나 좀붙이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유사한 종들로 구성 된 분류군들은 단일 EMI를 갖는데, 이들은 심충에 서식하 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종들은 모두 20을 갖게 된다. 그렇 지만 톡토기목이나 딱정벌레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다른 종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종의 특성에 따라 다른 EMI 를 갖게 된다. 만약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분류군에 속하 는 다른 EMI를 갖는 생태ㆍ형태형이 존재하면 최종 점수는 높은 EMI를 갖는 분류군으로 결정하였다. 즉 최고로 토양 에 잘 적응한 분류군이 그 전체 분류군의 대표적인 EMI를 결정하는 것이다. 최종 QBS 점수는 모든 조사된 분류군들 의 EMI를 합산하여 산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4개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절지동물상을 조사하고 한국형 QBS시스템을 적용하여 토양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 2012). 제주도 내 토양 무척추동믈 채집은 4곳(St.1∼4)에서 진 행되었다. St.1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로서 한라 산 자락의 해발 664m지역으로 자연이 잘 보존된 지역으로 서어나무, 조릿대가 우점하였다. St.2는 제주도 제주시 오등 동 지역으로 한라생태숲 내의 관리사가 있는 지역으로 인간 의 간섭이 일부 존재 했던 곳이며 서어나무, 쥐똥나무, 억새 가 우점하였다. St.3는 제주시 월평동 지역으로 한라산 국립 공원의 관음사 인근지역이다. 숲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St.4는 조사지역 중 표고가 가장 낮은 103m였고, 곶자왈이 잘 보존된 동백동산 내의 폐원된 밀감과원 지역으로 종가시 나무, 사스레피나무, 감귤나무 등이 많이 분포하였다. 조사 지에서 토양 절지동물의 채집과 분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 였다. 먼저 조사지점에 토양 샘플러(10×10×30㎝, 스테인레 스 소재)를 설치하고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깊이 10㎝로 박 은 다음에 토양 샘플러를 조심스럽게 회수하고 안에 있는 1,000㎖ 분량의 토양을 지퍼백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가급 적 빨리 운반한 후 Tullgren 장치에 넣어 토양 절지동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토양동물은 75% 에타놀에 액침표본으 로 보관 한 후 동정하였다. 동정은 토양동물학(최, 1996)과 일본산 토양동물도감(Aoki, 1996)의 검색표를 이용하여 QBS 분석에 필요한 목 또는 강 수준까지 진행하였다. 조사지점의 QBS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1에서는 노린재 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 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 산된 QBS 점수는 총 11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2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 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순각강, 배각강 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5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3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이 조사 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2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4에 서는 좀붙이목, 톡토기목, 집게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 목, 벌목, 파리목 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불완전변태 곤 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등각목, 순각강, 배각강 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92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조사된 4개 지역의 토양 상태는 QBS가 나눈 토양의 7개 등급 중 전부 2등급으로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는 조사된 지역들이 생태계가 잘 보존된 한라산 국립공원 인근지역이거나 한라생태숲 지역, 곶자왈 지역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QBS가 한국의 토양 상태를 평가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2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emankeum is the largest region, changed into reclaimed region in Korea, recently. The first purpose of Saemankeum reclaimed region is the development of new farmland. Since 2006,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Saemankeum region has been isolated from the sea, slowly dried and changed into the lan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reclaimed region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new farmland, we examined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emergences of the soil mesofauna and flora in Saemankeum reclaimed region in 2006, 2011, separately. We investigated three locations in Saemankeun in pedological parameters - pH, organic matter, P2O5, SiO2, EC, T-N, Ex. Cation and CEC. Also, soil mesofauna groups, such as Diplura, Homoptera, Coleoptera, Dilptera, Lepidoptera, Hymenoptera, Collembola, Acari, Annelida, etc, have been examined. Pedological parameters were improved, not enough for agriculture and many kinds of soil animal were newly appeared in reclaimed region. Additionally, new flora was formed and slowly changed into various communities.
        3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w record of family of arhynchobdellida leeches (Orobdellidae) from Gageodo Island is presented. We have surveyed for land leeches in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in 2011 and found 1 species. This is Orobdella tsushimensis Nakano, 2011,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Peninsula. This species ge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V unianulate; 1/2+5 annuli between gonopores; bottle-shaped gastroporal duct; and epididymides in XVII–XIX.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the diagnosis of O. tsushimensis is slightly emende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mitochondrial COI, tRNACys, tRNAMet, 12SrDNA, tRNAVal and 16SrDNA markers show that the Orobdella specimen from Gageodo Isl. and O. tsushimensis from Tsushima Island, Japan, form a monophyletic clade and also confirm the identification of the Orobdella specimens from Gageodo Isl.
        3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w record of family of arhynchobdellid leeches (Hirudiniformes: Haemadipsidae) from Korea is presented. We have surveyed for land leeches in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in 2011 and found 1 species. This is Haemadipsa rjukjuana Oka, 1910,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Peninsula. This species is terrestrial blood-feeding leech which attacks medium or large sized mammals primarily, including human and originally distributed in East and South East Asia, including Indochinese Peninsula, Malay Peninsula, Ryukyu Islands and Taiwan. In Japan, the number and areas of habitats of land leech have been rapidly expanded since 1970s and many leeches attack forest workers, hikers and resident during May to September.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same situation can be reproduced in Korean Peninsula. We firstly report the occurrence of blood-feeding land leech, the behavior on human being and distributions in Korea. Also, we obtained the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gene (COI) and additional biology is discussed for this species according to collection data.
        3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treated the list and key to the 8 species of the subfamily Typhlodrominae from Korea including a newly recorded species, T. coryli Wu and Lan, 1991. This subfamily comprises four genera: Kuzinellus Wainstein, Paraseiulus Muma, Galendromus Muma, Typhlodromus Scheuten. Key characters of the genera in Typhlodrominae have been well known as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dorsal setae. Therefore, Typhlodrominae was previously referred to one genus, Typhlodromus in Korea. However, the nominal species in the Phytoseiidae has increased in number exponentially more than 2,280 in the world today, so the current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is taken more genera by other characters, not only dorsal chaetotaxy but also the setation and the nature of the posterior margin of the sternal shield, the shape and setation of the ventrianal shield, setation of legs I-IV and the relative lengths of the setae Z4 and Z5. Thus, Korean Typhlodrominae includes four genera, Kuzinellus Wainstein, Paraseiulus Muma, Galendromus Muma and Typhlodromus Scheute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