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미치는 외부영양공급(外部營養供給) 및 self-inhibitor의 영향(影響)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율은 감자한천배지 및 대두잎조각을 첨가한 증류수에서는 양호하였으나 살균된 증류수에서는 극히 불량하였다. 2.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에는 탄소원의 외부공급이 절대 필요한 것으로 보였으며 인산, 가리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가용성 전분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이 포도당, 유당 등이었으며 포도당의 경우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4. 포자발아율은 포자밀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감소하여 포자농도 이상에서는 거의 발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self-inhibitor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다. 5. 기질(基質)을 세척한 포자의 발아율은 세척하지 않은 포자의 발아율에 비해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포자농도가 이상으로 증가할 때 더욱 현저하였고 건조된 한천배양기위에는 발아율 감소가 현저하였다.
        4,000원
        3.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Zins.) Scholten을 접종한 인삼절편으로 부터 얻은 섬유소분해효소 및 펙틴질분해광소의 역가는 그 농도, 시간에 비례하였다. Cellulase (Cx), endo-polygalacturonase(endo-PG), endo-poiymethylgalacturonase (endo-PMG), exo-polygalacturonase (exe-PG)와 exo-polymeth-ylgalacturonase(exo-PMG)의 역가는 접종후 4 일째 최대였으며 endo-PG와 endo-PMG는 1일 및 2일째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exo-PG와 exo-PMG는 검출되었다. 접종후 6 일째에는 모든 펙틴질분해효소는 활성을 완전히 잃었으나 섬유소분해효소는 높은 역가을 유지하였다. Cx, endo-PG, endo-PMG, exo-PG 및 exo-PMG의 최적 pH는 각각 6.0, 5.5, 8.0, 7.0-7.5, 8.5이였다. Cx, endo-PG, endo-PMG, 및 exo-PG의 최적온도는 각각 exo-PMG 였다. 섬유소분해효소는 공시한 16개 이온중에서 0.05M 만이 억제하였다. 펙틴질분해효소는 이온에 따라 상이하였으나 과 이 가장 현저히 억제하였다. 공시한 8개 농약중에서 어느 것도 유효성분으로는 모든 효소작용을 억제하지 못했으며 exo-PG만은 모든 농약의 의하여 상당히 억제되었다. 그 중에서 Difolatan은 모든 펙틴질분해효소를 가장 잘 억제시켰다. 과 은 펙틴질분해효소를 거의 억제시켰으나 섬유소분해효소는 같은 농도에서 각각 에 이르렀다. Formalin은 exo-PG와 endo-PMG를 완전 억제시켰으나 다른 효소 특히 Cx는 그렇지 못했다. Difolatan은 모든 효소를 이상 억제하였으나 Cx는 그 이하였다. C. destructans가 분필하는 섬유소분해효소 및 펙틴질분해효소는 인삼뿌리썩음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억제되어야 하겠다.
        4,000원
        4.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 보리 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 및 자낭각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을 수량적으로 연구하고, 분생포자의 제1차 전염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토양에서의 일동상태를 조사하였다. 1. 균주 진주 1은 연속광선조사구에서는 광암교호구 및 암처리구보다 분생포자 형성이 많았다. 균주 수원 3은 암처리에서도 진주 1의 광처리보다 분생포자 형성이 많았으며, 광암교호구에서는 배양일 8일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2. 두 균주 모두 자낭각 형성에는 광선이 필요했고, 수원 3은 연속광선처리에서도 미숙 자낭각만을, 진주 1은 암처리를 제외한 다른 처리에서 많은 성숙자낭각 및 미숙자낭각을 형성했다. 분생포자 형성과 자낭각형성은 균주간에 차이가 있었고, 진주 1은 분생포자 형성량은 적으나, 자낭각형성은 많았고, 수인 3은 그와 반대였다. 3. 분생포자는 각각 의 토양습도에서 겨울동안 그 수가 현저하게 감소했으나, 이듬해 3월부터 토양습도에 관계없이 그 수가 증가했다 즉 밀, 보리 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는 토양에서 월동할 수 있었으며, 1차 전염원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4,000원
        5.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도열병검정못자리에서 고도로 저항성인 공시한 20개의 IR계 수도가 핀립핀 IRRI(국제미자연구소)에서는 모두 이병성이었으나 9계통의 IR1317중에서 7계통만은 저항성이었다. 한편 20개의 IR계는 한국의 도열병균 레이스, 5개의 IG-1, 3개의 IH-1, 각각 한개의 IC-3, IC-4에도 모두 저항성이었으나 필립핀 레이스, 5개의 ,각각 한개의 에 대하여는 몇 가지 예외를 제하고 모두 이병성이었다. 그리고 도열병검정못자리에서나 각 레이스에 대한 온실검정에서 대조품종인 진흥은 IR계 수도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이병성이었으나 IRRI에서는 저항성이었다.
        3,000원
        6.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균의 종의 빈도와 발병환경 및 방제법을 구명코져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Trichoderma koningi, T. lignorum, T. glaucum과 미동정의 1종등 4종의 병원균이 분리되었고 이들의 빈도는 각각 와 이었다. 푸른곰팡이병균은 감자배양액, 왁스만배양액과 리차드배양액에서 생육이 잘 되었으며 중성-염기성배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한 반면 산성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최적산도는 pH4였다. 양송이 수확기간 중 재배사내의 온도는 내외 일 때 본명의 발생이 적었고 수량이 많으며 이상에서는 본병의 발생이 격심하였다. 푸른곰팡이병균은 복토흙 소독시 에서 60분, 혹은 에서 30분간 열처리하므로서 완전히 사멸하였고 퇴비 후발효 과정에서도 사멸되었다.
        4,000원
        7.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과피원판저지대법"으로 사과 탄달병 방제약제의 지속성, 전착제 및 살충제혼용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2. 살균제를 뿌린 후 시일이 경과할 수록 살균력은 줄었다. 공시 약제 중에서 Difolatan의 약효가 가장 컸으며 15일 후에도 의 살균력이 있었고 그 다음은 Tuzet, Phaltan, 보르도액 , Delan의 순위였다. 3. 인공강우량이 많을수록 Tozet의 약효는 줄었으나 전착제를 첨가함으로색 약제의 유실을 경감할 수 있었다. 시판 상품인 리노 1,2호 및 Tween 20 보다도 탈지분유 및 콩추출액의 효과가 현저히 좋았다. 4. Phaltan을 단용하는 것보다 EPN, Folithion, Parathion 및 Lebaycid 를 섞어서 실온에 12일간 두어도 어느 것이나 살균핵과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