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odor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odor emission standard in a restaurant environment. The complex odor dilution concentrations (“times”) and odor compounds were measured in 8 restaurants. The highest complex odor dilution times were 966 in outlets and 97 in site boundaries of C restaurants. The average complex odor dilution times were 632 in outlets and 29 in site boundaries, which exceeded the allowable odor discharge standard of residential areas. Eighteen of the 22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were detected. Aldehyde-type substances showed high concentrations,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detected in addition to the designated odorous substances. Dichloromethane, benzene, and phenol, which are harmful air pollutants, were also detected. The odorant concentrations of restaurants were found to exceed the odor standard threshold in A, B, and F restaurants. Upon review of the Japanese-style odor index respective to restaurant odor, it is difficult to apply an equivalent emission allowance standard as the permissible emission standard of the workplac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emission standards by different emission standard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how to measure the odor index and how to apply the odor emission standard to everyday facilities, such as restaurants, grocery stores, etc.
        5,200원
        8.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 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 충북, 강원, 광주 등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배드민턴 선수 10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어려움과 심리경험, 대처방법, 도움인식을 추출한 뒤 인과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였다. 결과: 코 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은 경기환경변화, 경기력 저하, 낯선 환경의 3개 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어려움으로 인한 심리경험은 불안감, 무력감, 무망감의 3개 영역으로, 어려움을 대처하는 방법은 훈련환경 조성, 자발적 방역, 소극 적 대처, 부적 정서 완화의 4개 영역으로, 도움인식은 경기력 보강, 생활양식 변화, 자기주도 강화의 3개 영역으 로 범주화되었다. 범주화 결과를 토대로 인과 네트워크로 도식화 한 결과, 선수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환경 악 화, 경기력 저하, 낯선 생활로 불안감을 가장 크게 경험하였으나 훈련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코로나19를 경기력 보 강의 도움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어려움으로 무력감을 경험했으나 부적 정서 완화를 통해 생활양식 변 화에 대한 도움인식을 경험하였다. 결론: 일부 선수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에 적절히 대처하였으나 도움으로 인식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가 코로나19로 인한 대처 과정과 도움인식 변화에 대한 이해 증 진과 더불어 향후의 감염병 대처에 대한 효과적인 극복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