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ldwide conversion of natural lands into urban land uses is the most significant process affecting landscape character and ecological condition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nges of landscape character and ecological conditions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assist policy makers in meeting wider sustainability objectives in an urban fringe landscap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landscape experienced the decrease in woodland cover (-22.70%) and agricultural land cover (-10.30%) between 2002 and 2014. However, the urban land cover sharply increased from 5.07% in 2002 to 38.07% in 2014. Due to their location on the edge of the core urban area, this landscape character unit had been under increasing pressure from new built developments. Development pressures include housing expansion from adjoining urban areas, and business development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key road intersections and expansions of public infrastructure. Furthermore, the landscape had been changing rapidly as massive high-rise apartment developments were built as the core urban area expands, with the removal of woodlands and arable fields. These landscape changes in the study area had a strong impact on landscape character for this period. The index of landscape heterogeneity declined from 0.802 in 2002 to 0.712 in 2014. The index of area weighted mean woodland patch shape was decreased from 3.196 in 2002 to 2.784 in 2014. The result suggested that it became a more homogeneous landscape and had less species and a less stable ecological structure for this period. This research only used the index of landscape heterogeneity fo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For more ecological information,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landscape ecological metrics is needed in future researches.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산시에 위치한 저수지를 대상으로 귀화식물의 현황 특징을 파악하여 적절한 미래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산시 일대의 저수지 식물현황 분석결과 62과 126속 148종 13변종 2품종으로 전체 16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9과 19속 22종 1변종으로 총 23분류군을 확인하였다. 23분류군 중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15분류군, 유럽이 5분류군, 아프리카가 2분류군, 아시아가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율은 12.2%이며, 도시화지수는 2.1%이다. 이 결과는 Go(1995)이 제시한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 10.3%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지에서 나타난 저수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귀화도가 4등급이상인 14분류군(소리쟁이, 콩다닥냉이, 토끼풀, 달맞이꽃, 서양민들레, 개망초,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큰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가시상추, 미국개기장)등 을 중점적인 관리대상으로 선정하여 적절한 관리방안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100원
        3.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경산시 보호수의 환경분석, 보호관리 및 활용 실태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관리 및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경산시가 지정한 41개소에 보호수 55주가 있고 총 종수는 8종이며, 수종으로는 회화나무 (30.9%)와 느티나무 (23.6%)순으로 가장 많았다. 보호수의 유형으로는 당산목이 4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풍치목이 36.7%를 차지하였다. 200년~300년 사이의 보호수가 21주로 전체 38.2%를 차지하였고, 수고는 15 ~ 20 m 사이의 보호수가 경산시 보호수의 54.6%를 차지하였다. 보호수의 입지 유형을 보면 마을형이 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도로변형이 19.5%로 많았다. 식재유형은 독립수가 전체 보호수의 78%를 차지하였다. 보호수의 근원부는 나지상태가 5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쇄석 및 자갈이 19.5%를 차지하였다. 토양경도는 평균 9.64 mm로 나타났고 보호책은 9곳에 설치가 되어있고 석축이 있는 곳은 22개소로 전체 53.7%로 조사되었다. 외과수술을 받은 보호수는 38주로 전체 70.9%를 차지하였고 표지석은 보호수 전체의 80.5%인 33개소에 설치되어 있었다. 쉼터로 이용되고 있는 곳은 13곳으로 전체 31.7%를 차지하였고 시설물은 주로 정자, 의자, 간단한 체육시설, 야외테이블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기존쉼터를 정비하거나 보호수 주변을 정비해서 소규모 공원화가 될 수 있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향후 농촌지역 공원녹지 공간 확보 및 지역민의 공동체회복을 위한 보호수 주변 소공원 조성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4,800원
        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ly ordered pure-silica MCM-41 materials possessing well-defined morphology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with surfactant used as a template. The fabrication of mesoporous silica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the need to develop more efficient materials' for catalysis, separations, and chemical sensing. The surface modified MCM-41 was used as anadsorbent for biomolecules. Silica-supported organic groups and DNA adsorption on surface modified MCM-41 were investigated by FT-IR and UV-Vis spectrometer, respectively. The use of MCM-41 as the modification of electrode surfaces were investigat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etal mediators with biomolecules. The modified ITO electrodes increased peak currents for a redox process of [Ru(bpy)3]2+ relative to the bare electrode. The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DNA by cyclic voltammetry when the current is saturated in the presence of the mediator appeared more sensitive due to a higher catalytic current on the MCM-41 supported electrodes modified by 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s. The carboxyl or amine groups on the surface of MCM-41 interact and react with the -NH2 groups of guanine and backbone, respectively. Highly ordered mesoporous materials with organic groups could find applications as DNA sensor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