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levels (0, 4, 8, 12, 16%) of added yam powder by measuring water content, color value, texture, and sensory quality. The water content of Sulgidduk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increasing the amount of yam powder. The Hunter's L value of Sulgidduk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such as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amount of added yam powder increased. The springiness of the 0, 4, 8 and 12% yam Sulgidduk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spring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6% yam Sulgidduk.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whereas cohesive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decreased. Springiness of the control sampl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Sulgidduk with added yam powder had the highest springiness level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days. Chewiness was highest during the first day in all Sulgidduk preparations. The 12% yam Sulgidduk was the best in color, flavor, taste, mois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lgidduk with 12% added yam powder had the best quality in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4,000원
        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강릉과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는 대도시 지역에서 관측되어지는 오후에 최대치, 일출부근에 최소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강릉지방의 일변화에서는 오후에 최대치를 보여주나 새벽 3시경이 2차 극값이 관측되어졌다. 3차 극값의 경우 오후 최대 값보다 높은 값이 종종 관측되어졌다. 이와 같은 새벽에 발생하는 오존 상승은 일년 내내 관측되어졌으나 그 양과 범위에서 봄철이 가장 뚜렷하였다. 이와 같은 새벽 오존 상승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상인자와 오존의 상관관계와, HYSPLIT모델을 이용하여 공기의 기원을 조사하였다. 새벽 오존 농도 상승이 나타나는 날은 바람이 강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날이었다. 새벽오존 농도 상승이 일어날 때 모델을 이용한 공기의 기원을 분석해본 결과 서풍이 불면서 하강운동이 동반한 경우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편서풍이 강하게 부는 봄철에 대도시가 밀접한 강릉의 서쪽 지역에서 이동되어온 오존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런 경우 밤에도 바람이 강하게 불어 강력한 혼합현상에 의해 오존이 풍부한 대기 상층의공기가 하부로 유입되면서 지표 부근 오존의 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4,000원
        6.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효소들 가운데 lipoprotein lipase(LPL), acyl-CoA synthetase(ACS), hormone sensitive lipase(HSL)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마우스에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의 LPL 활성은 최고 21.9% 억제되었고, ACS와 HSL의 효소 활성은 각각 151.8%, 174.0%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LPL은 12.0%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ACS와 HSL은 742.0%, 134.4%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세포내로 지방산의 유입을 억제하며, 유입된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대사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서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7.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으로 제2형 당뇨를 가진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에 함유된 당대사 관련 주요 효소인 glucokinase(GK)와 acetyl-CoA carboxylase(ACC)의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소재로는 지골피(Lycium chinense),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를 선정하였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유효성분의 항당뇨 효능에 대한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정비율로 혼합하였다. 각 소재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모든 추출물에서 GK와 ACC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시오가피와 동충하초의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효소의 활성 증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골피와 가시오가피, 동충하초의 상승작용 때문으로 사료된다. α-glucosidase의 저해 활성은 JDG 5(1:6:6) 처리군에서 acarbose 보다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지골피, 가시오가피, 동충하초의 혼합 비율이 1:6:6 일 때 당대사 관련 효소인 GK와 ACC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α-glucosid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흡수된 당의 이용에 유리하게 작용함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allergic reaction with Glycyrrhiza uralensis. We examined cell viability, β-hexosaminidase release, IL-4 and IL-13 mRNA expression from RBL-2H3 cell after pre-treatment with 0, 100, 250, 500, 1000μg/ml of Glycyrrhiza uralensis water extracts.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the degranul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4 and IL-13) expression were evaluated with β-hexosaminidase assay, and RT-PCR analysis. We observed that Glycyrrhiza uralensis concentrations from 100μg/ml to 1000μg/ml had no effect on cell survival.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ll concentrations of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s. The expression of the IL-4 and IL-13 mRNA were decreased by Glycyrrhiza uralensis in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that Glycyrrhiza uralensis has an anti-histamin effects and controls IL-4, IL-13 secretion on allergic 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