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하수 재이용을 위한 역삼투막 공정에서 전처리 정밀여과막(MF) 손상에 대한 누출되는 다양한 수 질변화로써 막 손상 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삼투막 유입수질 적합성 평가지표인 SDI (silt density index)를 3에서 5의 범위 내에서 막 손상 시 검지 감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전처리 분리막이 1에서 3가닥 파단에 따라 SDI는 1.92에 서 6.11까지 증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3을 기준으로 역삼투막 유입수질로 설정하였을 때 분리막이 3가닥 까지 파단이 되어야만 막 손상 검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역삼투막의 오염은 잠재적으로 가속화되어 효율을 저하시 킬 수 있다. 또한 이때 누출되는 입자성과 유기물질에 대하여 0.45 μm 이상의 크기만 걸러주는 입자계수는 입도분포별 막 파 단 개수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TOC 농도는 약 2배의 변화패턴으로써 SDI와의 상관관계로써 TOC가 막 손상 수질지표로써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질분석결과와 더불어 USEPA에서 제시하는 막 손상 검지 방법 중 압력손실시험과 이를 기반으로 LRVDIT 모델의 적합성 평가를 한 결과 막 손상 또는 역삼투막 공정으로 유입되는 막오염물질 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SDI 및 TOC를 포함한 LRVDIT 모니터링과 UCL 설정을 병행해야 한다.
        4,200원
        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Synthetic diffusion은 다른 두 개의 b-value로 검사를 하는 경우 중간의 어떤 b-value로도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spiration gating을 이용한 liver DWI에서 b-value 50, 400, 800으로 검사하는 경우와 b-value 50, 1000으로 검사하여 후자에서 synthetic DWI로 b-value 400, 800으로 후 처리하여 얻은 영상을 실제로 검사한 영상의 차이와 스캔 타임 감소에 있어서 환자에게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본원에서 liver MRI를 검사한 환자 18명(남: 14명, 여: 4명, 평균나이: 46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일반적인 liver DWI과 synthetic DWI의 각 b-value 400, 800에서 간실질, 담낭에서 ROI를 측정하여 SNR, ADC값(mm2/sec)을 비교하였고, SPSS의 paired sample t-test,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장비는 3.0T Architect(GE healthcare)으로 body array coil과 spine coil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DWI과 synthetic DWI의 영상매개를 모두 같게 하였다. 결 과:Liver DWI와 synthetic DWI의 b-value 값에 대한 SNR을 비교한 결과 b-value 400에서는 간실질, 담낭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5) b-value 800에서도 간실질, 담낭에서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p<0.05) ADC값 (mm2/sec)은 간실질에서 1.03×10-3 담낭에서 2.58×10-3 synthetic DWI에서 간실질 0.94×10-3, 담낭 2.52×10-3로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DWI과 synthetic DWI의 ADC값(mm2/sec)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대부분의 liver MRI에서 HCC 또는 hemangioma같은 병변을 진단하기 위해 DWI multi b-value를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DWI b-value를 두 가지(50, 1000)를 사용하여 synthetic DWI으로 원하는 b-value를 후처리해도 SNR과 ADC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간상으로도 respiration gating DWI multi b-value(50, 400, 800)는 평균 6분 21초 걸렸으며, synthetic DWI은 3분 9초로 약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Respiration gating 사용하는 liver MRI는 환자의 호흡이 불안정하거나 숨 멈춤이 있을 경우 장비적으로도 멈춤이 있을 수 있고, 처음부터 다시 검사하는 경우나 환자가 호흡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경우가 있는데 synthetic DWI은 시간상으로도 환자 측면에서 유용한 검사 로 이용될 수 있다.
        4,000원
        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Brain MRI 검사에서 FLAIR Image는 CSF(Cerebrospinal Fluid) 공간에 인접한 병변 진단에 유용하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Water Signal 억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MRI 검사 과정에서는 소아나 Claustrophobia가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Sedation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상태에 따라 O2(Oxygen)를 Inhalation 하게 된다. 투여된 O2에 의해 뇌 혈류량이 증가하게 되면 CSF의 상자성 효과와 혈류속도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Waters Signal의 억제가 효과적으로 되지 않아 Artifact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Artifact를 최소화하기 위해 CSF의 인위적인 SI(Signal Intensity) 증가를 정상인을 대상으로 비교, 실험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8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질환이 없는 정상 성인 남녀(남60%, 여40%) 10명을 대상으로 GE 1.5T HDxt 장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SI의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O2 농도 100%를 실험 조건으로 하였고 이러한 조건을 위해 O2 mask를 착용 후 O2를 Inhalation 하였다. FLAIR 영상을 O2 투여 전, O2 투여 직후, O2 투여 10분 후, O2 투여 20분 후 총 4번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에서 Quadrigeminal Cistern, Interpeduncular Cistern과 Lateral Ventricle에서 SI와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Image J를 이용해 획득하고 SPSS 대응 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결 과:Interpeduncular Cistern에서 SI 평균값은 O2 투여 전 212.47, O2 투여 직후 306.07, O2 투여 10분 후 359.47, O2 투여 20분 후 375.20으로 투여 직후부터 증가하여 O2 투여 20분 후는 O2 투여 전과 비교하여 76.59%증가하였고 Quadrigeminal Cistern SI 평균값은 O2 투여 전 209.91, O2 투여 직후 289.44, O2 투여 10분 후 337.10, O2 투여 20분 후 361.15로 O2 투여 20분 후는 O2 투여 전과 비교하 여 72.94%증가하였다. 통계적으로도 p값이 Interpeduncular Cistern의 SI 값은 0.00, CNR 값이 0.03 이었고 Quadrigeminal Cistern의 SI값은 0.01, CNR값이 0.01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Lateral Ventricle에서 SI 평균값은 앞선 데이터와 다르게 O2 투여 전 99.37, O2 투여 직후 96.82, O2 투여 10분 후 95.08, O2 투여 20분 후 92.55로 나타났고 통계적인 p값도 SI값이 0.46, CNR 값은 0.90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뇌혈관에 인접한 위치인 Interpeduncular Cistern과 Quadrigeminal Cistern은 O2 섭취에 따라 즉각적인 영향을 받게 되지만 비교적 인접한 뇌혈관이 적은 Lateral Ventricle에서는 Inhalation 한 O2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 론:뇌 조직에서 O2를 소모하는 Oxidative Glucose Metabolism은 즉각적으로 증가하지 못하므로 수분 동 안은 증가된 O2를 모두 소비하지 못하는 시기이며 잉여 분의 Oxyhemoglobin은 활성화된 유출 정맥계로 흘러 들어가 이곳에서 Deoxyhemoglobin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만든다. 즉, 뇌가 O2의 증가로 활성 화되면 초기에는 Oxyhemoglobin의 농도가 감소하지만 이차적으로 뇌 혈류량이 증가하여 Oxyhemoglobin의 양의 증가로 MRI 신호가 증가하며 이는 T2* 이완시간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 논문에서는 FLAIR Image에 서 O2 증가에 따라 Water가 완벽히 제거되지 못하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Brain MRI 검사 중 O2를 Inhalation 하는 경우에 Artifact 발생 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Inhalation 직후 T2 FLAIR를 먼저 검 사해 O2의 영향으로 생기는 Artifact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검사 과정에서 O2 Inhalation 여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통해 진단오류를 방지할 것을 권장한다.
        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rulence profile of Escherichia coli O157:H7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ewage and livestock stools. Among 23 E. coli O157:H7 bacteriophages, 14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wage and 9 were from animal stools collected from 10 livestock farms in Korea. For each bacteriophage DNA sample, the presence of stx1, stx2, eae, aafII, ial, elt, estI, estII, astA, afa, and cnf was exa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detection rate of eae, stx2, estI, astA, and ial was 100%, 69.6%, 13.0%, 13.0%, 8.7%, respectively. While all E. coli O157:H7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tools carried eae+stx2, stx2+eae, eae+astA, eae, stx2+eae+estI, eae+estI, stx2+eae+ial, and eae+ial were observed in bacteriophages isolated from sewage. As several plasmid-carrying virulence factors (estI, astA, and ial) were found in E. coli O157:H7 bacteriophages obtained from sewage and stools, the microbial safety of bacteriophage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rther study.
        4,000원
        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현재 제4세대 수치사진측량의 활용도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비디오동영상을 이용하여 실용적이며, 비전문가들도 활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시점에서 국가산업의 중추적인 시설물 도로분야에서 도로안전진단과 유지관리목적으로 도로정보획득 및 도로정보수집에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용성, 경제성이 있는 비전문가용인 디지털비디오 동영상을 이용하여 도로증심선의 3차원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도로정보화사업의 기본적인 자료로 제공되리라 판단된다.
        4,200원
        12.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ssions from the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as well as ambient VOCs at industrial complexes in Gwangju. The major components of VOCs emissions from painting facilities were toluene, acetone, 2-butanone, ethyl acetate, ethyl benzene, o-xylene and m,p-xylene. The printing facilities mostly emitted ethyl acetate, 2-butanone, acetone and toluene. Aromatics (49.9%) and oxygenated VOCs (43.6%) were dominant in painting facilities, while oxygenated VOCs (92.7%) were the largest group in printing facilities. The total hydrocarbon concentration (THC) in printing facilities was approximately six times higher than in the painting facilities. The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use many solvents. Their THC concentrations differed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type of prevention facilities. To reduce THC,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evention facilities and operating conditions. The dominant species of ambient VOCs in industrial complexes were investigated with toluene, ethyl acetate, 2-butanone, ethyl benzene, m,p-xylene, butyl acetate, o-xylene, hexane and acetone. Factor analysis of ambient VOCs showed that the main sources of the VOCs were organic solvents used in painting, coating, and printing, as well as automobile emissions.
        13.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효소들 가운데 lipoprotein lipase(LPL), acyl-CoA synthetase(ACS), hormone sensitive lipase(HSL)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마우스에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의 LPL 활성은 최고 21.9% 억제되었고, ACS와 HSL의 효소 활성은 각각 151.8%, 174.0%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LPL은 12.0%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ACS와 HSL은 742.0%, 134.4%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세포내로 지방산의 유입을 억제하며, 유입된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대사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서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14.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덕산에 분포하는 식물자원의 종류를 조사하고 자생지 식생을 파악하여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덕산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은 81과 206속 358종 69변종 14품종 1아종으로, 총 442 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7분류군이었으며, 희귀식물은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등칡,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가시오갈피, 지리산오갈피나무, 대성쓴풀, 토현삼, 도라지모시대, 솔나리, 말나리, 나도개감채, 노랑무늬붓꽃, 개불알꽃 등 15 종류이었고, 귀화식물은 총 16분류군이었으며 귀화율은 3.6%로 낮았다 한편 생활형 조성은 H-D4-R5-e type으로 나타났으며,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식물이 43.2%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용 41.0%, 약용 식물 32.8%, 관상용 1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군(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가래나무 군락(Juglans mandshurica Community)으로 대표되며, 신갈나무 군락군은 사스래나무-신갈나무 군락(Betula ermanii-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전형하위 군락(typical community)으로 세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