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nsile load tests were conducted on High-Shear Ring Anchors (HRAs) after shear load had been applied to the HRAs, which had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number of the anchors. Test variables include the embedment length of the rod and the width of the specimens and a total of 12 specimens were tested. Test results show that the HRAs pulled out due to bond failure or steel failure occurred in case that the HRAs were installed to the members with 300mm or greater width and the embedment length of 160mm (the actual embedment of rod is 140mm) or deeper. Except 4 HRAs showing steel failure of rod, the minimum and average of test-to-prediction by ACI 318-14 ratios are 1.18 and 1.79, respectively. The tensile strength of HRAs, after shear load was applied to the HRAs, can be safely evaluated by the minimum among the concrete breakout strength and bond strength with the actual embedment length of the rod.
        4,000원
        2.
        200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경수로원전 1차 냉각재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내 핵종방사능비에 대한 유관성을 검토하고자 특수하게 제작된 RCS sampling kit를 이용하여 원전 정상운전기간 동안 핵종을 포집하였다. 시료채취는 경수로형 전 원자력 발전소를 대상으로 2004년과 2005년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였고, 방사화학적 방법인 시료 전처리 및 핵종분리를 통하여 핵종 방사능을 분석하였다. RCS sampling kit 내 필터와 수지에서 분석된 핵종 방사능비는 각각 2.32-2와 7.3E-1을 보였으며, 동일주기 내 발생된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인 농축폐액, 폐수지, 잡고체시료 내 핵종 방사능비는 각각 6.3E-1, 6.7E-1 및 5.7E-2로 시료유형 에 따라 1차 냉각재와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000원
        3.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산매질에서 산화/환원제를 사용하여 Pu 산화수를 조절한 후, UV-Visible-Near IR 분광기를 이용하여 Pu(III, IV, V, VI) 산화수에 대한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그 분광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Pu(III)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환원제인 HCl를 사용하였으며, Pu(IV)와 Pu(VI)로 조절하기 위하여 산화제인 및 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Pu(VI)로 조절된 용액에 환원제인 HCl를 사용하여 Pu(V)로 조절하였다. Pu(III)와 Pu(IV)의 대표적인 흡수피크는 470 nm 및 600 nm에서 각각 관찰되었고, Pu(VI)와 Pu(V)의 특성피크는 830 nm 및 1135nm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Pu(III, IV, VI) 산화상태의 시간 경과에 따른 흡수스펙트럼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u(V)의 경우 매우 불안정하여 생성되자 마자 Pu(III)로 변화되었다.
        4,000원
        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합하충을 받는 구조물에 있어서 구조물의 안정경계점을 계산하는 방법올 제시하고 있다. 여기 에서는 우선 안정경계점에 놓여 있는 기지의 점에 대한 선형해를 일반역행열을 이용하여 선형 증분 평형방정 식의 여해와 특이해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였다. 다음으로 두개의 하중계수를 구속하는 선형조건을 도입하고, 그 구속조건하에서 하중계수 比가 일정하게 되도록 반복계산을 수행하므로써, 안정경계접위의 다음 목표점이 얻어진다. 얻어진 이 점을 초기점으로 이용한다. 평형경로를 추적할 때, 본래의 두 개의 하중계수 문제는 하 중계수의 比가 일정하다는 조건을 도입하여 단일 하중계수의 문제로 된다. 두 개의 예를 블어 수치해석을 행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채택된 방법은 구조물의 경계안정점을 찾는 문제에 적합하며 더욱 개발할 여지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5.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圓商管에 휩모멘트가 작용하면 변형후 단연은 橋圓형 상을 갖 게 된다. 단면의 타원화에 의해 단면이 감소하 게 되면 휩강성이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챔모멘트-꼭률관계가 倚重뻐減젠으로 된다. 이 휩강성의 감소 현상 을 Brazier 이 론 또는 Brazier 현상이라고 한다. 적층평판에 있어서도 각충의 재료상수가 뚜렷하게 다른 경우 원통관에서의 Brazier 현상과 유사한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평판에서익 Brazier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3층 적충모델을 만틀어 zt 층의 재료정 수가 현저히 다른 경 우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 가롤 실험적으로 규명하였고, 이론해석을 위하여 스프링모덴 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모델에서 알 수 있듯이 중간충의 재료상수가 상하충 요소의 재료상수 보다 뚜넷하 게 작은 경우 중간층의 지똥이 현저히 크게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논문에서 채택한 모델의 정우에 있어서 도 원통판에서 일어나는 Brazier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이 실험적 그리고 해석적으로 규명되었다.
        4,000원
        8.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CTA is a class 2 transposon superfamily found exclusively in plants.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CACTA-TD technique to study the genetic diversity among 90 waxy corn inbred lines. While CACTA-TD fragments ranged approximately from 100 to 650 bp in 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