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 배아로부터 saponin을 분리·정제하여 유리기 억제효과 및 동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유리기 억제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면 대두 배아 saponin을 0.5 및 1.0% 씩 첨가한 그여 식에서 4주 동안 사육한 후 간장을 절취하여 간장 획분의 활성산소 및 항산화 관련 효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 획분의 hydroxy radical (·OH)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급여식에 사포닌을 첨가한 급여군에서 ·OH기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microsome 획분에서도 0.5 및 1.0% 투여군에서 H_2O_2 생성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간장의 cytosol획분에서 O_2· 의 생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배아 사포닌의 세포독성을 P338 (mouse lyoupoid neoplasm) 과 L1210 (mouse leukemia)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 농도에 따른 대두 배아 추출물이 P338과 L1210에 대한 성장 효과 실험에서도 200㎍/mL에서 높은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혐기성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 추출물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들은 prodigiosin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50∼80% 정도 감소시켰다. 글리옥실산은 1∼3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20∼40% 정도 증가시켰고, 특히 5mM의 농도에서는 최대 122% 증가시켰으나, 20∼30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50∼90% 정도 감소시켰다. 한편,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의 피루브산과 α-케토부티르산은 호기성 조건의 글리옥실산과 함께 조사한 모든 농도(0.5∼30mM)에서 prodigiosin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또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높은 농도(20mM 이상)의 글리옥실산은 S. marcescens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글리옥실산은 피루브산과 α-케토부티르산과는 다르게 낮은 농도(1∼5mM)에서는 S. marcescens의 1, 2차 대사물질로 작용하여 prodigiosin 생합성을 증가시키지만, 높은 농도(20mM 이상)에서는 S. marcescens의 성장을 억제시켜 2차 대사물질인 prodigiosin의 생합성도 억제된다고 사료된다.
쇠고기의 사태, 갈비 및 등심부위를 8℃에 저장하면서 육질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전단력가, 근원섬유의 소편화, actomyosin의 추출성 및 ATP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태 및 등심부위의 전단력가는 저장 6일째 현저하게 낮아졌고, 갈비부위는 저장기간 동안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저장초기 부위별 전단력가는 갈비, 등심 및 사대부위의 순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갈비 및 등심부위는 비슷하였다. 근원 섬유 소편화도의 경우 사태부위는 저장 6일째 현저한 증가를 보였지만 갈비와 등심부위는 저장기간동안 계속 증가하였다. 근원섬유의 소편화율도 소편화도와 비슷한 양상이었으며, 갈비와 등심부위는 사태부위와 다른 변화를 보였다. Actomyosin의 추출성은 저장초기 갈비, 등심 및 사태부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일째 모든 부위가 증가하다가 등심부위는 저장 6일째 감소하였다. Actomyosin의 Ng^2+-ATPase 활성의 경우, 사태부위는 저장 3일째 증가하다가 6일째 저장 0일의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갈비 및 등심부위는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지만 0일째는 등심부위가 갈비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태부위의 Ca^2+-ATPase 활성도 저장 3일째 증가하다가 6일째 감소하였으며, 갈비부위는 저장중 변화가 없었고, 등심부위는 저장기간동안 완만하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