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pression symptoms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females that ate congregate meals at lunch in rural Pocheon. The subjects were 18 elderly females aged over 65 (75.7±4.6 years) and information on smoking,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symptoms and malnutrition risk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with the help of trained research assistants. Measurements included mid-arm circumference and calf circumference. Food consumption for 3 days during breakfast and supper were determined by 24-hour recall and food consumption at lunch was determ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s served and the plate waste. All data were compared between two age groups (≤ 75 and > 75). The subjects had the lowest nutrient adequacy ratio (NAR) for vitamin B6 (0.523), followed by calcium and niacin and the lowest index of nutrient quality (INQ) for calcium (0.738). The older elderly had significantly lower NAR for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and niacin as well as significantly lower mean adequacy ratio (MAR) compared to the young elderly. They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INQ for vitamin B1 and vitamin C and significantly thinner arm circumference (28.3 cm vs. 31.3 cm). They consumed more than 40% of their daily intake for each nutrient at lunch. Higher proportions of nutrient intake from lunch provided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congregate meals, suggesting that the government and society should support congregate meals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nsumption patterns of Makoli and to provide age-specific suggestions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newly developed produc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3 men and 329 women, and information was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December of 2010. On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as that regardless of gender, consumption of Makoli was correlated to age: older respondents drank more Makoli. Those in their thirties and older, especially women, drank Makoli at home with family. The reasons given for liking or disliking Makoli differed among age groups, but were the same between genders. More subjects in their twenties liked Makoli because of its distinctive taste, while more in their forties liked it for its cultural value. Subjects in their thirties disliked it because it caused headaches, while more in their forties complained of burping. Both genders in their twenties suggested that TV and internet advertisements may be the best strategy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newly developed Makoli products, and women in their forties suggested promoting Makoli’s health benefits. The low calorie content of new Makoli products appealed to women of all age groups and 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omen in their forties were also attracted by Makoli’s possible effect to alleviate constip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intake, the dietary behaviors and plasma lipid profil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f college male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Dietary behaviors and attitude toward smoking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behaviors. However, smokers tended to eat more snacks and desserts than nonsmokers. In plasma lipid levels, smokers had higher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 LDL-cholesterol, VLDL-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than that of non-smokers(p<0.05). HDL-cholesterol level of smokers was a lower than that of non-smoker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I(Atherogenic Index), Total /HDL cholesterol ratio and LDL/HDL cholesterol ratio of smo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s(p<0.01). BMI and SB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p<0.01) and VLDL-cholesterol(p<0.01). DB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p<0.001) and VLDL-cholesterol(p<0.01).
본 연구는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흡연 여부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및 항산화 영양소 섭취수준과 혈장 농도를 비교하고자 흡연자 30명, 비흡연자 30명을 선정하여 신체계측과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자의 연령은 흡연자가 24.4세 비흡연자가 22.4세이고, 신장은 각각 173.4cm, 172.6cm, 체중은 69.8kg, 67.9kg으로 나타났으며, BMI, 체지방, 체지방량, 제지방량(LBM), 체수분량(TBW)에서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은 흡연자에게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당은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흡연자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커피와 알코올을 섭취하는 비율은 모두 흡연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일일 섭취하는 알코올의 양도 흡연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흡연자들의 흡연 이유로는 '스트레스 해소'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습관적', '대인관계 향상을 위해서' 순이었다. 흡연여부에 따라 흡연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흡연에 동의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섭취 빈도조사에 의한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은 비타민 A의 경우 흡연자 505.15±123.32gR.E. 비흡연자 519.48±111.25μgR.E.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비타민 C는 각각 133.13 37.76mg, 124.68±27.12mg로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흡연자가 약간 높았으며, 비타민 E 섭취량은 6.91±2.39mg, 7.09±1.73mg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 계측치와 생화학적 성분간 상관관계에서는 이완기 혈압과 연령, 체지방, 체지방량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혈장 비타민 C 농도는 체중(p<0.05), 체수분량(p<0.05)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혈압이나 혈당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 흡연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에 대한 인식에서는 흡연자가 흡연에 동의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활동량이 많고, 흡연력이 짧으며, 식이 섭취량이 비교적 많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혈장의 비타민 C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던 것은 흡연으로 인해 비타민 C 요구량이 증가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항산화 영양소의 급원이 될 수 있는 식물의 섭취를 증가시키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두 배아로부터 saponin을 분리·정제하여 유리기 억제효과 및 동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유리기 억제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면 대두 배아 saponin을 0.5 및 1.0% 씩 첨가한 그여 식에서 4주 동안 사육한 후 간장을 절취하여 간장 획분의 활성산소 및 항산화 관련 효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 획분의 hydroxy radical (·OH)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급여식에 사포닌을 첨가한 급여군에서 ·OH기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microsome 획분에서도 0.5 및 1.0% 투여군에서 H_2O_2 생성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간장의 cytosol획분에서 O_2· 의 생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배아 사포닌의 세포독성을 P338 (mouse lyoupoid neoplasm) 과 L1210 (mouse leukemia)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 농도에 따른 대두 배아 추출물이 P338과 L1210에 대한 성장 효과 실험에서도 200㎍/mL에서 높은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aekukkwon was practiced for health previousl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ractising in the above disciplines at Myong Ji University. The group consisted of three female and three male students and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measure the brain wave change for opened and closed ey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students were subjected to basic open eye brain wave tests, beta-waves displayed for all regions of the brain. In the frontal region fast beta-waves were displayed and in the central region alpha-waves were displayed. Secondly, in the closed eye brain wave tests, the control group displayed beta-waves in some regions and alpha waves in external and internal regions. For all students` brain-wave patterns, the amplitude of the alpha-wave was low and the frequency was high. In some students theta-waves were displayed. Taekukkwon practice relaxes the mind and body and helps relieve social stress which shows that taichichuan practices is beneficial. Final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mostly type A so the personalities of the subjects were fast and aggressive. This research shows a definite link between personality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beta-waves emissions. So,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The subjects consumed too large amount of foods so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ir dietary habits taking into consideration on total calories, fats, and protein. It was also necessary to carrying out nutrition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emphasizing appropriate attitudes in general health and dietary behavior.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혐기성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 추출물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들은 prodigiosin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50∼80% 정도 감소시켰다. 글리옥실산은 1∼3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20∼40% 정도 증가시켰고, 특히 5mM의 농도에서는 최대 122% 증가시켰으나, 20∼30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50∼90% 정도 감소시켰다. 한편,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의 피루브산과 α-케토부티르산은 호기성 조건의 글리옥실산과 함께 조사한 모든 농도(0.5∼30mM)에서 prodigiosin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또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높은 농도(20mM 이상)의 글리옥실산은 S. marcescens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글리옥실산은 피루브산과 α-케토부티르산과는 다르게 낮은 농도(1∼5mM)에서는 S. marcescens의 1, 2차 대사물질로 작용하여 prodigiosin 생합성을 증가시키지만, 높은 농도(20mM 이상)에서는 S. marcescens의 성장을 억제시켜 2차 대사물질인 prodigiosin의 생합성도 억제된다고 사료된다.
쇠고기의 사태, 갈비 및 등심부위를 8℃에 저장하면서 육질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전단력가, 근원섬유의 소편화, actomyosin의 추출성 및 ATP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태 및 등심부위의 전단력가는 저장 6일째 현저하게 낮아졌고, 갈비부위는 저장기간 동안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저장초기 부위별 전단력가는 갈비, 등심 및 사대부위의 순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갈비 및 등심부위는 비슷하였다. 근원 섬유 소편화도의 경우 사태부위는 저장 6일째 현저한 증가를 보였지만 갈비와 등심부위는 저장기간동안 계속 증가하였다. 근원섬유의 소편화율도 소편화도와 비슷한 양상이었으며, 갈비와 등심부위는 사태부위와 다른 변화를 보였다. Actomyosin의 추출성은 저장초기 갈비, 등심 및 사태부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일째 모든 부위가 증가하다가 등심부위는 저장 6일째 감소하였다. Actomyosin의 Ng^2+-ATPase 활성의 경우, 사태부위는 저장 3일째 증가하다가 6일째 저장 0일의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갈비 및 등심부위는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지만 0일째는 등심부위가 갈비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태부위의 Ca^2+-ATPase 활성도 저장 3일째 증가하다가 6일째 감소하였으며, 갈비부위는 저장중 변화가 없었고, 등심부위는 저장기간동안 완만하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