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have been widely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 and food in East Asia. This research comprised two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compared the growth in densities (10, 20, 30 larvae), substrates (commercial, self-made), and containers (Tyvek, zipper bags). In the second experiment, different numbers of air holes (16, 32, 48 holes) in zipper bags experiment is ongo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rvae development rate was 72.6%, 69.98%, and 55.33% in 10, 20, and 30 larvae densitie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arvae survival rate and weight. In the different feed material experiments, the average larvae weight of commercial feed was 1.09g and for self-made, it was 2.85g. The survival rate was 86% and 96% in commercial and self-made feed, respectively. Lastly, while 96% of larvae survived in Tyvek bags, none of the larvae survived in the zipper bags.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3년 국내에 침입한 외래종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은 현재 남한 전체에 확산된 상태이며 이들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 고 있으나 그 효과는 대부분 미미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외래종 등검은말벌에 대한 새로운 포식자 2종이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023년 8월 11일 전북 무주군 적상면 일대에서 오소리 배설물 조사 중 배설물 속에 다량의 말벌 사체가 발견되었고 분석 결과 10여개체의 등검 은말벌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땅벌류를 주로 포식하는 오소리가 대형 말벌류를 포식하는 첫 기록이다. 또한 2023년 12월 10일 안동 일대에서 등검은말벌 벌집 조사를 하던 중 벌집에 10여 마리의 직박구리가 벌집 외피를 깨고 내부에 있는 애벌레와 성충들을 포식하는 장면이 관찰되면서 벌매에 이어 새로운 조류 포식자를 기록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종 등검은말벌은 양봉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양봉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경북 의성 및 안동 일대에서 양봉장 주변 2km 지점 내에 발생하는 등검은말벌의 벌집 밀도에 대해 조사하 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12월 1-20일까지 조사되었으며 육안, 망원경 및 드론을 통해 가능한 한 모든 지점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총 등검은말벌 벌집 수는 133개로 조사되었다. 그 중 의성에 위치한 5곳의 양봉장에서는 총 67개로 평균 13.4개, 안동에 위치한 5곳의 양봉장에서는 총 66개로 평균 13.2개로 나타나 두 지역이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0개의 양봉장 중 안동 안기동 일대 양봉장에서 최대 26개의 등검은말벌 벌집이 발견되었으며 의성 단촌 일대 양봉장에서는 4개만이 발견되어 큰 격차를 보였다. 양봉장에 피해는 주는 등검은말벌의 출현 비율은 주변 벌집 밀도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밀도 및 거리 등을 토대로 적절한 방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Vespa consists of 22 species worldwide, and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re well established through adult morphology and molecular analyses. However, taxonomic studies of larvae are lacking. In this study, we provided descriptions and taxonomic keys for eight species of Korean Vespa larvae.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회성 말벌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과거 1960-1980년도까지 1차적으로 한국산 말벌을 정리하여 그 개략적인 윤곽이 나타났으며 90년대 이후 전문 분류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현재 남한지역에서 보고된 사회성 말벌류는 총 2아과 5속 30종이다. 그러나 아직도 분류학적 논의가 필요한 종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특히 각 계급별 및 벌집의 특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종들이 많은 상태이다. 최근 들어서는 외래종 말벌의 침입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중보건적, 경제적, 생태적 피해가 나타남에 따라 이들의 조절 및 관리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의해 전국적으로 말벌류가 증가함에 따라 119 소방서의 벌집제거수가 연간 20만건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종 벌쏘임 사고가 빈발하여 연간 10여명의 사망사고가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말벌을 이용하여 만든 노봉방주의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의 과학적 검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독성, 타액 등의 효능분석 및 유해성 분석도 일부 진행되고 있다. 그 외 말벌의 공격성분석, 먹이 원분석, 사냥행동 특성, 기생, 천적 등의 생태적 연구도 일부 진행 중에 있다. 이처럼 말벌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말벌 전문 학자 부족으로 인해 가시적인 연구 성과가 미진하며 문제 해결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이옥신류(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furans: PCDD/Fs)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화 되어 있으며 난분해성 이자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환경 매체의 오염을 통해 생태계 내 생물의 생체에 종종 축적된다. 외래종 등검은말벌은 2003년 국내 침입 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최근 말벌(집)을 민간요법으로 식음하는 사례가 늘면서 이로 인한 오염물질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및 산림지역에서 말벌(집)을 채집한 후 비의도적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공정시험방법에 따라 전처리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프/고분해능질량분석기(GC/HRMS) 를 이용하여 다이옥신류의 농도수준과 경향을 확인하였다. 농도는 WHO에서 제시한 2015 독성등가계수를 이용하여 TEQ농도(pg-TEQ/g)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OCDD 등 일부 다이옥신 물질이 검출되었으나, 인체의 유해정도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양한 지역에서의 등검은말벌 채취 및 분석, 위해성평가 등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1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외래종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GB)의 도입에 따른 토착종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TE)의 개체군 크기 감소 위협이 예상됨에 따라, 왕귀뚜라미 (TE)와 쌍별귀뚜라미 (GB)의 체장과 개체수 비율에 따른 생존 경쟁을 조사한 실험이다. 실험에 사용된 쌍별귀뚜라미 (GB)와 왕귀뚜라미 (TE) 공시충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곤충생태학연구 실 내의 온실에서 대량 사육한 개체들을 사용하였다. 사육온도는 28􀆆C~30􀆆C이며, 장일 조건 (16L : 8D), 상 대습도는 50%~60%로 유지하였다. 매일 두 종의 개체수 를 계측하여 개체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더듬이를 제외한 체장 0.5 cm, 1 cm의 왕귀뚜라미 (TE)와 쌍별귀뚜라미 (GB)를 이용하여 왕귀 뚜라미 (TE) : 쌍별귀뚜라미 (GB)의 개체수 비율을 1 : 2, 1 : 1, 2 : 1로 나눈 총 3가지의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 과, 개체가 작을 때에는 쌍별귀뚜라미 (GB)의 세력이 약 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쌍별귀뚜라미(GB)의 세력이 왕귀 뚜라미(TE)보다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생존 종은 대부분 쌍별귀뚜라미 (GB)였으며, 쌍별귀뚜라미 (GB)의 노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생존력이 강한 경향 을 보였다. 쌍별귀뚜라미 (GB)의 생존율은 큰 차이를 보 이지 않았던 반면, 왕귀뚜라미 (TE)의 생존율이 큰 폭으 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4,000원
        1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wo-year survey on the insect fauna of Dokdo located at the eastern end of Korean territory, was carried out from 2009 to 2010. A total of 11 Orders 65 Families 131 Genera 133 Species of insects was reported to exist in Dokdo by Park et al. (2012).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ollection of small insects (under 1 mm in body length) in Dokdo. Form the collection, the comparison of the species composition to past records in Dokdo was carried out.
        4,000원
        14.
        2013.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터넷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소수의견, 비주류적 의견, 마음에 들지 않는 의견 등도 동등하게 공론의 장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통하여 자아의 형성과 실현, 공동체의 진보, 그리고 민주주의의 양적∙질적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반면 종래의 전통적인 매체 환경에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정보전달의 신속성과 그 광범성, 그리고 인터넷 환경의 빠른 보급 속도로 인하여 미처 인터넷을 통한 표현 환경에 관하여 자율적, 윤리적인 규범이 형성되기도 전에 이미 명예훼손, 사생활 침해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고 그 피해 또한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표현에 대한 규제는 불가피하다. 그러나 그러한 규제는 곧 헌법상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약이 되므로 그 규제의 기준과 방법을 설정함에 있어 인격권과 표현의 자유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현행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삭제, 임시조치 등 규제의 기준과 방법은 명확성의 원칙, 과잉금지의 원칙을 고려하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적법한 표현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별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하고, 규제 방법도 삭제 또는 시의성을 박탈하는 임시조치의 방법보다는 최소한의 표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중간지대’의 운영을 제안한다. 소명은 있으나 불법성이 명백하지 않은 게시물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삭제되지 않으며, 중간지대로 이동된다. 이동된 게시물은 경고(불법으로 판단될 수 있고 누구도 재공표할 수 없다)와 함께 접속되고 읽힐 수는 있으나 기술적으로 검색, 복사, 링크 등은 금지된다. 규제해야할 대상의 기준과 규제 절차를 적정하게 정한 후, 규제대상으로 판단되는 표현에 대하여는 그러한 표현행위는 물론 그 재공표 행위에 대하여도 엄격한 규제와 책임을 지우고, 적법한 표현에 대하여는 최대한 그 자유를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측가능성을 높여 위축효과를 줄이고, 서비스제공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적정한 규제조치를 취할수 있게 할 것이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