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그리고 혈청 중 FSH, LH, estradiol-17β 및 testosterone 농도에 미치는 품종과 계절의 영향을 조사하여 우수한 종모돈의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정액량이 많았으며, 정액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계절별 정액량은 듀록 및 요크셔종에서 봄철이 여름, 가을 및 겨울철에 비하여 많았고, 정자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듀록종과 요크셔종에서 각각 봄철에 생산한 정자가 여름, 가을 및 겨울철에 생산한 정자보다 동결-융해 후 정자운동성 및 정상첨체 비율이 높았다. 한편 듀록종과 요크셔종에서 동결-융해 후 정자운동성은 모든 계절에서 요크셔종이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첨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FSH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모든 계절에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 품종 모두에서 각각 계절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LH와 estradiol-17β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과 듀록종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두 품종 모두에서 계절 간에 차이가 없었다. 종모돈의 품종별, 계절별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요크셔종이 듀록종보다 모든 계절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품종 모두에서 각각 봄철이 여름, 가을 및 겨울철에 비하여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FSH의 농도가 낮을수록 정액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청 중 testosterone의 농도가 높을수록 동결-융해 정자의 운동성 및 정상첨체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cellulose digestibility using the transgenic pigs harboring cellulose degradation gene D (CelD). After delivered offsprings between normal pig and transgenic swine, DNA was isolated from piglets tail for PCR analysis. In first generation, five out of 65 piglets showed CelD positive. Unfortunately, four CelD-positive pigs were died during growing, but one survived pig was used as a transgenic founder to produce F₁ descendents. Among 3 F₁ transgenic pigs produced, one died and the remaining two pigs were used to test the fiber digest efficiency. An assorted feed was composite of 5% fiber with other ingredients. The feed of 3 kg per day was provided to the pigs including transgenic founders and littermate controls. The manure quantity was measured daily for a month, and all manures were dried for three days to analysis nitrogen, phosphate and fiber concentrations. The fiber digestion efficiencies of the transgenic F₁ pigs showed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igs. Fiber digestion was not greatly improved in transgenic pigs as it had been expected approximately 30%. Nitrogen concentration of transgenic pig′s manure was slowly decreased compare to the control pigs. Because there were only two transgenic pigs tested, a large number of transgenic pigs may be necessary to obtain more reliable data. Breeding of animals to obtain sufficient transgenic pigs subjected for a further study is on progress. Taken 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d successful production of transgenic pigs with increase of cellulose digestibility in the porcine feed.
The present study were performed to analysis the hematocrit and the red blood cells content into the blood plasma of the transgenic pigs harboring recombinent human erythropoietin gene (rhEPO). Mouse whey acidic protein (mWAP) linked to rhEPO gene was microinjected into pronuclei of porcine one-cell zygotes. After delivered of offspring, PCR analyses identified one mWAP-rhEPO transgenic founder offspring(F/sub 0/). The first generation of transgenic pig (F/sub 0/) harboring mWAP-hEPO appeared to be a male, and the second generation (F₁) pigs were made by natural mating of F/sub 0/ with domestic swine, and male and female transgenic pigs (F₁) were identified by PCR. The blood samples from transgenic and normal pigs were collected for 50 days during lactation and were counted the red blood cell (RBC) numbers and Hematocrit (HCT) content into the blood. The transgenic pigs expressing rhEPO in their blood gave rise to higher RBC numbers and HCT contents than control animals. rhEPO was secreted both in the blood and milk of genetically engineered pigs harboring rhEPO gen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model regarding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pig carrying hEPO transgene for biomedical research.
본 연구는 체외성숙된 돼지난포란을 액상정액으로 수정시 수정시간과 배양배지가 난포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정자농후정액 (30∼60 ml)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2시간 정도 서서히 냉각시킨 후, 정액을 15 ml 튜브에 담아 8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버리고 하부의 정자는 5 ml LEN 희석액으로 1×10/sup 9/ 전자/ml가 되도록 재희석하였다. 희석된 정액은 4℃ 냉장고에 보존하였다. 미성숙 난모세포의 성숙에 사용된 배지는 26.19 mM sodium bicarbonate, 0.9 mM sodium pyruvate, 10 ㎍/ml insulin, 2 ㎍/ml vitamin B/sub 12/, 25 mM HEPES, 10 ㎍/ml bovine apotransferrin, 150 μM cysteamine, 10 IU/ml PMSG, 10 IU/ml PMSG, 10 IU/ml EGF, 0.4% BSA, 75 ㎍/ml sodium penicillin G, 50 ㎍/ml streptomycin sulfate그리고 10% pFF를 첨가한 TCM-199 배지였다. 22시간 성숙 배양한 후 난모세포는 cysteamine과 hormone들을 배제한 후 38.5℃, 5% CO₂ incubator에서 22시간 더 성숙시켰다. 성숙된 난모세포는 채취 후 2일간 4℃에 보존된 액상정액으로 수정되었다. 난모세포는 500 μl mTBM 수정 배지에서 1×10/sup 6/ 정자/ml의 농도로 1, 3, 6 그리고 9시간 동안 수정시켰다. 그 후 난모세포는 500 μl NCSU-23, Hopes buffered NCSU-23, PZM-3 그리고 PZM-4 배양배지에 옮겨서 6, 48 그리고 14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율 그리고 난모세포의 난할율은 6 및 9시간 수정시간에서 1 및 3시간 수정시간 보다 높았다. 6시간 수정시 배반포형성율 (33.6%)은 1, 3 그리고 9시간 수정시 배반포형성율 (11.4, 23.0 그리고 29.6%) 보다 높았다. 배반포의 평균세포수는 6, 9, 3 그리고 1시간 수정시 각각 32.9, 27.6, 26.3 그리고 24.4개 였다. 분할된 난모세포의 배반포형성율 그리고 배반포의 평균세포수는 NCSU-23, PZM-3 그리고 PZM-4 배양배지보다 HEPES buffered NCSU-23 배양배지가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4℃ 보존 돼지액상정액은 체외성숙된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수정에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체외성숙된 돼지 난모세포는 500 μl mTBM 수정배지에서 1×10/sup 6/ 정자/ml로 6시간 공배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HEPES buffered NCSU-23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