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installation of advanced warning devices affects individual drivers’driving behaviors with operating record data collected from 100 vehicles. METHODS: With collected data, the changes in individual drivers’driving behaviors, such as 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and Lane Departure Warning (LDW),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umulative distance traveled and driving time. For the analysis, operating record data collected from 100 vehicles for seven months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drivers’driving behaviors could be categorized into six different types. In addition, most of the drivers showed unstable warning patterns in the initial stage after installation of an advanced warning device. Approximately 40% of vehicles equipped with advanced warning system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indicating that the frequencies of both FCW and LDW had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after installation of the system. CONCLUSIONS : The warning device might be helpful for making drivers’driving behaviors safer. Driving behavior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system installation, which might be regarded as an adaptation phase, were found to be very unstable compared with normal situations, indicating that adequate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all the drivers to prevent operator disruption at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system.
        4,000원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린이 교통사고 중 사망 및 중상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차량이 어린이 보호구역을 일정속도 이하로 주행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그 때문에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의 제한속도는 현재 30km/h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어린이 보호 구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주행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차량들이 제한속도 이상의 속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 보호구역 설치 및 운영의 근본 취지에 반하는 것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이 근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 시설물 조사와 속도조사를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제한속도 준수여부를 파악하여 제한속도 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조사시간, 차로수, 보도폭, 도로의 유색포장 상태가 유의수준인 95% 수준에서 속도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의 어린이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0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azotization of STA synthesized by the indirect diazotization method. The effect of catalyst and agitation (rpm) about STA and H-acid reaction were examined and the optimum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yields and characteristics of 1.st coupling and diazotization synthesis were identified by HPLC and FT-IR analysis. 1.st condensation of CNC and mPDSA were synthesized at 5℃ and pH=6.5. The conditions of alkaly coupling of H-acid were synthesized at 5℃ and pH=8. The condensation of products was identified by U. V. analysis. From this results, It was obtained to reactive dyestuffs of bi-functional reactivity with high fastness and high adsorption.
        4,000원
        5.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activities and discussions on specialized area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construction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for efficient field management by deriving items necessary for safety management in landscape construction fields through experts' opinion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elphi analysis to derive "management items" and "safety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landscape type" for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safety for a total of 15 landscape construction specialis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four top items were derived from the "management items" for the safety of landscape construction fields; they includ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 and educati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payment of personal protection," and "establishment of safety measures." In addition, two to five items for each higher item appeared and resulted in a total of 13 lower items. Personnel, organization, budget, etc. for safety management are always required in the field, and the monitoring part of whether these elements are working was also taken up as a management item. In the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each landscape construction" a total of eight landscape type were distinguished, they include: ‘Reinforced concrete work’, ‘Masonry work’, ‘Plaster's work’, ‘Waterproof work’, ‘Stone masonry work’, ‘Pavement work’, ‘Facilities work’, and ‘Planting work’. Furthermore, two to seven sub-items for each construction type were derived, and a total of 35 management items were presented.
        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is study, Inspection and test was carried out in Tunnel. After this process, Numer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3D. A result of inspection and test, It couldn't find the reason why the upper slab crack was detected. The result of 3D Numerical Analysis, The reason was found that the Demage on upper slab was caused by moment change. The Moment was changed by column interval transition. To figure out the cause of cracks, we are using FEM. This Study can help developing designation and maintenance about Tunnel.
        7.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찾기 위하여 체형별로 세가지 스윙패턴(1패턴- 높은 스윙, 2패턴- 깊은 스윙, 3패턴- 넓은 스윙)을 적용하여 신체분절의 협응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신체동작과 효과적인 스윙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형별로 각각 3명씩 총 9명을 선정하여 3가지 스윙패턴을 Kwon 3D ver. 3.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운동학적 자료를 기초로 동작수행 시각관절의 공간적 협응형태를 알아보고 구간별 각 관절(무릎- 고관절- 상체)이 체형별 스윙패턴에 따라 어떻게 협응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절간 각도-각도 도면(angle-angle diagram)을 작성하여 질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릎-고관절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에서 전환점동조, P3에서 동형동조, P4에서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고관절 상체의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구간은 이형동조, P4에는 동형동조 협응형태를 보였다. 무릎 상체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동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에는 동형동조, P4에는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내배엽체형은 스윙의 크기를 적게 형성하고 하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체의 좌, 우 움직임이 많고 백스윙이 간결한 형태의 스윙을 가졌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고 중배엽체형은 상체와 하체의 상대적 각도 차이를 크게 가져가며 중심축과 양 힙축을 중심으로 상체의 회전만으로 스윙했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으며 외배엽체형은 스윙아크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크게 형성하여 하나의 중심축으로 상체회전을 시켜 백스윙의 높이를 높게 가졌을 때 가장 효율적인 동작이 형성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