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점 척도인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와 5점 척도인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3점 척도로 단순화시켜 원본 PASS, BBS와 특성을 비교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PASS(0-1-2-3)는 PASS-3Level(0-1.5-3)로 BBS( 0-1-2- 3-4)는 BBS-3Level(0-2-4)로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PASS-3L과 BBS-3L 평가의 측정자내·측정자간 신 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를(ICC3,1), 절대적 신뢰도는 표준 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 저 실제 차이(Small Reference Differences: SRD)를 이용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PASS(PASS-3L), BBS(BBS-3L)의 동시 타당도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퓨글 마이어 운동(Fugl Meyer-Motor: FM-M)과의 수렴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PASS-3L과 BBS-3L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ICC = .96, .96,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ICC = .95, .94이었다. PASS-3L과 BBS-3L의 SEM은 각각 .99, 1.55, SRD는 1.74, 4.30, Cronbach's α계수는 .77, .85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PASS-3L의 동시 타당도는 PASS(r=.93), BBS(r=.75), BBS-3L(r=.80)과 유의한 관 련이 있었고, BBS-3L은 PASS(r=.80)와 BBS(r=.9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PASS-3L의 수렴 타당도는 MBI(r=.60), FM-M(r=.42)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BBS-3L은 MBI(r=.79), FM-M(r=.48)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2개의 단순화된 PASS-3L과 BBS-3L은 PASS, BBS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뇌졸 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4,500원
        2.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HMBT)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3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s(HMBT)가 임상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준관련 타당도 분석을 이용하여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Modified Barthel Index: MBI), 기능적 독립 수준(Modified Rankin Scale: MRS)과 상지기능 수행 평가 도구인 Brunnstrom Stage Scale(BSS), Hand Movement Scale(HMS), 자세조절(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MP/CP), 체간 조절(Trunk Control Test: TCT)과의 피어슨(Pearson correlation)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HMBT의 측정자내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와 측정자간 신뢰도(Intra-rater reliability)를 알아보기 위하여 Kappa계수와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를 구하였으며, HMBT항목들의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HMBT의 U/E, H/F에 대한 측정자내 신뢰도는 각각 Kappa=.960~.950, ICC=.995~.994이었으며, 측정자간 신뢰도는 Kappa=.959~.918, ICC=.990~.986으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931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HMBT는 MBI(r=.64~.66), MRS(r=-.63~.71), HMS(r=.82), BSS-Arm/Hand(r=.81~.82)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PASS-MP/CP(r=.42~.52), TCT(r=.55~.64)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HMBT는 MBI, HMS, BSS, PASS-MP/CP, TCT, MRS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 및 내적 일치도를 보여 뇌졸중 환자의 실제적인 임상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200원
        3.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근 긴장도 변화 및 상지기 능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4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모든 환자들은 자세조절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PASS),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측정 도구(Modified Barthel Index, MBI), 긴장도 사정 척도(Tone Assessment scale, TAS), Fugl-Meyer 평가 척도(Fugl-Meyer Assessment scale-upper extremity) 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PASS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지지하여 서기로 나타났으며,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환측으로 서기였고,MBI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의자/침상 이동이며, 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목욕하기로 나타났다.PASS의 모든 항목은 MBI, FM-UE, TAS와 유의한 상관관계(r=-33~91, p<.05~01)가 있으며,FM-U/E와 MBI(r=.35, p<.05), TAS- 안정(r=.-40, p,<.0.1), 연합항목(r=-.39,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86로 높게 나타났으며,PASS의 합과 자세유지 항목 (r=.90 p<.01)의 합,자세변화 항목(r=.93,p<.01)의 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자세유지 항목의 합과 자세변화 항목의 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69,p<.01)가 있었다.PASS 항목 중 누운자세에서 건측으로 돌기와 바닥에서 볼펜집어 올리기가 각각 ADL과 상지 기능을 예견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R2=.95, R2=.56)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ASS는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4.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ical treatment has been widely used for porcine oocytes activation. However, developmental rates following electrical activation of porcine oocytes is relatively inefficient compared to other domestic animal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cine oocytes on combined activation by both chemical and electrical treatment, in-vitro matured oocytes were activated by combined cycloheximide and electrical pulses treatment. Cumulus-free oocytes were exposed with NCSU-23 medium containing cycloheximide (10μgml) for 0, 5, 10, 20, 30 min and then activated by electrical pulse treatment and cultured in PZM-3 for 8 days. Also effects of exposure to 6.25μM calcium ionophore for 2 min for cumulus-free oocytes were tested. The percentage of blastocyst formation in 10 min exposure to 10μgml cycloheximide and electrical pulse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exposure to 6.25μM calcium ionophore for 2 min with 10μgml cycloheximide for 10min and electrical puls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percentage of blastocyst developmental rate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activation by combined cycloheximide and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promote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porcine oocytes and improved the subsequence blastocyst development
        4,000원
        5.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Wolf Motor Function Test는 상지와 손기능 검사를 위해서 개발된 도구이며 국외에서는 이미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가 이루어져 널리 쓰이고 있고 이러한 WMFT를 한글화하여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상지 및 손기능 장애의 평가와 재활의 기초선을 마련코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 발병 6개월 이상된 성인 편마비 환자로 평균 연령 54.45세의 남자 12명, 여자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으며 이들은 기능성 정신질환이나 기질성 정신질환이 없는 환자이며 오른쪽 마비12명, 왼쪽 마비 8명으로 모든 환자의 우세손은 우측이었다. 본 검사를 위해 1명의 작업치료사와 1명의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번역 작업이 완성 되었으며 3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가진 1명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밝고 조용한 평가실에서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이미 신뢰성 및 타당도가 입증된 Fugl-Meyer Assessment(FMA)를 이용하였으며 WMFT를 이용해 수행시간과 기능 점수를 평가하였다. 결과 : 한글판 WMFT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FMA와 비교한 결과 수행시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80, 기능적 점수와의 상관계수는 0.94로 둘 다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한글판 WMFT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수행시간에서 0.92, 기능적 점수에서 0.96으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글판 WMFT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의 효과를 알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치료의 효과 측정과 더불어 상지와 손기능 장애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4,300원
        10.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urate analysis of nuclear status is needed when biopsied-blastomeres are used for embryo sexing. In this study, the nuclear status of blastomeres derived from 8- to 16-cell stage IVF bovine embryos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 of single blastomere for embryo sexing. When 55 embryos were analyzed by PCR following biopsy, the coincident rate of sex determination between biopsied-single blastomere and matched blastocyst by PCR was 80 %. Karyotyping of biastomeres in 8- 16-cell stage bovine embryos was conducted to assess chromosome status of IVF embryos. To establish karyotyping of blastomeres, concentrations of vinblastine sulfate and duration of exposure time for metaphase plate induction with 8- to 16-cell stage bovine embryos were tested. The most effective condition for induction of metaphase plate (>45%) was 1.0 ug/ml vinblastine sulfate treatment for 15 h. In 22 embryos under the condition, only 8 embryos out of ten that had a normal diploid chromosome complement showed a sex-chromosomal composition of XX or XY (36.4%) and 2 diploid embryos showed mosaicism of the opposite sex of XX and XY in blastomeres of embryo (9.1%). One haploid embryo contained only one X-chromosome (4.5%). Four out of the other 11 embryos having a mixoploid chromosomal complement contained haploid blastomere with wrong sex chromosome (18.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rphologically normal bovine embryos derived from IVF had considerable proportion of mixoploid and sex-chromosomal mosaicism which could be the cause of discrepancies of the sex between biopsied-single blastomere and matched blastocyst by PC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