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경기북부지역에서 유통 중인 식품 18,446건을 대상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식품공전과 식품첨가물공전의 시험방법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18,446건 중 전체 부적합은 184건으로 부적합율은 1.00%수준이었다. 연도별로 부적합률을 보면, 2010년에 3,683건 중에서 61건이 부적합으로 1.66%의 부적합률을 보였고, 2011년에는 3,863건 중에서 부적합이 37건으로 0.96%, 2012년에는 3,721건 중에서 부적합이 44건으로 1.18%, 2013년에는 3,669건 중에서 부적합이 25건으로 0.68%, 2014년에는 3,510건 중에서 부적합이 17건으로 0.48%의 부적합률을 보여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근 5년간 부적합률을 월별로 분석하면 9월이 2.54%로 부적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유형별 부적합 분포는 들기름이 204건중 23건이 부적합하여 11.27%, 참기름이 394건중 32건으로 8.12%, 절임류가 177건중 9건으로 5.08%, 고춧가루가 283건중 10건으로 3.53%, 추출가공식품이 451건중 15건으로 3.33%, 순으로 나타났다. 검사 항목별 부적합 건수의 분포는 전체 192건 중에서 세균수가 28건으로 15.22%로 가장 높았으며, 리놀렌산과 산가가 27건으로 14.67%, 요오드가가 19건으로 10.33%, 내용량이 16건으로 8.70%, 그리고 이산화황이 9건으로 4.89%을 보였다. 주요부적합 식품유형 및 검사 항목의 교차분석 결과는 참기름 32건에서는 리놀렌산이 27건으로 84.38%로 가장 높았으며, 요오드가가 6건18.75%, 그리고 벤조피렌이 2건으로 6.25%로 나타났다. 들기름 23건에서는 요오드가가 12건으로 52.17%로 가장 높았으며, 산가가 9건으로 39.13%와 벤조피렌이 2건으로 8.70%를 보였다. 과자류 20건에서는 산가가 10건으로 50.00%, 추출가공식품 15건에서는 세균수가 100%, 고춧가루 10건에서는 수분이 7건으로 70.00%로 각 품목에서 가장 높은 부적합율을 보였다. 식품유형에 따른 연도별 부적합 현황을 분석하면 참기름과 들기름의 경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10.00% 이상의 부적합률을 보이다가 2013년 이후 줄어들어 5.00%이하를 기록하였으며 2014년에는 부적합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에 과자류의 경우는 부적합 건수가 줄어들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10년에는 기타식초류가 9건 중에서 부적합이 5건으로 55.56%의 높은 부적합률을 보였다. 2011년과 2012년에는 참기름에서 각각 10.53%와 18.03%, 2013년에는 고춧가루에서 10.94%, 2014년에는 추출가공식품에서 12.50%의 부적합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최근 5년간 경기북부지역에서 제조되고 유통되는 식품에서 안전 기준에 부적합한 항목들이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식품으로 인한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더욱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식품의 안전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ikonin, a major ingredient in the traditional Chinese herb Lithospermumerythrorhizon, exhibits multiple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effects.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shikonin displays antitumor properties in many cancer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shikonin could inhibit oral squamous carcinoma cell (OSCC) growth via mechanisms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The effects of shikonin on the viability and growth of OSCC cell line, SCC25 cells were assessed by MTT assay and clonogenic assays, respectively. Hoechst staining and DNA electrophoresis indicated that the shikonin-treated SCC25 cells were undergoing apoptosis. Western blotting, immunocytochemistry, confocal microscopy, flow cytometry, MMP activity, and proteasome activity also supported the finding that shikonin induces apoptosis. Shikonin treatment of SCC25 cells resulted in a time- and dos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increase in apoptotic cell death. The treated SCC25 cells showed several lines of apoptotic manifestation as follows: nuclear condensation; DNA fragmentation; reduced MMP and proteasome activity; decrease in DNA contents;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translocation of AIF and DFF40 (CAD) onto the nuclei; a significant shift in Bax/Bcl-2 ratio; and activation of caspase-9, -7, -6, and -3, as well as PARP, lamin A/C, and DFF45 (ICAD). Shikonin treatment also resulted in down-regulation of the G1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up-regulation of p27KIP1. Taken together, our pres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shikonin strongly inhibits cell proliferation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G1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that it induces apoptosis via the proteasome, mitochondria, and caspase cascades in SCC25 cells.
        4,200원
        4.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apoptotic effects of co- treatments with Chios gum mastic (CGM) and eugenol on G361 human melanoma cells. An MTT assa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is co-treatment efficiently reduces the viability of G361 cells compared with each single treatment. The induction and augmentation of apop-tosis were confirmed by DNA electrophoresis, Hoechst stai-ning, and analyses of DNA hypoploid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fluorescent staining were also performed to evaluate expression and translocation of apoptosis- related proteins following CGM and eugenol co-treatment. Proteasome activity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changes were also assayed.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treatment of CGM and eugenol induces multiple pa-thways and processes associated with an apoptotic response in G361 cells. These include nuclear condensation, DNA fragmentation, a reduction in MMP and proteasome acti-vity, an increase of Bax and decrease of Bcl-2, a decreased DNA content, cytochrome c release into the cytosol, the translocation of AIF and DFF40 (CAD) into the nucleus, and the activation of caspase-9, caspase-7, caspase-3, PARP and DFF45 (ICAD). In contrast, separate treatments of 40 µg/ml CGM or 300 µM eugenol for 24 hours did not induce apoptosis. Our present data thus suggest that a combination therapy of CGM and eugenol is a potential treatment strategy for human melanoma.
        4,000원
        5.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le acids and synthetic bile acid derivatives induce apop-tosis in various kinds of cancer cells and thus have anti-cancer properties. Recen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autop-hag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ancer therapy. How-ever, few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role of autophagy in oral cancers and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autophagic cell death in OSCCs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in-duced by HS-1200, a synthetic bile acid derivative. We thus examine whether HS-1200 modulates autophagy in OSCCs. Our findings indicate that HS-1200 has anticancer effects in OSCCs, and we observed in these cells that autophagic vacuoles were visible by monodansylcadaverine (MDC)and acridine orange staining. When we analyzed HS-1200-treated OSCC cells for the presence of biochemical markers, we observed that this treatment directly affects the conversion of LC-3II, degradation of p62/SQSTM1 and full-length beclin-1, clea-vage of ATG5-12 and the activation of caspase. An autop-hagy inhibitor suppressed HS-1200-induced cell death in OSCCs, confirming that autophagy acts as a pro-death signal in these cells. Furthermore, HS-1200 shows anticancer acti-vity against OSCCs via both autophagy and apoptosis. Our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HS-1200 may potentially cont-ribute to oral cancer treatment and thu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agent.
        4,000원
        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곡류에서 오염되는 곰팡이독소인 아플라톡신과 데옥시 니발레놀을 경기도 내 유통 곡류 및 그 가공품 205개 시료에서 분석하였다. 총아플라톡신은 16개 시료(8%)에서 0.01~27.88 μg/kg 농도로 검출되었고, 데옥시니발레놀은 56 개 시료(27%)에서 2.2~754.4 μg/kg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8개 시료는 아플라톡신과 데옥시니발레놀이 동시에 검출 되었다. 아플라톡신의 검출빈도는 건조옥수수와 부침가루 각각 33%, 튀김가루 25%, 수수 18%, 밀과 기장에서 각각 13%로 나타났고, 데옥시니발레놀의 검출빈도는 율무 85%, 밀 75%, 팝콘용옥수수가공품 60%, 수수 55%, 보리 44%와 건조옥수수 3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한 곡류의 총아플라톡신과 데옥시니발레놀의 성인 1일 인체노출량은 0.80 (×) 10−3 μg/kg b.w./day과 0.18 μg/kg b.w./day 이었으며, 데옥시니발레놀의 성인 1일 인체노출량은 JECFA에서 제정된 PMTDI 1 μg/kg b.w./day 대비 18.5%에 해당하는 농도로 곡류 섭취를 통한 건강상의 위해 가능성은 미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총아플라톡신이 가장 높게 검출된 건조옥수수 (27.88 μg/kg)와 데옥시니발레놀이 가장 높게 검출된 율무 (754.4 μg/kg)의 경우 총아플라톡신은 국내·외 규제 최고 농도를 초과한 수준이었으며, 데옥시니발레놀은 일부 국외 규제 최고농도를 초과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이 곰팡이가 생육하기 좋은 환경으로 변해가므로 곡류제품이 원산지로 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생산·유통과정 중 어느 시점에서 곰팡이독소가 오염되는지에 대한 연구·관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