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흥시장 다국적기업(EMNEs)의 국제화 과정에서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는 제도적 거 리(institutional distance)에 대한 전략적 적응 양상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워드 분석에는 VOSviewer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여섯 개의 주요 연구 주제 가 도출되었다. 각 클러스터는 EMNEs와 제도적 거리 관련 연구의 다양한 하위 주제를 포괄하고 있다. 선행연구는 제도적 거리가 EMNEs의 국제화에 대해 제약이자 동시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 음을 보여준다. 문화적, 지리적, 규제적 거리는 운영상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지만, 혁신과 전략 적 적응을 유도하고, 제도적 공백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기도 한다. 본 연 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위험 완화를 위한 제도적 프레임워크 활용, 자원 확보를 위한 국경 간 인수합병, 그리고 제도적 정렬을 통한 혁신 촉진 등과 같은 주요 전략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 탕으로, EMNEs의 전략적 적응 및 제도적 거리 연구의 진화 경로를 분석하고, 체계적 이해를 위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트럼프 정부 2기 출범에 따른 제도 환경의 변화가 EMNEs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6,100원
        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쇠검은머리쑥새(Emberiza yessoensis)는 국내 및 중국, 일 본 등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로, 이들의 번식지는 국내를 제외한 러시아, 몽골, 중국, 일본의 일부지역에 분포하는 것으 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번식 사례가 최초로 관찰되 어, 이후 이들 개체군을 보전하기 위한 기초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쇠검은머리쑥새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서 준위협(NT)종으로 취급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멸종위 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있다. 이들의 국내 서식지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월동 및 번식개체군 모두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체군 크기, 서식지 면적 등 이들의 정확한 국내 개체군 기초정보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아 이들의 멸종위기 위험정 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우리의 연구목 적은 쇠검은머리쑥새의 국내 멸종위기 등급을 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위해 10개 이상의 microsatellite 분자표지자를 개발하고 있 다. 현재까지 29개의 분자표지자를 디자인 하였으며, 10개의 다형성을 나타내는 microsatellite 유전자좌를 관찰하였다. 이 중 4개 유전자좌의 유전다양성을 경기 안산지역에 서식중 인 32개체의 쇠검은머리쑥새 번식개체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립유전자수(A)는 2~16개, 관찰이형접합빈도(HO)와 기대이형접합빈도(HE)는 각각 0.06~0.78, 0.12~0.90의 범위 를 나타냈다. 향후 10개 이상의 microsatellite 분자표지자를 개발하여 쇠검은머리쑥새 번식개체군의 유전다양성 및 유전 구조를 파악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개체군 기초정보가 알려져 있지 않은 국내 쇠검은머리쑥새 번식개체군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microsatellite 분자표지자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 서식중 인 쇠검은머리쑥새 개체군 보전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4.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fety awar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 engaged in radiological emergency organization of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In 2022, the questionnaire for the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 was revised to regulary evaluate the effect of edcation on perceptions of importance on emergency preparedness for nuclear research facilities. In line with, a standard questionnaire was created which covers 3 factors and 9 attributes, and the evaluation indicatior is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In 2023, the education on radiological emergency preparedness was conducted for 235 emergency staff. From May 24 to July 13, 2023,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235 emergency response personnels, including 28 new staffs and 207 maintenance staffs. Aa a result of respons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education for radiological emergency respons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omoting safety culture. It was found that senior emergency personnel with more years of experience are highly interested in radioactive disaster preven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and training. On the other hand, it was presented that new and less experienced groups tend to have a relatively high scored of the risk perception of nuclear research faciliti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actical curriculum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junior disaster prevention personnel in education and training, ensuring that they correctly recognize the risk of research facilitie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drills for radiological emergency response at KAE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