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비슬산 이중편파 Radar 자료와, GPM 위성자료 및 21개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지상강우자료를 활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2, KIMSTORM2)을 이용해 남강댐 유역(2,293 km2)을 대상으로 유출해석을 수행 하였다. 모형의 유출 해석은 2016년 10월 5일 02:00∼09:00 총 8시간 동안 최대강우강도 33 mm/hr, 유역평균 총 강우량 82 mm이 발생한 태풍 차 바(CHABA)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adar 및 GPM 자료와 조건부합성(Conditional Merging, CM) 기법을 적용한 Radar (CM-corrected Radar) 및 GPM (CM-corrected GPM) 자료를 각각 활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 때, 공간 강우자료에 유출 검보정은 남강댐 유역 내 3개의 수위관측 지점(산청, 창촌, 남강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매개변수 초기토양수분함량, 지표와 하천의 Manning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유출 결과는 결정계수(Determination coefficient, R2),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 및 유출용적지수(Volume Conservation Index, VC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CM-corrected Radar, GPM 자료가 평균 R2는 0.96, NSE의 경우 0.96, 유출용적지수(VCI)는 1.03으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CM 기법을 이용한 보정된 공간분포자료는 기존의 자료에 비해 시공간적으로 정확한 홍수 예측에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령댐 유역(163.6 km2)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기 후변화 시나리오와 다중회귀분석으로 산정한 미래 방류량을 활용하여 극한 기후변화 사상이 반영된 보령댐의 물부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상자료, 보령댐 운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보정을 위해 보령댐의 실 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고려하였고 유입량 및 방류량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보정(2007~2010)과 검증(2010~2016)을 실시하였다. 기후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APCC의 26개 CMIP5 GCM 자료 중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4.5와 RCP 8.5 시나리오를 SPI와 극한 가뭄지수로 분석하여 RCP 8.5 BCC-CSM1-1-M을 극한 가뭄 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일별 관측자료로 다중회귀분석하여 월별 방류량 추정식을 만들었고, 1월부터 12월까지 각 식들의 결정계수 R2는 0.57 이상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극한 가뭄 시나리오 기상자료를 방류량 추정식에 대입하여 미래기간 일별 방류량을 구축하였다. SWAT 수문평가 결과, S3 (2037~2046) 기간 봄철 저수량이 34.0%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uns 이론을 바탕으로 물부족의 심도를 구한 다음 재현기간에 따른 빈도해석을 하였다. 5~10년 빈도의 심 도로 발생하는 물부족이 미래기간에 발생하는 빈도로 보령댐의 물부족을 평가하였다. 물부족 평가 결과, S3 (2037~2046) 기간에서 5~10년 빈도의 심도를 가지는 물부족이 기준기간(2007~2016) 보다 2회 더 발생하였으며 S3 (2037~2046)에 물부족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Wild rice might have previously unidentified genes important for disease resistance and stress tolerance in respons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 set of subtractive library was constructed both from leaves of wild rice plants, Oryza grandiglumis (CCDD, 2n=48), treated with fungal elicitor and from wounded leaves. A partial fragment that was homologous to PR10 genes from other plant species was identified via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and cDNA macroarray. The obtained full-length cDNA sequence (OgPR10)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of 480 bp nucleotide, encoding 160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16.944 kDa and an isoelectric point (pI) of 4.91. The multiple alignment analyses showed the higher sequence homology of OgPR10 with PR10 genes identified in rice plants at amino acid level. The OgPR10 mRNA was not expressed by treatment with wounding, jasmonic acid, and salicylic acid, but markedly expressed in leaves treated with protein phosphatase inhibitors cantharidin and endothall, and yeast extract.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OgPR10 mRNA was induced within 72 h after treatment with probenazole, one of well-known chemical elicitors, and reached the highest level at 144 h. Heterologous expression of OgPR10 caused growth inhibition and seedling lethality in E. coli and Arabidopsis, respectively. Chemically induced OgPR10 expression with glucocorticoid-mediated transcriptional induction system further reconfirmed its lethality on Arabidopsis seedling. In addition, OgPR10-expressing rice plants, Oryzae sativar were resistant against the infection of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grise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gPR10 is involved in probenazole- and microbe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mediated disease resistance responses in plants and is a potential gene for developing disease resistance crop plants.
Soybean 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chinohe, SCN) is an important soybean pest and the use of resistant cul-tivars is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or eliminate SCN damage. SCN resistance loci, rhg1 and Rhg4 are generally accepted as anecesity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