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white tea, yellow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ith respect to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se teas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a brewed at different temperature (50, 60, 70, 80℃) and extraction times (1, 3, 5, 10 minute). Catechins contents were the largest at 5 minutes and generally declined by 10 minutes. Green tea catechins contents were highest when brewed at 70℃ and besides other teas a change of the trend variation at 70 and 80℃. These temperatures did not extract theaflavins in green tea. Extract temperature and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aflavins content of white tea, yellow tea, and oolong tea. Black tea, however, was noticeably dependent on extract conditions, which were most effective at 70℃, brewed for 5 minutes. Caffeine content of green tea, yellow tea, and oolong tea was highest at 5 minutes, but temperature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content. White tea and black tea caffeine content was highest when brewed at 70℃ for 5 minutes. Theobromine content of green tea, yellow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did not show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study times or temperature, though the content in white tea increased with higher temperatures when brewed for 5 minutes.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until 5 minutes, and showed not further increase at 10 minutes. Antioxidant capacity of green tea, white tea, and yellow tea were maximized at 70℃ for 5 minutes or 80℃ for 3 minutes, while oolong and black tea were reached maximum antioxidants at 70℃ for 5 minutes. In general, to optimize the beneficial chemical content of brewed tea, a water temperature of 70℃ for 5 minutes is recommended.
        4,000원
        3.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studies on sentence processing show that late learners of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those who begin learning after puberty, differ from native speakers (and early L2 learners) as to how they comprehend complex sentences in real time. One construction in which this difference has been discovered is in the processing of non-local dependencies where constituents are displaced, such as in sentences containing wh-dependencies: The nurse who the doctor argued that the rude patient had angered ___ is refusing to work late. This paper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recent findings investigating this issue. To this end,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L1 and L2 speakers in employing lexical and syntactic information to resolve these types of dependencies a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L2 learners appear to associate the fronted wh-phrase directly with its lexical subcategoriser, without postulating an intermediate gap position. Our result is argued to render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L2 learners under-use syntactic information in L2 processing, which causes them difficulty in processing the L2 input in a native-like fashion.
        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amine morphological processing of past tense in English, we set up an ERP-based experiment where the participants read stem forms of regular and irregular verbs presented by using the repetition priming paradigm: the stem forms were either preceded by their past tense forms (primed condition: walked-walk, hold-held) or by their past tense forms of unrelated verbs (unprimed condition: stayed-walk, taught-held). The difference in ERP responses between the primed and unprimed stems was taken as showing morphological priming effects. In the previous studies (e.g., Münte et al. (1999)), native speakers of English elicited the reduced N400 in regular verbs, but not in irregular verbs. However, this study found an N400 reduction in the primed condition in both regular and irregular verbs. The reduced N400 effects were also manifested in control conditions: phonological words and the regular nonce verbs. These effects show that Korean L2 learners process regular and irregular forms in an identical way, whereas native speakers processed regular and irregular forms using a dual route reported in the previous studies. To conclude, Korean L2 learners do not process morphologically as native speakers do. There are some factors that affect L2 processing. First, L1 speakers use grammatical (=morphological/syntactic) information in language processing, but L2 learners do not. According to Clahsen and Felser (2006), L2 learners' grammatical processing capacity is limited. Second, L1 is acquired implicitly by children, but L2 is learned explicitly in formal classrooms. Finally, with maturational changes, late L2 learners use a declarative memory system rather than a procedure memory system in L2 grammatical processing.
        8.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지에서의 제염에 따른 식생의 변화와 수도의 근모형성에 대한 염해의 영향을 알기 위하여 강화도, 남양 및 계화도 간척지를 중심으로 1982년 여름에 본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척후, 저습지에서는 퉁퉁마디와 칠면초가 최초로 우점종을 형성하는 고등식물이었으며, 제염이 됨에 따라 버들명아주가 출현했고, 또 이것에 이어 매자기와 갈대가 우점종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며 매자기와 갈대가 우점종이 되는 염도의 토양에서는 수도재배에 대한 염해의 영향은 문제화되지 않았다. 2. 습지에서는 퉁퉁마디와 칠면초에 이어 사철쑥과 갯개미취가 우점종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에는 단자엽 화본료 잡초들의 이입이 시작되었다. 3. 건조지에서는 나문재와 해홍나물이 최초의 우점 고등식물로 등장하게 되고, 또 갯능쟁이도 있었지만 군락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4. 건조지에의 식물이입은 습지를 중심으로 이미 이입된 식물들이 제염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일어나게 된다. 5. 토양염도의 근모형성에 대한 형향은 고염도토양에서 생육된 것일수록 저염도 토양에서 생육된 것에 비하여 근모형성율은 낮추고, 또 근모장도 짧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형성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염해의 정도가 서로 다른 3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염지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보다 천근성을 나타냈다. 2.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을 구성하는 관근수는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의 근군을 구성하는 관근수보다 적었다. 3. 각 요소에서 출근된 관근수도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보다 적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이앙후 출근하는 요소에서부터 나타났다. 4. 각 처리구의 관근에 형성된 분지근의 밀도는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5. 각 처리구의 관근에 형성된 근모의 형성양상은 고염지에서 생육된 수도가 저염지에서 생육된 수도에 비하여 근모형성율이 낮고 또 근모장도 짧은 경향을 나타냈다.
        10.
        198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탁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형성과 물관리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이한 물관리를 한 간탁답과 상시담수를 한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을 채취하여 비교ㆍ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탁지상시담수구와 간탁지 2일환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작토의 표층부에 분포되어 있었나, 간탁지암거배수구와 숙답상시담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작토의 심층부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2. 간탁지상시담수구와 간탁지 2일환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간탁지암거배수구나 숙답상시담수구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보다 관근수가 적었다. 3. 재배지나 물관리에 관계없이 유수형성기 이후에 발근하는 요소에서는 생장중지형 관근의 비율이 생육 초 중기의 그것보다 높았다.
        11.
        198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탁답과 Leaf-cutting method를 이용하여 수종의 수도품종에 대하여 내염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탁답에 이항 후 초기 출근량은 밀양 30호와 조생통일이 양호한 편이었다. 2. Leaf-cutting method를 이용한 내염도 측정에서도 조생통일과 밀양 30호가 출근량이 높았다.
        12.
        198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동일요소에 형성된 각 관근의 신장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에 있음을 알았다. 1. 분벽아를 제거하여 각 관근만을 sink로 하였을 경우에는 중륵의 가까운 곳에 형성된 관근이 분벽아쪽에 형성된 관근보다 신장량이 좋았다. 2. 분벽아가 관근과 같이 sink로서 존재할 경우, 전출엽요소에서 출근한 관근이 가장 길었으며 또 분벽경 부근에 형성된 관근이 그 다음이었고 중륵 쪽에 형성된 관근이 가장 짧았다.
        13.
        197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의 형태 형성을 알기위하여 간척답과 숙답에서 재배된 수도의 근군을 채취하여 비교·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 의 근군은 작토의 표층부에 밀집되어 있는 상태였으나,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작토의 심층부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2.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 발달은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보다 불량했다. 이와 같은 경향은, 특히 이식 직후 출근하거나 관근의 원기가 형성되는 하위 요소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재배 토양에 관계없이 유수형성기 이후에 출근하는 요소에서는 생장중지형 관근이 점하는 비율이 생육 초·중기의 그것보다 높았다. 4. 분기근의 형성밀도는 수도의 생육후기에 출근하는 관근을 제외하고는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가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