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와 토경(매립) 복령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비교를 위해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산소가 45~46%로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39~41%의 탄소, 6.06~6.1% 수소, 0.21~0.22% 질소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험을 실시한 복령 모두에서 황 성분은 발견되지 않았다. 시설 및 토경 재배 복령을 ICP 분석법으로 11종의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S, Fe, Mg, Zn의 함유량은 1년차, 2년차 모두 토경 재배 복령이 시설 재배 복령보다 많았으며 특히 Fe와 Zn의 함유량은 각각 약 3.1~4.9배, 3.6~3.9배 높았다. 50% 에탄올 복령 추출물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FRAP 방법을 실행하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복령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시설 및 토경 재배 복령의 DPPH IC50 값은 1년산 시설 재배(8.601mg/mL), 1년산 토경 재배(12.85mg/mL), 2년산 시설 재배(1.23mg/mL), 2년산 토경 재배(1.18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IC50값은 1년산 시설 재배(15.85mg/mL), 1년산 토경 재배(14.59 mg/mL), 2년산 시설 재배(3.9 mg/mL), 2년산 토경 재배(14.92 mg/mL)로 계산되었다. 연구에 사용한 복령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인 증가를 보였고 2년산 시설 재배 복령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FE-SEM을 이용하여 복령 입자의 초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샘플간의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4,000원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iscriminate the geographical origins of domestic and chinese Wolfiporia extensa. They were subjected to oxygen (45.32 to 48.07%), carbon (38.09 to 40.12%), hydrogen (6.05 to 6.78%), and nitrogen (0.16 to 0.23%).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omestic (IC50, 7.25 mg/ml) and Chinese (IC50, 8.35 mg/ml) W. extensa. However, as determined by the inorganic minera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omestic and Chinese W. extensa. The amount of potassium in domestic and Chinese W. extensa was and 33.14 ± 17.27%, 47.60 ± 8.7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inorganic components by ED-XRF should be useful for origin identification of W. extensa
        4,000원
        3.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의 목이버섯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디클로로메탄분획물에 대하여 저지방혈증 활성을 in vitro과in vivo에서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컷 C57BL/6 mice을 이용하여 지방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관 실험에서는 지방세포주인 3T3-L1 세포주 의 지방세포분화 측정 결과 이 들 양쪽 추출물에서 지방세포분화와 지방형성 유전자 발현의 감소 결과를 보였다. PPARγ와 C/EBPα 역시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LPL과 FAS 발현도 감소되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EBPβ, C/EBPγ, ACC1의 발현은 300 μg/ml의 에탄올 추출물에서만 관찰된 반면, SREBP-1c, GLUT4, aP2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는 3T3-L1 세포에서 이들 양쪽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 glucose, transaminase 등은 저용량의 에탄올추출물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DL은 상승하였다. 그 결과 atherogenic index는 감소하였다. 또한 에탄올추출물은 mice에서 지방간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에탄올추출물이 지방세포분화와 지방형성 전사 인자를 조절하여 혈장 콜레스테롤과 지질을 감소시키고 HDL을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은 오래 전부터 식용 및 약용의 재료로 사용한 대표적인 버섯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이버섯 70%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용매별 분획물(디클로르메탄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을 얻은 후에 비교항암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목이버섯 70% 에탄올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다양한 용매 분획물(에탄올, 디클로르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의 항암활성을 표준암세포주인 P388D1 macrophage와 Sarcoma 180 cell에서 항암활성을 비교하였다. 측정된 두 종류의 암세포주에서 각각의 용매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인 (0.01 - 0.3 mg/ml) 항암활성을 관찰하였다. 모든 종류의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암활성은 MTT 방법과 SRB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Sarcoma 180 세포주에서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의 항암활성(IC50)은 94.2 μg/ml로 다른 용매 분획물보다 강력한 항암활성을 보였다.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의 항암활성은 고형암을 유발한 BALB/c mice에서도 확인하였다. 암이 유발된 mice에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을 경구투여한 후 비장종대와 splenic index (비장무게 mg/체중 kg)을 본 결과 음성대조군의 그것들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디클로르메탄 분획물에는 고형암을 제거하는 강력한 항암성분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목이버섯추출액이 다른 약용버섯 및 토종야생식물과 비교시 어느 정도의 항암효과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목이버섯, 마른진흙버섯, 영지버섯 및 100 종류의 토종야생식물의 항암활성은 P388D1 macrophage 세포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목이버섯 추출물은 1 mg/mL 농도에서 44.21% 암세포성장의 억제를 보였고, 마른진흙버섯은 39.46%, 영지버섯은 36.64% 암세포성장 억제를 보였다(P<0.05). 토종야생식물중에서 새뽕나무, 꽃다지, 땅채송화, 벌노랑이 및 목이버섯 70% 에탄올 추출물은 고농도인 3 mg/mL 농도에서 암세포 생존율이 41.85%, 37.31%, 30.29%, 31.98%, 그리고 25.40로 IC50는 1.81, 1.49, 1.05, 1.10 그리고 0.72 mg/mL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목이버섯 추출물, 4종류의 토종야생식물추출물, 마른진흙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모두 비슷한 정도의 항암활성이 관찰되어 목이버섯 새로운 항암활성 탐색 후보 재료가 될 수 있다.
        5.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버섯(Auricularia)의 이름은 그리스어인 “Auricula"에서 왔으며 ”귀(ear)"라는 뜻이다. 따라서 보통 나무귀(tree ear), Jew's 귀 또는 귀버섯이라고 불린다. 즉 자실체의 형태가 귀 와 비슷하고, 촉감이 고무질과 젤라틴질에 의해 귀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Lowy에 의해 분류된 목이버섯 10여 종류 가운데 목이(A. auricula)와 털목이(A. polytricha)가 가장 인기있는 버섯으로 두종류 모두 사물기생균이다. 목이는 최초로 인공재배된 버섯으로 보고되었는데, A.D. 600년경부터 중국에서 재배되어왔으며, 최근 국내에서 수요가 증가하고있는 버섯이다. 시험에 사용한 배지재료로 사용한 참나무톱밥, 미강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참나무톱밥 6.0, 미강 6.4 였으며, T-C는 참나무톱밥 46.6%, 미강 52.4%로 나타났고, T-N는 참나무톱밥이 0.28%, 미강 0.94%로 나타났다. CaO의 경우 참나무톱밥 0.92%으로 나타났으며, 미강 0.07%로 톱밥보다 미강이 낮았다. 목이버섯의 균사생장 최적온도를 구명하고자 15℃에서 35℃까지 5℃ 간격으로 처리하여 균사를 배양한 결과 Fig. 1에서와 같이 25~30℃가 배양적온으로 나타났다. 최적 pH는 전범위에서 비슷하게 생육하였으며, 최적배지는 MEA, 탄소원은 Mannose, 비타민은 Biotin, Pyridoxine, 최적 C/N비는 10:1~1:1로 나타났다. 자실체 발생시험에서 배양소요일수는 31일, 초발이소요일수 15일, 자실체 생육일수 18일로 나타났다. 수량의 경우 배지당 생체중이 295g, 건물중이 31g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균의 cellulolytic activity 검정결과 congo red 염색에서 pH 7.0, 25℃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목이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SRB법과 MTT법으로 종양세포주(Sarcoma 180, P 388)를 이용하여 항암활성을 비교ㆍ평가하였다. 종양세포주는 7.5, 15, 30㎍/㎖ 그리고 Doxorubicin(DOX, 0.001-10mM)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DOX, 목이버섯추출물 종양세포 주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사용된 목이버섯추출물은 Sarcoma 180과 P 388에 항암활성을 보여주었다.
        6.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reeextracts (hot water, 50% ethanol and mixed solvent;water, ethan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f dried chestnut,chestnut shell, chestnut leaves and dried chestnut leaves obtained from Castanea crenata tree. When conducted DPPH assay,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chestnut shell was the highest with IC50 10.8㎍/mL among four extractsfrom these parts (p<0.05). In additional results by the xanthine oxidase assay, antioxidant activity showed that waterextract of chestnut leaves showed the highest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in the tested extracts (p<0.05). Futher-more, extracts of chestnut shell and leaves exhibited no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p<0.05). Also, anti-inflammatoryactivity by NO assay showed LPS-induced NO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with extracts of chestnut shelland leaves of 3㎎/mL (p<0.05). These data suggest that extract of chestnut shell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antoryactivity including chestnut lea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Castanea crenata research range and selection of functionalmaterial can broaden chestnut shell to other fractions such as chestnut and chestnut leaves.
        13.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구 무형문화재 제11호인 하향주의 품질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향기성분 분석 후 랫드에 대한 알코올 대사 특성을 조사하였다. GC/MS 분석시, 하향주는 iso-butyl alcohol과 iso-amyl alcohol 등을 포함하여 17가지의 향기성분이 분석되었고 여과에 의해 acetaldehyde와 ethylacetate의 농도는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하향주와 동일한 농도인 17% 알코올을 SD계 랫드에 단회 경구 투여시 혈중 알코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