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업생태계 역시 이들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 및 인간에게 생물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지표종은 기후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와 같은 경제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17년 농업과학원에서는 농업생태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식물과 무척처동물 30종을 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30종 중 나비목에 속하는 종으로는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노랑나비(Colias erate), 호랑나비(Papilio xuthus) 4종이다. 이 연구는 나비 지표종 중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확인이 쉬운 배추흰나비를 대상으로 전남,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4월부터 월 1-2회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물계절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각 지역에서 논과 밭, 산림 등을 포함하는 경로를 선정하여 30분간 이동하면서 좌우 5m내외 출현하는 나비를 조사하는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4월 이후부터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는 4월초인 14째 주에 이미 많은 수가 관찰된 반면 충북, 경기 등지에선 15째 주 이후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서는 6월 중순인 24째부터 관찰되어 위도별 출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9월말까지 관찰된 생활사 수는 전남에서는 5회, 경기도에서는 4-5회, 충북에서는 4회, 강원에서는 2회로 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생태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추흰나비가 위도별로 출현시기와 출현횟수를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지며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밀한 출현양상과 미래 분포 변화 모델링 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은 비록 물에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지만 서식지 유형이 바닷가부터 산림까지 다양하고 각 서식지마다 다양한 동ㆍ식물이 분포한다. 섬 생물지리학에서 동적평형설(dynamic equilibrium theory)은 섬에 서식하는 생물 종 수가 섬 면적과 육지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대한민국은 3,358개의 섬을 가지고 있는데 이 수는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초식성 곤충은 전체 생물종의 1/4을 이루며, 식물을 먹이원으로 하기 때문에 식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초식성 곤충의 활동을 알 수 있는 잎의 식흔을 이용하여 섬 생물지리학 이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7년 6월, 2018년 6~7월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15개 섬에서 식흔을 알아보았으며 대상 식물은 4개 과(대극과, 자작나무과, 장미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었다. 조사결과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r에 의한 mine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all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gall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galler에 의한 초식활동은 이론에서 예측한 결과와는 맞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일부 초식곤충의 활동이 섬 면적이나 육지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galler와 같은 초식곤충은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정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약 4,000여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속에는 다양한 생물종들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 며 서식하고 있다. 그 중 초식성 곤충은 생물 구성의 1/4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생산자인 식물을 먹고 2차 소비자의 먹이원이 됨으로써 생태계의 중간 고리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크기가 다른 6개의 섬에서 초식성 곤충의 영향을 알 수 있는 식흔과 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인(섬 면적, 육지와의 거리, 해안선 길이, 최고고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식흔을 알아보기 위해 낙엽활엽수인 4개의 수종(참나무속, 벚나무속, 예덕나무속, 오리나무속)을 선정하여 2017년 6월과 9월에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초식성 곤충 중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을 채집하여 식흔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섬 면적이 커질수록, 해안선의 길이가 길수록, 최고고도가 높을수록 식흔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방의 종수도 증가하였다. 반면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식흔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방 종수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과 환경요인이 관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Oriental genus Paraleprodera Breuning, 1935 (Coleoptera: Cerambycidae: Lamiinae: Monochamiini) has been fou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e form of Paraleprodera diophthalma diophthalma (Pascoe, 1857) from South Korea. We provide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genital structure and immature stage of Paraleprodera. A diagnosis of the genus, re-description, biological information and illustrations of P. diophthalma diophthalma are also provided.
        8.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정밀여과막의 막오염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막오염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것이다. 막오염 지표는 세공크기가 0.1 μm인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재질의 침지형 중공사 미니모듈을 이용한 실험장치로 측정되었다. 유입 수는 막오염 메커니즘을 대표할 수 있는 막오염 물질인 Kaolin, Silica, Humic Acid, Alginate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한 표준 조제수를 이용하였으며, 단시간에 막오염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한강원수 기준으로 가혹조건의 농도를 적용하였다. 이 막오염 평가지표의 타당성 검증은 미니모듈과 현장 실규모 모듈의 평 가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본 막오염 지표는 막오염의 속도를 예측하 기 위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미니모듈 측정결과는 정수장내 막면적 50 m2의 실규모 모듈의 결과와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mportance of food allergen detection has been growing in food industry. Here, we developed a rapid and easy-to-use detection system for Ara h1, a major allergen in peanut, using gold nanoparticles and switchable linkers. The detection system was performed by two steps. In the first step, Ara h1 was mix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2 - 1.0μg/mL) of biotinylated anti-Ara h1 antibody (i.e., switchable linker, SLs) solutions for 20 min. After mixing, streptavidin coated gold nanoparticle (Abs. 4.0) was added to the mixture solutions with agitation for10 min. Without Ara h1(control), the region of aggregation caused by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SLs and gold nanoparticle was observed at more than 0.4 μg/mL of SLs. However, under presence of Ara h1, SLs covered with Ara h1 had less ability to react with gold nanoparticles than naked SLs. This resulted in a change of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mentioned above, which led to shift of the aggregation region. When 10 nM and 40 nM of Ara h1 were added, the aggregation region was appeared from 0.5and 0.8 μg/mLof switchable linkers, respectively. Ara h1 in peanut sample was also detected with this system. 0.4 μg/mL of switchable linkers are mixed with serially diluted peanut extract solutions. As a result, the shift of the aggregation region was observed from undiluted extract to 10 -2 diluted solution. This system could be adapted to detect other harmful/useful bio materials in food.
        10.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onghorn beetle (Coleoptera: Cucujiformia: Chrysomeloidea: Cerambycidae) is one of the major family of coleoptera which contains more than 30,000 species worldwide. Because of their species-diversity, morphological attraction and ecological status, the family has received a massive global attention. However, in Korea, no thorough study on this family has been conducted within last twenty eight years. Here we update the latest knowledge of Korean longhorn beetle fauna. First, we give an historical overview of the longhorn beetle studies in Korea and correct some common species misidentifications. Then we provide the information of updated cerambycidae fauna with 4 new species and 9 species newly reported to Korea. Lastly,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studying immature stage of cerambycidae and provide brief morphological, ecological information of two recently described species.
        11.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unctional respons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arasitoid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host-parasitoid dynamics because information on these will give knowledge of the host-parasitoid interaction, which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y for biological control of insect pests. The functional responses of A. asychis on the green peach aphid and potato aphid was investigated in eggplant leaf-disc arena. As a result, among the three types of functional response, type III best described the A. asychis response to the aphid densities, according to th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Functional respons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 asychis on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was investigated on 5x5 eggplants in the net cage. After M. persicae were inoculated uniformly at the densities of 1, 3, 6, 9 and 12 (per plant) on upper, middle and lower leaves of each 25 eggplants, one mated female of A. asychis was introduced on the central eggplant. Each aphid density was duplicated. A. asychis showed a type II functional response different from that estimated on the eggplant leaf-disc arena. Although the initial distribution of the aphids in the 25 eggplants was unifor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aphids became gradually concentrated on the upper leaves of eggplants, so did immature A. asychis.
        1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rass species in the world's temperate zones. It is used as high-quality forage in pastures and for recreational use as turf in golf courses, lawns and parks. Genetic improvement of perennial ryegrass is difficult due to its self-incompatibility. Consequently, progress by conventional breeding can be slow. Genetic transformation is an alternative that permits direct introduction of useful genes into a plant's genome and is becoming a powerful tool to complement conventional breeding. To improve environmental stress tolerance and quality of perennial ryegrass by introducing better and useful genes into the genome, we have developed a rapid and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using Agrobacterium-mediated gene transf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