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9

        18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맵시벌과의 미기록종인 뭉툭물벌(Agriotypus silvestris Konishi & Aoyagi, 1994) (신칭)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뭉툭물벌의 식별형질의 기재와 주요형질에 대한 사진과 함께 한국산 물벌속의 검색표를 제시한다.
        3,000원
        18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리방아벌레과에 속하는 Hylis Gozis, 1886 속의 Hylis harmandi (Fleutiaux, 1923)가 한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이 종에 대한 재기재와 중요한 형질 사진이 제시되었다.
        3,000원
        18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결과에서는 한국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의 8미기록종을 한국에 처음 보고하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신칭) 역시 한국에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의 분류를 위한 검색표 및 미기록종들의 진단형질과 표본사진을 제공하였다.
        4,000원
        184.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pomas are the most common benign mesenchymal tumors composed of mature adipocytes. They are usually slow-growing, soft and asymptomatic masses. Angiolipomas are rare benign soft tissue tumor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common lipomas by a marked degree of vascularization.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f angiolipomas are based entirely on the findings of histological evaluations. Angiolipoma, showing characteristics of both lipoma and hemangioma, usually develop in the trunk and extremities, and rarely arise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ngiolipoma of the cheek is very rare. This report presents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infiltrating angiolipoma excised from the cheek.
        4,000원
        18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순모이리응애속(Euseius Wainstein) 응애류는 이리응애과(Phytoseiidae), 순이리응애아과(Amblyseiinae)에 속하며, 전세계적으로 193종이 보고되었다(Liao et al, 2017). 국내에는 순이리응애(E. finlandicus) 1종만이 기록되어 있다(Ryu, 2012). 잎응애류의 자생 천적자원 탐색조사 도중 본 속의 울릉도산 한국미기록종인 Euseius australis (Wu & Li, 1983)를 새롭게 확인하여 보고한다.
        18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기문응애목 떠돌이응애과는 토양에 서식하는 포식성 응애로, 토양해충의 생물적 방제원으로 이용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떠돌이응애과는 10속, 24종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물장오리오름에서 토양응애 생물다양성 연구 중 이끼에서 우리나라 미기록종 Asca bicornis Canestrini & Fanzago, 1877을 발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등판과 배판의 묘사를 통해서 형태적인 특징을 자세히 제공하였다. 근연 종인 A. aphidioides는 등판 양쪽 말단에 돌출된 혹에서 각 1개의 센털이 있으나, A. bicornis는 2개가 나 있다.
        4,000원
        18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수염잎벌아과의 미기록종인 살구나무테두리잎벌(신칭)을 확인하고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2016년 처음 국내에서 발견되어 살구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보고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종을 규명하고자 한다. 살구나무테두리잎벌의 생활사 및 생태사진과 기재 및 주요 형질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19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납작벼룩좀벌속(신칭)의 두 미기록종을 포함한 납작벼룩좀벌아과(신칭)를 한국산으로 처음 보고한다: 큰납작벼룩좀벌(Metapelma beijingensis Yang)(신칭) 그리고 긴꼬리큰납작벼룩좀벌(Metapelma pacificum Nikol’skaya)(신칭). 또한, 긴꼬리큰납작벼룩좀벌의 수컷 개체가 처음으로 발견되어 보고한다. 한국산 큰납작벼룩좀벌속의 검색표, 진단 그리고 진단형질에 대한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19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steoblastoma(OB) is a rare tumor of bone representing less than 1 % of all tumors of the maxillofacial region. The lesion usually appears in vertebral column, sacrum, long bones but rare in mandible or maxilla. The lesion occurs most commonly at age from 3 to 78 years with the mean age of 22-23 years. In this article, we report one case of OB occurred in mandible. With clinical examination and radiological diagnosis, preliminary diagnosis was made as Fibro-osseous lesion, osteomyelitis or cementoblastoma. Under general anesthesia, associated tooth was extracted and excisional biopsy was done.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it was diagnosed as OB. The patients which we presented did not complain any specific complications, and showed good prognosis.
        3,000원
        19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번 연구를 통해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 내 작은날개검정주머니나방에 대한 암컷 형태 특징, 채집지 정보 등을 포함한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 바코드 정보를 작성하였다.
        4,000원
        19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머리톱가슴긴고목벌레[Mimemodes cribratus (Reitter)] (신칭)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고, 한국산 톱가슴긴고목벌레과의 종 분류 검색표 및 본 종의 기재문과 식별형질에 대한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19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ntral odontogenic fibroma(COF) is an extremely rare benign tumor that accounts for 0.1% of all odontogenic tumor. COF is regar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s a benign odontogenic neoplasm derived from mesenchymal odontogenic tissue. The lesion occurs most commonly in the mandible and patients ranging in age from11 to 80years with mean age of 34years. In this article, we report two case of COF. Case I was associated odontoma and impacted tooth. Odontoma and impacted tooth was removal under general anesthesia.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finally we diagnosis this lesion as COF. Patients of case II showed radiolucent lesion at the mandible. Lesion was enucle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finally we diagnosis this lesion as COF. The patients which we presented did not complain any specific complications, showed good prognosis.
        3,000원
        196.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규모와 층수에 따라서 작동 기능점검과 정밀점검으로 화재가 났을 때 얼마나 작동이 되어 인명피해와 재산 손실을 막으며 작동기능점검을 2015년 1월 1일부터 관 할 소방서에 작동기능점검결과 제출 의무제도 로 인하여 년1회 점검 실시 후 보수공사가 이루어짐으로서 소방시설 불량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제도 적으로 예방과 개선을 통한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3,000원
        19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wentzia와 C. pineticola를 한국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성충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성충 사진 및 생식기 사진과 함께, 16S rRNA 와 COI 염기서열을 제공한다.
        3,000원
        19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확인된 Neophyllaphis podocarpi Takahashi, 1920를 기반으로 Neophyllaphidinae Takahashi, 1921 아과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형과 유시형 처녀생식세대의 암컷 사진 및 유시형 산란모, 수컷 형태 정보를 수록하였다.
        4,000원
        20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Kaochiaoja arthraxonis (Takahashi, 1921) 종을 기반으로 Kaochiaoja Tao, 1963 속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형 처녀생 식세대의 암컷 사진 형태 정보를 제시하였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