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4

        201.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T.S.P),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s, and soluble anions of T.S.P in atmosphere of industrial region in Busan were investigated. T.S.P was measured by High-Volume Air Sampler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Andersen Air Sampler. We analyzed the chemical component of the T.S.P by Ion Chromatography and measured the shape and size of T.S.P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y. The small size of T.S.P mainly exist in industrial region, but the large size of T.S.P mainly exist in residentail area.
        202.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개간 토양을 성토한 호남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서 석회시용 유무와 유신근비료 시용을 달리하여 콩의 생육, 수량 및 종실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개간지 적황색 식량토 (pH 4.9)에서 토양산도를 중화량으로 교정하면 종실수량에서 32%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2. 토양산도 교정에 따른 유산근 비료의 수량증수효과는 과인산석회 31%, 유안 11%, 석고 3%의 순이었으며 교정치 않았을 경우에는 고토석회 47%, 과인산석회 22%, 석고 15%의 순이었다. 3.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석회무시용구보다 석회시용구에서 많았으며 함황비료의 시용효과도 인정되었으나, 지방함량은 큰 차이를 인정 할수 없었다. 4. 석회 시용구에서 유산근 비료의 효과가 큰 것은 과인산석회와 유안이었으며 개량제로는 석고가 좋았고, 석회무시용구에서는 고토석회와 과인산석회가 우수하였다.
        203.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정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38종의 유색 대두종실을 공시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Texturometer를 이용한 취반에 따른 물리적 변이를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1. 대부분의 유색 대두는 황태에 대한 기존의 재래종 대두 분석결과보다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종실중의 차이에 따른 종실성분의 변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2. 100립중이 25-30g인 대립군의 유색 대두종은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이계수를 나타내었다. 3. 유색 대두의 Texturometer curve에서는 Hardnes, Cohesiveness, Elasticity만 반응을 보였고, Hardness는 종실중에 의하여, 기타의 Parameter들은 종실중 자체에 의하여 달라서 동일한 특성이나 종실중 내에서도 품종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4. Hardeness와 Elasticity는 낮은 C. V치를, Cohesiveness와 Gumminess 및 Chewiness는 40% 이상의 높은 C.V.치를 나타내었다. 5. Hardness, Elasticity, Chewiness는 상호간에 정상관을 보이는 반면 이들과 Cohesiveness, Gumminess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Hardness와 Elasticity는 탄수화물 함량과 정상관을 단백질 함량과는 역상관을 보였으며 Cohesiveness는 이들과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204.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간지에서 대두를 재배함에 있어서 시비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간지에는 10a당 N.P.K:4.10.8 kg의 시용구를 비롯하여 무비구를 포함한 6개 처리구를 설치하고 효과를 비교하고저 따로 숙전에다 N.P.K:4.10.8 kg의 시비구를 설치하여 수량과 성분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간지는 같은 수준의 시비에서도 숙전보다 청예수량이나 자실수량이 극히 적었고 자실의 단백질함량도 적었다. 2. 같은 개간지내에 있어서는 질소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자실수량이 많았다. 3. 자실성분에 있어서 숙전은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개간지보다 많았고 탄수화물은 개간지가 숙전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4. 개간지에 있어서 자실성분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100입중, 1주협수 간장 간중등은 자실수량과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1%수준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