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7

        26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바구미과(Anthribidae)는 현재까지 15속 18종이 우리 나라에 기록되어 있다. 조사 결과 Enedreytes gotoi Shibata, Sympaector rugirostris (Sharp), Litocerus securus(Boheman)와 Rhaphitropis truncatoides Morimoto는 미기록종이다. 이로서 우리 나라의 소바구미과는 총 19속 22종이 된다.
        3,000원
        262.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와 외국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밤나방과의 한국미기록종 및 비교적 덜 알려져 있는 24종을 보고한다. 한국미기록종은 Hypenodes curvilinea Sugi, Polydesma boarmoides(Guenee), Catocala bokhaica (Kononenko), Xanthomantis contaminata (Draudt), Craniophora harman야 (Poujade), Amphipyra acheron Draudt, Orthogonia tapaishana (Draudt), Chasminodes ussurica Kononenko, Oncocnemis campicola Lederer, Protomiselia bilinea (Hampson)과 Xistia (Anomogyna) albonigra (Kononenko)등 11종이며, 그 중 일본에서만 기록되었던 P. bilinea (Hampson)은 아시아의 대륙에서는 처음 기록된다. 또한 Athetis pallidipennis Sugi, Pseudocosmia maculata Kononenko, Callopistria miracula Herz Lacanobia dentata Kononenko는 한국에 분포하는 종임이 재확인되었다. Eudocyma 와salamina (Cramer)와 Polydesma boarmoides Guenee는 열대지방에 분포하는 종으로서 비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오동정되었던 종 H. rectifascia Sugi는 Hypenodes curvilinea Sugi로 바로 잡는다.
        4,000원
        263.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꼽등이과의 Aemodogrllinae아과 5종이 한반도산으로 정리되었으며, 그 중 Paratachycines ussuriensis Storozhenko, Tachycines asynamorus Adelung은 우리나라 미기록종이었다. Diestrammena unicolor unicolor Brunner-Watt와 Tachycines coreauns Yamasaki 2종에 대한 형태학적 변이가 관찰.조사되었다.
        4,000원
        264.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스톡홀름의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을 재점검하여 F. Bryk (1948)에 의해 한국에서 기록된 대부분 종들의 모식표본을 점겸한 결과를 보고한다. Bryk에 의해 제안된 각종, 아종, 개별형의 학명올 알파벳순으로 전체 목록화하고 그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모식표본에 대한 제정보를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정확한 종명을 제시하였다. Bryk는 한국산 밤나방에 대해 5속,20종,75아종,5형(from) 등을 기재, 발표하였는데, 그중 9종만 현재 유효한 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다른 대부분의 명칭은 분류학적 위치를 바꾸어야 한다. 새로운 이명과 분류학적 변경은 아래와 같다. Euxoa intracta kurilintracta Bryk, 1948은 Euxoa sibirica (Boisduval, 1832)의 syn. n. Euxoa oberthuri nominata Bryk, 1948은 Euxoa subconspicua (Staudinger, 1881)의 syn. n. Diarsia exusta nolimetangere Bryk, 1948은 Sineugraphe bipartita Graeser, [1889] 1888의 syn. Gelastocera ochroleucana f. designata Bryk, 1948은 Gelastocera exusta Butler, 1877의 syn. n. Moma kolthoffi Bryk, 1948 stat. n., comb. n Moma fuluicollis (Lattin, 1949)은 Moma kolthoffi Bryk, 1948의 syn. n. Moma ludifera azugensis Bryk, 1948은 Trichosea ludifica (Unnaeus, 1758)의 syn. n. Acronicta alni korealni Bryk, 1948은 Acronicta alni (Unnaeus, 1758)의 syn. n. Hydrillodes obscurans Bryk, 1948은 Hydrillodes morosa (Butler, 1879)의 syn.n. Mythimna turca matsumuriana Bryk, 1948은 Mythimna turca (Unnaeus, 1758)의 syn. n. Mythimna monticola Sugi, 1981, stat. ress., bona species Cosmia fuluago korecosmia Bryk, 1948은 Xanthia icteritia (Hufnagel, 1766)의 syn. n.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 stat. ress., bona species Euplexia uinacea Sugi, 1982은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의 syn. n. Oligia arcta tegulalis Bryk, 1948은 Eucarta fasciata (Butler, 1878)의 syn. n. D Dadaica differentiata Bryk, 1948은 Athetis albisignata (Oberthiir, 1879)의 syn. n. Virgo uernalis Bryk, 1948은 Virgo datanidia (Butler, 1885)의 syn. n. Zanelognatha triplex koreognatha Bryk, 1948은 Zanelognatha leechi (South, 1879)의 syn. n. 또한 Poole(1989)의 “Catalogue of the World Noctiuidae"에 대해 몇가지를 정정하였다.
        6,400원
        265.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산 깡총좀벌과 15종을 보고한다. 이중 3종- Cerchysius subplanus (Dalman) (진디파리깡총좀벌:신칭), Copidosoma floridanum (Ashmead) (꼬마깡총좀벌 : 신칭), Prionomitus tiliaris(Dalman)(사과나무이깡총좀벌: 신칭)-은 한반도 미기록종이며, Homalotylus flaminius (Dalman) (무당깡총좀벌)은 북한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우리말이 없는 종에는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
        4,000원
        266.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지역에서 채집된 잎벌레류를 중심으로 분류동정한 결과로 68종에 대한 분포지역을 추가 기록하였으며, 이 중에서 Chrysomela cuprea Fabricius, Chrysomeia lapponica Linnaeus, Phratora polaris (Schneider), Longitarsus brunneus (Duftschmdt), Longitarsus nitidus Jacoby등 5종이 한반도산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또한 Chrysomela cyaneoviridis sp. n., Phratora ryanggangensis sp. n., Aphthona merkli sp. n., Luperomorpha josifovi sp. n.등 4종은 신종으로 기재된다.
        4,000원
        267.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연구소, 임업연구원, 강원대학교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 경상대학교 생물과에 소장된 밤나방과 표본을 공정한 결과 확인된 "Quadrifinaee" (Euteliinae, Sarrothripinae, Chloephorinae, Plusiinae, Catocalinae, Ophiderinae, Hypenodinae, Rivulinae and Hypeninae)에 속하는 한국 미기록종을 24종을 보고한다. 이중 12종은 일본에서만 기록이 있우나, 아시아 내륙에서는 처음 기록된다.
        4,000원
        268.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연구소, 임업연구원, 강원대학교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 경상대학교 생물과에 소장된 밤나방과 표본을 공정한 결과 확인된 "Trifinae" (Acronictinae, Noctuinae, Heliothinae, Hadeninas, Cuculliina and Amphipyrinae)에 속하는 59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보고한다. 이중 12종은 일본에서만 기록이 있을뿐 아시아 내륙에서는 처음 기록되는 종들이다. 또한 Brithys crini, Apamea hampsoni, Kumasia kumaso, Callopistria japonobia 등 4종은 현재까지 제주도에서만 분포가 알려지는 종들이며, Euxoa lidia, Spaolotis deplorata, Xestia (Anomogyana) albuncula, Lacanobia dentata, Apamea rubrirena, Psudocosmia maculata 등 6종은 북한지역에서만 채집된 종들이다.
        5,800원
        269.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발표된 (박 1994) 창날개뿔나방과와 속먹이뿔나방과에 이어 한국산 감꼭지나방과 7종(2미기록종), Batrachedridae 1종(신종기) Blastodacnidae 3종(1미록기종)을 정리하였으며, 창날개뿔나방과, 2종을 신종으로 기재함과동시에 2미기록종을 정리발표한다. 기발표된 종들에 대해서는 전체목록을 위해 유충의 기주에 관한 제정보를 추가하여 삽입하였다. 처음 소개되는 상기 2개과의 우리말 이름은 아직 동서학자들간의 분류체계에 관한 이견이 크므로 새로운 분류체계가 정립되는데도 추후에 명명키로한다.
        4,000원
        270.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1991년 1993년초 약 1개월간씩의 2차에 걸쳐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북한산 표본을 검경한 경과 302종의 자나방류를 확이하였으며 그중 24종이 한반도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들이었으므로 그들의 원전 채집기 그리고 분포를 정리 발표한다.
        3,000원
        271.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으로 속먹이뿔나방과 2종과 창날개뿔나방과 18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그 중 속먹이뿔나방과 1종과 창날개나방과 9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3,000원
        272.
        199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헝가리국립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산 표본과 최근 남한지역에서 채집된 밤나방류 표본들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700여종이 밝혀졌다. 이들 중 10종이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므로 이들의 초기재 문헌과 함게 채집지들을 정리, 보고한다.
        5,800원
        273.
        199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남한에서 채집된 표본과 폴랜드의 동물계통분류진화연구소에 보관된 북한산 표본을 대상으로 분류.동정한 결과, 한국산 무늬잎말이나방족은 총 39종으로 정리된다. 이중 북한산 2종이 신종으로 새로이 기록되며 11종의 미기록종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4,600원
        274.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주변어장에서의 주요 어자원중 조기류가 수동어탑을 위한 대표적 어종으로 부각되었다. 음원수준을 150~180dB로 가정했을 때 선배열 형의 수동어탐기에 탐지될 수 있는 거리는 최저 3km에서 최대 20km 이상으로 추정되어 어탐거리의 획기적 증대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조기류가 내는 700~800Hz 사이의 tocal noise의 특성은 수동형 어탐기에 의한 어종식별 거리 및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것임이 분명하다. 다만, 이 수동소나를 조기류외에 대형어군을 이루는 멸치, 칼치, 명태류, 쥐취류, 오징어 등에 적용 여부를 가늠하기에는 보다 많은 정량적 자료가 수집된 연후에 가능할 것으로 믿어진다.
        4,000원
        275.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천지방의 해풍은 사천부근의 지형, 특히 사천만과 소백산맥 등의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해륙풍의 발생빈도는 평균적 98.1일 (26.9%)로 김해지방의 56.8일 (15.5%) 및 부산지방의 65.8일 (19.0%)보다 높으며, 3월이 가장 많고 7월이 가장 작다. 2. 해풍의 평균 발생 시각은 13.3시로서 김해지방 (13.9시)보다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빠르게 발생한다. 또, 평균 소면시각은 19.3시로서 김해지방 (20.3시)보다 빠르게 감소하며, 평균 지속시간은 5.9시간으로 김해지방(6.5시간)보다 겨울을 제외하고는 짧게 나타난다. 3. 해풍의 평균풍속은 5.8kts로서 김해지방 (6.8kts)과 부산지방(7.8kts)보다 약하며, 4월(7.7kts)이 가장 강하고 12월(4.8kts)이 가장 약하게 나타난다. 4. 해풍의 고도는 해풍발생과 함께 높아지고 해풍이 소멸되면서 점점 낮아진다. 때때로 21시 이후에도 1000 feet 이상의 고도까지 해풍이 존재한다
        4,200원
        276.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strumental earthquakes data during 1905∼1982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nnual average frequency is 5.7 events and the return period for all events is 0.18 year. In the pattern of annual frequency, the recent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has tended to increase since 1975. Most earthquaked occurred in the southern and western part of the peninsula, and along the major geologic structure lines such as faults, fault lineaments and fold belts, especially in the NE-SW strike structure lines. Many earthquakes occurred at places where the Bouguer gravity anomaly is positive, especially in the high anomaly gradient considered as rock boundary. Over half (51.4%) of all events in land occurred in the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which are granti-gneiss and crystalline schist system. And a tentative seismic zoning map is presented.
        4,600원
        278.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의 판 내부 기원 신생대 후기 현무암류(백두산, 전곡, 백령도, 평택, 아산, 간성, 울릉도, 독도, 제주도 등)에 대해 그 동안에 보고된 Sr-Nd-Pb-Mg-Zn 동위원소를 포함한 지구화학 자료를 종합정리하고, 그 근원 맨틀 속에 포함된 암상을 파악한 후 필요한 맨틀 단성분의 종류와 그 성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Sr-Nd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EM2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되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EM1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Pb-Pb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2 단 성분 간의 혼합 배열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1 단성분 간의 혼 합 배열을 보인다. 한반도 현무암류는 석류석 러어조라이트와 함께 과거에 섭입하여 맨틀 전이대에 정치하고 있는 해양판 물질(에클로자이트/휘석암, 원양 퇴적물, 탄산염)이 혼합된 맨틀에서 유래되었다. EM1형 단성분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오래전(~2.0 Ga)에 섭입되어 중성 부력으로 맨틀 전이대에 정치되어 있는 (함)K-Hollandite 원양 퇴적물로 추정된다. EM2 단성분은 맨틀 속에 섭입된 후 빠른 시간 안에 재활성된 상대적으로 젊은(아 마도 태평양판의) 원양 점토 퇴적물일 가능성이 높다. 에클로자이트와 탄산염은 EM 구성요소는 아니나 한반도 현무암의 근원 맨틀 속에 공통 인자로 포함되어 있다.
        279.
        202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ype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basic data to calculate the maximum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during the typhoon period. The result of the damage by region showed that in 2012, the difference in damage was clearly distinguished as the region was classified in detail.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nual damage in 2011 was strong on the west coast, and in 2016, the damage to the southeast coast was significant. In 2012, the 3-second gust was relatively stronger on the west and southeast coasts than in 2011, and the winds blew stronger along the southeast coast in 2016. Monthly damage data showed that the damage to the west coast was high in August, and the damage to the southeast coast was high in October from 2002 to 2019. The 3-second gust showed the result of wide expansion throughout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October. As a result, the damage differs for type bacause the intensities and paths of typhoons vary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3-second gust blows differently by regio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ale price is considered in metropolitan cities.
        280.
        202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present for the first time the characteristics of upper atmospheric horizontal winds over the Korean Peninsula. Winds and their variability are derived using four-year measurements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meteor radar. A general characteristic of zonal and meridional winds is that they exhibit distinct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Their changes indicate sometimes similar or sometimes different periodicities. Both winds are characterized by either semi-diurnal tides (12 hour period) and/or diurnal tides (24 hour period) from 80–100 km. In terms of annual change, the annual variation is the strongest component in both winds, but semi-annual and ter-annual variations are only detected in zonal w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