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8

        28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interactive effects of major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are attachment to the parents, supervision of the parents, school achievement, strain caused by school achievement(achievement strain), strain caused by college(or job) entrance (entrance strain), the degree of contact with delinquent peers(delinquent contact) and the degree of bond with delinquent peers(delinquent bond). Interaction terms were created by multiplying each of the major factors. Juvenile delinquency was measured by three methods; the times of minor delinquency, the times of serious delinquency, and the seriousness measure of the committed delinquent behavior by seriousness scale. Three sets of regressions were then performed. First, minor delinquency measure was regressed on the seven variables of major factors, with and without the twelve interaction terms. Second, serious delinquency measure was regressed on the seven variables of major factors, with and without the twelve interaction terms. Third, seriousness measure was regressed on the seven variables of major factors, with and without the twelve interaction terms. The result from the regressions with the interaction terms shows that the twelve interaction terms significantly increase the amount of explained variance in both serious delinquency and seriousness degree but not in minor delinquency. The amount of explained variance in the serious delinquency is increased from 26.8% to 31.5%, or 17.6%. Explained variance in seriousness of delinquency is increased from 31.2% to 34.0%, or 9.0%. But increasement in minor delinquency is not significant, from 43.9% to 44.3%, only 0.9%. The five terms of twelve interaction term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rious delinquency or the seriousness of delinquency; 'attachment × entrance strain', 'attachment × delinquent contact', 'supervision × delinquent contact', 'school achievement × delinquent contact', and 'school achievement × delinquent bond'. Overall, the paper indicates that the addition of the interaction terms substantially improves the prediction of serious delinquency.
        7,000원
        28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가 새로운 지역에 침입하여 극심한 피해를 일으킨 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솔잎혹파리와 천적 기생봉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솔잎혹파리 확산 선단지 26개 지점에서 1975년부터 1997년까지 조사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 기생봉 밀도 및 기생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솔잎혹파리 침입초기인 1975년의 충영형성율은 평균 34.8% 이었으나 1980년 이후 크게 감소하여 밀도가 안정화되었다. 기생봉의 기생율은 침입초기에는 1.9%로서 낮았으나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기생율이 증가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가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1990년대에는 12%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충영형성율과 기생봉 미도와의 관계는 초기에는 서로 상관성이 매우 낮았으나 솔잎혹파리의 침입후 약 10년 이후에는 충영형성율 증가에 따라 기생봉의 밀도도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영형성율에 따른 기생율도 초기에는 명확한 경향성이 없었지만 솔잎혹파리 침입 10년 후에는 보다 명확한 밀도역의존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침입 후 약 10년경부터 기주-기생자간의 전형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며, 기생봉의 밀도조절 능력은 솔잎혹파리 피해가 많은 발생초기에는 미약하지만 솔잎혹파리 밀도가 낮은 피해회복지역에서는 높은 밀도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4,000원
        283.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진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의 거동을 평가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평가를 위하여 유사동적해석법을 사용하였다. 저층의 비보강 조적조에 대하여 지진하중에 의한 지반-구조물의 상호작용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단한 지반에 놓여진 구조물과 연약한 지반에 좋여진 구조물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약한 지반위에 놓인 구조물의 층 전단력과 밑면 전단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내진기준에 주어진 약산식에 따라 해석을 수행할 경우 연약한 지반에 놓인 건물이 경우 전단력을 과소평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5.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효과를 고려하여, 실린더형 수중 구조물의 유한요소 모델을 상용 전산코드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동적하중에 대한 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구조 유한요소에 부착되는 유체 유한요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요소행렬의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한요소 해석 전산코드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응답스펙트럼해석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등가 비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모델을 구성하고, 등가비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응답스펙트럼 해석 및 조화가진 응답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유체-구조물 상호작용 모델의 스펙트럼 가진에 대한 동적 응답을 계산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4,000원
        28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외부의 동하중에 의한 다층 지반-말뚝 상호작용계의 해석을 위한 동적 유한요소-경계요소 조합 주파수 응답해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체 상호작용계를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으로 나누고, 내부영역에 보요소를 도입하여 말뚝을 모형화 하고 평면변형률 요소로 모형화된 지반과 조합하였다. 말뚝머리 절점에 집중질량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을 고려하므로써 전체 지반-말뚝 상호작용계의 내부영역을 형상화하였다. 외부영역에 동적 기본해를 이용한 경계요소 해석을 도입하고 유한요소로 구성된 내부영역과 조합하므로써 반무한체에 대한 방사조건을 만족시키고 내부의 복잡한 기하학적 성질과 다양한 물성의 고려가 가능한 수치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반-말뚝-구조물계의 상호작용 해석법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층반무한 지반에 근입되어진 말뚝에 조화하중을 가하여 동적 응답해석을 실시하고 기존의 연구결과 및 실험값과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상호작용계의 주요 인자들의 변화를 통한 다양한 해석을 수행하므로써 다층 반무한 지반에 근입되어진 말뚝의 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4,300원
        28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적지반에 건설된 원형 단면을 갖는 터널은 지진시에 지반의 전단 변형의 영향을 받아 좌우교차로 경사진 타원형상의 변형을 반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특별한 진동모드를 이용하여 지반-터널계의 상호작용 및 면진 효과가 검토되었다. 지반과 터널의 경계가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지반 -터널계의 상호작용 효과 및 지하 구조물의 지진피해를 줄이는 한가지 방법으로써 터널 주위를 면진재로 피복하는 방법에 대한 면진효과가 토론되었다. 그 결과 면진재의 포아송비를 작게 하거나 지반과 면진재의 전단탄성계수의 비를 증가시킴으로서 면진 효가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8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차량(TGV)이 교량 상을 통과할 경우 교량의 동적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단순화된 3차원 차량-교량 상호작용해석 모델을 제시한다. 축하중 편심 모델링 방법을 도입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축하중에 의한 비틀림력과 교량의 비틀림 회전변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교량의 거동에 대한 해석 결과를 얻는다. 앞기관차, 뒷기관차, 객차들에 대해서 운동에너지, 포텐셜에너지, 감쇠에너지를 차량과 교량의 자유도로 각각 나타내고, Lagrange의 운동방정식을 적용하여 차량과 교량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한다. 또한, 차량-교량 사이에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교량에 작용하게 되는 하중에 관한 식을 유도하며, 이러한 하중을 받는 교량의 운동 방정식이 구성된다. 시간경과에 따라 차량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그 위치에 따른 차량-교량 시스템의 질량행렬, 강성행렬, 감쇠행렬, 그리고 하중벡터를 구성할 수 있고, Newmark의 방법(평균가속도법)을 이용하여 전체 차량-교량 시스템의 거동을 해석한다.
        4,600원
        28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iescent treatment of donor cells and activation treatment time of recipient cytoplasm on nuclear remodeling and in vitro development of somatic cell-cloned bovine embryos. Serum starved, confluent and nonquiescent cycling adult skin cells were teansferred into enucleated oocytes. Nuclear transfer oocytes were activated at 30 min, 1 and 2 hrs after electrofusion. Some nuclear transfer embryos(23% to 35%) extruded a polar body, which was not affected by quiescent treatment of donor cells and activiation time of recipient cytoplasm. About 68% of nuclear transfer embryos fused with a serum starved cells has a chromatin clump, but which was not different from embryos fused with confluent(51%) and nonquiescent(47%) cells. The proportion of embryos with a single chromatin clump was sightly increased when nuclear transfer embryos were activated within 30 min after fusion(69%) compared to those were activated at 1 and 2 hrs after fus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8.6% and 15.9% when serum starved and confluent cells were transferred,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as higher in embryos were activated within 30 min after fusion (17.3%) compared to those of embryos were activated at 1 and 2 hrs after fusion (P<0.05). From the present result, it is suggested that quiescent treatment of donor cells and activation time of recipient cytoplasm can affect the in vitro development. Quiescent plasm activation within 30 min after fusion could increase the number of embryos with a normal chromation structure, which results in increased in vitro development.
        4,000원
        291.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기초 상호작용계를 해석할 때 실제로 지반은 다양한 지반종류와 다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반 특성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초기의 대부분의 상호작용계의 정동적 해석은 지반의 복잡한 성질을 역학적으로 탄성거동을 한다고 가정한 Winkler 지반모델 혹은 지반을 등방성이고 균질한 반무한 탄성체로 가정한 반무한 탄성지반 모델로 보아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지반-기초 상호작용계의 동적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기초는 4절점 후판요소를 사용하고 지반은 지반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8절점 6면체 요소를 사용하였고, 지반의 감쇠효과 및 지반특성을 고려한 지반-기초 상호작용계의 동적 거동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고 지반의 영향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4,300원
        294.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섯 성분의 지진에 의한 지반속도를 받는 회전기계-기초시스템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회전기계-기초시스템을 회전원판, 회전축, 윤활유막 베어링, 주각, 그리고 뼈대기초로 구성된 것으로 이상화한다. 이때 회전기계-기초의 동적거동을 나타내는 지배운동방정식은 Gyroscope 효과와 Coriolis 효과, 윤활유막의 동적특성 그리고 지반의 병진과 회전거동을 고려하여 얻는다. 지반의 회전거동, Gyroscope 효과, 그리고 Coriolis 효과들이 회전기계-기초시스템의 전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예젤르 통해 고찰한다. 해석결과 회전기계-기초시스템의 지진해석에 있어서 지반의 회전거동 성분과 Gyroscope 효과의 영향을 포함하여야함을 알 수 있다.
        4,300원
        295.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적 지반-구조물해석과정에는 수많은 불확실성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는 입력운동의 정의, 지반-구조물시스템의 모델작성, 해석기법 등에 포함된다. 이 논문은 점탄성 층상지반상의 원자로건물의 지진응답에 대한 매개변수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많은 매개변수 중에 입력운동의 정의위치, 구조물의 묻힘정도, 상부토층의 두께와 지반의 강성을 선택하여 지진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이 연구에서 다루었다. 해석방법은 진동수에 무관한 지반임피던스를 사용하는 부분구조법인 시간영역에서의 모드중첩법이다. 지반-구조물시스템의 모드감쇠값은 각 모드에 대해 변형에너지에 대한 소멸에너지의 비를 구하여 결정되었다. 이 연구결과로부터 부분구조법에 의한 지반-구조물상호작용해석법의 실용적 이용에 참고할 수 있는 지진응답에 미치는 각 파라메터의 민감도가 제시되었다.
        4,000원
        29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토 지반 위에 상부 구조물이 축조되면 지반의 성질, 하중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즉각적인 침하가 생기고 어떤 형태의 접지압 분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2차적인 압밀침하가 추가되면 상부구조의 휨 강성 때문에 이 2차적인 추가 곡률에 대한 저항이 있다. 따라서 접지압 분포에 변화가 있게 되고 이 접지압 분포의 변화 때문에 압밀침하가 달라지며 압밀침하가 달라지면 다시 접지압 분포에 변화가 있게 되고 다시 압밀침하가 변하는 등의 하부지반과 상부구조와의 상호작용을 압밀침하가 끝날 때까지 계속하므로 지반 압밀 문제를 선형적으로 규명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으로 이 비선형 상호작용 문제의 근사적인 해석법을 시도하고 있다.
        4,000원
        29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developed a spherical FCT code in order to simulate the interaction of supernova remnants with stellar wind bubbles. We assume that the density profile of the supernova ejecta follows the Chevalier mode1(1982) where the outer portion has a power-law density distribution(ρ∝γ−n ρ∝γ−n ) and the SN ejecta has a kinetic energy of 1051 1051 ergs. The structure of wind bubble has been calculated with the stellar mass loss rate ˙ M=5×10−6M⊙/yr M˙=5×10−6M⊙/yr and the wind velocity υ=2×103 υ=2×103 km/s We have simulated seven models with different initial conditions In the first two models we computed the evolution of SNRs with n=7 and n=14 in the uniform medium The numerical results agree with the Chevalier's similarity solution at early times. When all of the power-law portion of the ejecta is swept up by the reverse shock, the evolution slowly converges to the Sedov-Taylor stag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with different n's The other five models simulate SNRs produced inside wind bubbles. In model III, we consider the SN ejecta of 1.4 M⊙ M⊙ and the radius of bubble ~2.76 pc so that ratio of the mass α(=MW.S/Mej α(=MW.S/Mej is 2. We follow the complex hydrodynamic flows produced by the interaction of SN shocks with stellar shocks and with the contact discontinuities, In the model III, the time scale for the SN shock to cross the wind shell τcross τcross is similar to the time scale for the reverse shock to sweep the power-law density profile τbend τbend . Hence the SN shock crosses the wind shell. At late times SN shock produces another shell in the ambient medium so that we have a SNR with double shell structure. From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remaining models, we have found that when τcross/τbend≤2 τcross/τbend≤2 , or equivalently when α≤50 α≤50 , the SNRs produced inside wind bubbles have double shell structure. Otherwise, either the SN shock does not cross the wind shell or even if it crosses at one time, the reverse shock reflected at the center accelerates the wind shell to merge into the SN shock Our results confirm the conclusion of Tenorio-Tagle et a1(1990).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