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8

        301.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총채벌레아과의 6종< Dexiothrips madrasensis (Ananthakrishnan) 두색관총채벌레, Holothrips yuasai(Kurosawa) 유아사관총채벌레, Hoplothrips fungosus Moulton 애 버섯 관총채 벌레 , Hoplothrips japonicus (Karny) 버섯관총채벌레, Psalidothrips simplus Haga 민무늬관총채벌레, Sophiothrips nigrus Ananthakrishnan 주름관총채벌레>을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 2종<Bamboosiella longiosanum sp. novo 긴업관총채벌레, Mystrothrips reteanum sp. nov. 그물무늬관총채벌레>을 신종으로 기재하였다. 또한 이들 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고 서식처 및 분포지를 정리하였다.
        4,900원
        30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베트남산 Podontia affinis, P. dalmani, P. lutea의 3종 유충에 대한 상세한 기재를 하였으며, P. dalmani를 제외한 Podontia affinis 및 P. lutea는 최초로 기재된다. 또한 이 종들의 분류학적 특징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4,000원
        30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과의 Monochroa 속에 대해 분류학적으로 정리한 결과 5종의 미기록종(M. cleodoroides, M. divisella, M. japonica, M.subcostipunctella and M. suffusella)을 포함한 6종의 국내 분포종을 확인, 정리하였다. 각종의 분류동정을 위한 검색표와 함께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4,000원
        304.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관련 연구소 및 대학 등에 소장된 표본과 일부 북한산 표본 등을 대상으로 분류동정한 결과 총 17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Bombus (Tricornibombus) atripes는 한반도에서 처음 기록하며 B. (Thoracobombus) humilis subbaicalensis Vogt는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한다. 이들을 포함한 한반도산 7 아속 21종에 대한 검색표와 채집기록, 각 종의 기주 개화식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6,300원
        305.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바구미과에 속하는 좁쌀바구미아과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Rhinoncina아족, Scleropterina아족 및 Amalina아족을 정리한 결과 16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육절애좁쌀바구미(신칭), Phytobius quadricornis(Gyllenhal); 둥근어깨좁쌀바구미(신칭), Rutidosoma weisei Faust; 나무딸기좁쌀바구미(신칭), Scleropteroides hypocrita(Hustache); 날개가시좁쌀바구미(신칭), Zacladus radula Hochhuth; 홀수볼록좁쌀바구미(신칭), Wagnerinus costatus(Hustache); 큰좁쌀바구미(신칭), Tapinotus sellatus(Fabricius)6종을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6,900원
        306.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류의 Nephopterix maeanmii Inoue(남방알락명나방), N. immatura Inoue(황통색알락명나방), Pempilia ellenella (Roesler)(가는 줄알락명나방) 3종을 한국미기종으로 고하며, Psorosa taishanella Roesler(복숭아잎말이알락명나방)의 암켯을 최초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Pyla manifestella Inoue(검불은알락명나방), Pempelia maculata(Staudinger)(주황점알락명나방)을 포함하여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숙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4,200원
        307.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ri Lanka의 Lecithoceridae과 정리의 제 4편으로 3속 30종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 중 Homaloxestis속 2종, Lecithocera속 4종, 그리고 Quassitagma속 1종 등 모두 7종의 신종을 기재하였다. 그리고 Lecithocera mazina Meyrick와 Quassitagma duplicata Meyrick 등 2종은 Sri Lanka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종 중 Homaloxestis ochrosceles와 Lecithocera속의 4종은 금번 연구에서 표본이 확인되지 않았다.
        4,600원
        308.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족의 굵은수염알락명나방, Spatulipalpia albistrialis Hampson; 긴수염알락명나방, Sandrabatis crassiella Ragonot; 검은줄알락명나방, Ceroprepes nigrolineatella Shibuya; 점박이알락명나방, Myelois cribrella (HUbner); 흰줄무늬알락명나방, Assara terebrella (Zincken); 삼각무늬알락명나방, Assara funerella (Ragonot); 밝은세모알락명나방, Nyctegretis achtinella katastropella Roesler; 검은자주빛알락병나방, Pseudocadra cuprotaeniella (Christoph); 밤알락명나방 Euzophera batangensis Caradja 등 9종을 한국미기 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기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5,100원
        309.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ri Lanka의 Lecithoceridae과, Torodorina아과중 다음 3속을 정리한 결과 Deltoplastis속 11종, Hygroplasta속 7종, 그리고 Antiochtha속 9종 등 27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Deltoplastis figurodigita, D. lamellospina, D. cognata, Hygroplasta canitiana, H. promyctra, H. monila, H. onyxijuxta, H. utricula, H merinxa, and Antiochtha longivincula 등 10종을 신종으로 기재, 발표한다. Deltoplasta속의 commodata (Meyrick)는 clerodotis (Meyrick)의 synonym으로 그리고 D. tetradelta (Meyrick)는 cremnaspis (Meyrick)의 synonym으로 정리하며, amicella (Meyrick)는 Deloplastis속으로 소속시켰다. 신종의 기재를 비롯하여 이들 신종 및 기지종 중 아직 알려지지 않았던 암수 생식기를 처음으로 도해하였으며, 상기의 3속 종들 분 류동정을 위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5,800원
        310.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알모양우단풍뎅이속(검정풍뎅이과, 우단풍뎅이아과)에 대하여 분류학적인 검토를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으로 보고된 23종 중 8종은 오동정에 의하여 기록된 것으로서 실제적인 한국산은 15종뿐이나 이중에서도 2종은 한국분포가 의심된다. 확정된 한국산중 다음과 같은 9종은 3개의 complex로 간주한다. M. holosericaea complex : M. holosericea, M. Schoenfeldti, M. renardi M. orientalis complex : M. cariniceps, M. orientalis, M. fusania M. verticalis complex : M. castanea, M. verticalis, M. ovatula
        5,100원
        311.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Streblocera속은 8종으로 정리됐다. 3종은 신종으로 기재하고, 4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복되며, 1종은 미확인되었다. 한국산 Streblocera속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4,900원
        31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창선충상과 연구 결과로, Dorylaimidae, Aporcelaimidae, Qudsianematidae, Nordiidae등 4과에서 Dorylaimus, Laimydorus, Mesodorylaimus, Sectollema, Labrollema, Eudorylaimus, Ecumellicus, Discolaimus, Ellchodelus, Oriverutus의 10속에 속하는 Dorylaimus stagllalis, Laimydorus siddiqi, Mesodorylaimus IIsitatlls, Sectollema basilgoodeyi, Labrollema hyalillum, L. lIepalellse, L. vulvapapillatum, Elidorylaimlis carteri, E. pseudocarteri, Ecumenicus monhystera, Discolaimus major, Enchodelus Longidens, E. Itopedorlls, E. macrodorlls, Oriverutlls pagarus등 15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발표한다.
        6,900원
        31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ichodorus jeonjuensis n. sp는 T. cedarus. T. tricaulatus, T. californicus와 비슷하나 수컷에서는 3개의 복중앙 경공에 대하여 전방에 있고 교접자는 전체적으로 주름졌고, 첫째 보조돌기가 교접자 중앙부에 있으며 암컷의 질 모양이 신장형이다. T. tricaulatus는 우리날 미기록종으로 밝혀졌으며, T. cedarus와 Paratrichodorus porosus가 여러 곳에서 새로이 채집되어 기주식물 및 지역별 차이를 검토하였다.
        4,300원
        314.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조경식물에서 채집한 날개응애류를 분류한 결과로, 13종이 동정되었다. 그러나 식물에 대한 그들의 유해성은 확인하지 못했다. 그들은 엉덩이 혹응애(신청) Tubermaeus singularis Sellnick, 긴 네모지게응애(신칭) Zygoribatula elongata hammer, 야마시타자라응애 Scapheremaeus yamashital Aoki, 구멍팔자기게응애 Oribatula sakamori Aoki, 가지털왕응애 Camidia segnid(Hermans), 몽둥이 팔자지게응애 Scheloribates latipes (Koch), 어리좁쌀응애 Oppiella nova (Oudemans), 꼬불지게좁쌀응애 Lauroppoa neerlandica (Oudemans), Hemileius sp., Truncopes sp., Dometorina sp., Tecto-cepheus sp.등이다. 이중에 Tuberemaeus singularis 와 Zygoribatula elongata는 한국에서 처음 기록하는종이다.제주도 서귀포의 황금삼나무에서 채집된 Tuberemaeus singularis 의 한재료 체내(뱃속)에서 3마리의 유충이 관찰되어 이 좋은 난태생인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15.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날개응애류의 분류에 관한 연구중에 1신속 5신종과 5종의 한국미기록종이 밝혀졌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신속은 파도날개응애속(Kpreoribates), 5신종은 한국파도날개응애(koreoribates filia-tus), 지리산인왕응애(Hermannia neotricha), 건지산도포소매응애(Xyobates geonijensis), 성오민동정응애(defectamerus sungohi), 긴털뚜껑응애(Protorpoda flagellata)이며 신아종은 흑달걀응애(Liacarus gammatus coreanus)이고 미기록종은 북바달걍응애(Liacarus polychothomus), 갑옷뿔염주응애(Tecto-damaeus armatus), 등줄뿔염주응애(T,striatus), 머리뚜껑응애(Oripoda trilabiata), 흑팔자기게응애(Do-metorina tuberculata)등이다. 아울러 달걍응애속의 한국종, 민동정응애속, 이리뚜껑응애속(신칭의)검색표를 작성하였고 숭산달걍응애의 오기재를 바로잡았다.
        4,300원
        316.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을 정리한 결과 2차로 11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이들중 E. okadai Inoue, E. scribai Prout, E. perpaupera Inoue, E. kobayashii Inoue, E. tripunctaria Herrich-Schaffer, E. virgaureata Doubleday 등 6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저자(1992)에 의해 신종으로 기재된 E. bicornuta는 재검토 결과 E. hamogrammata의 수컷으로 밝혀져 후자의 동정이명으로 정리한다. 따라서 1차로 발표한 13종을 합하면 한국산 Eupithecta속은 총 24종이 된다.
        4,000원
        317.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응애류 중 농업상 가장 중요한 씨크라멘먼지응애(Phytonemus pallidus)와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의 분류 및 형태적 특징에 관하여 기재하였고 각 종별로 암, 수컷의 복면 및 배면의 특징을 도판으로 나타내었다. 씨크라멘먼지응애는 경기도 고양의 팔손이에서 채집되었으며 차먼지응애는 고추, 아잘리아, 아프리카 봉선화, 낙상홍, 물푸레나무등에서 채집되었다.
        4,000원
        318.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p산 애기물결자나방속을 정리한 결과 1차로 1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중 1신종, 애기물결자나방, E. bicornuta sp. nov.를 기재 발표하고 이른봄애기물결자나방, E. clavifera, lnoue, 삼각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signigera Butler , 둥근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supercastigata lnoue , 흰애기물결자나방, E. viidaleppi Vojnits , 실무늬애기물결자나방, E. addictata Dietze , 긴점애기물결자나방, E. repentina Vojnits et Laever , 연갈색애기물결자나방, E. antaggregata lnoue , 너도애기물결자나방, E. consortaria Leech와 긴날개애기물결자나방, E. kamedai Inoue등 9종을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4,600원
        319.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자 중 박성호에 의해 주로 채집된 700여점의 꽃파리류를 동정한 결과, 1 한국미기록속 및 6 한국미기록종을 포함 총 19속 38종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산 꽃파리과는 총 26속 112종이 된다.
        4,200원
        320.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산 꽃라리과는 지금까지 3속 3종이 알려지고 있을 따름이다. 본인들은 최근 체코슬로바키아 과학원의 북한곤충채집 원정대(1989년 7월~8월)에 의해 수집된 표본을 근거로 조사한 결과, 새로 1 신종, 1 한국미기록종, 6 한국미기록종, 8 북한미기록속 및 9 북한미기록종을 포함, 총 10속 16종을 분류 동정하였다. 따라서 북한산 꽃파리과는 12속 20종이 되며, 전한국산 꽃파리과는 모두 26속 106종이 된다.
        4,000원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