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21.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평면교차로보다 상충횟수가 적고 진입속도가 느려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피해정도 가 작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회전교차로 관련 각종 사고 자료나 연구들로 증명되고 있다. 이에 정 부에서는 회전교차로의 도입활성화 방안 추진에 따라 회전교차로의 설치를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회전교차로에서도 기하구조,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측면충돌, 후미추돌, 기타 등 다양한 충돌유형이 존재한다. 또한 오늘날 우리나라는 영업용 택배차량의 증가에 따라 화물차 등록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화물차의 경우 무거운 화물을 싣고 있고, 차량자체도 크기 때문에 사고가 일어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기존 회전교차 로 사고와 관련된 연구들 대부분이 전체차량에 대한 연구이며, 화물차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회전교차로에서의 화물차 충돌유형을 측면충돌, 후미추돌, 기타로 나누어 모형을 개발하고 충돌유형별로 어떠한 요인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국내 회전교차로 76개소에서 발생한 2007~2014년까지 8개년도 화물차 교통사고건 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류특성을 나타내는 교통량과 기하구조요인 등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프 로그램 LIMDEP 8.0과, SPSS20.0을 이용하였으며, 모형은 가산자료 모형인 포아송과 음이항 회귀모형 중 추정에 의해 더 적합한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충돌유형별 사고모형의 공통변수는 화물차 턱 폭이 채택되었으며, 특정변수로 측면충돌사고는 차로분리섬 유무, 화물차 턱 유무, 후미추돌사고는 유 입차로 폭, 제한속도표지판 유무, 기타사고는 내접원 직경, 교통량이 채택되었다. 또한 우도비 검정을 수 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모형이 개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2.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의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교통사고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크게 인적・환경적・물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들 중 특히 토지이용에 중점을 두어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한다. 토지이용과 교통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과 교통사고의 관계를 분 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토지이용은 교통수요를 유발하므로 교통사고 분석에 있어 서 토지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교통량이나 대형차 비율 등 통행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를 것이 다. 따라서 이 연구는 ʻ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이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를 보인다.ʼ는 가설을 전제로, 토지이용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을 구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회전교차로 100개소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TAAS에서 수집한 2007~2014년 에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교통량, 기하구조, 환경 및 운전자 요인 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에 앞서 먼저 회전교차로 주변의 용도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자연녹지지역)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토지이용의 분석 범위는 회전교차로 중심으로부 터 250m내에서 가로망을 따라 형성된 토지용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유형 Ⅰ은 상업용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 해당되며, 유형 Ⅱ는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된 지역, 유형 Ⅲ은 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은 지 역, 그리고 유형 Ⅳ는 자연녹지지역으로 이루어진 지역이 해당된다. 따라서 분류된 토지이용 유형별로 SPSS 20.0을 활용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사고모형을 구축하고자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토지이용 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요인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교차 로에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대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3.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의 유형은 기본유형과 특수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는 설치형태에 따라 초소형 회전교차로, 평면형 회전교차로, 입체형 회전교차로로 구분한다.(ʻ회전교차로 설 계지침ʼ(국토교통부,2014), ʻ도로용량편람ʼ(국토해양부,2013)) 또한 행정안전부에서는 생활도로형 회전교 차로를 1차로형 회전교차로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 로란 현재까지 회전교차로로 관련된 연구를 검토해보면 주로 기본유형에 관련된 분석이 많았다. 일부 소 형 회전교차로, 생활형 회전교차로 관련 연구들도 있지만 기본유형에 해당하는 회전교차로에 대한 분석에 비해 적은 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최근 교통 정온화 사업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 대 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주거지역의 진입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시켜 지역주민들의 안전성 확보 및 미관 향 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이용하여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의 교 통량별 평균지체를 분석하였다. 교차로의 유형은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한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설계 기준에 따라 1차로형과 2차로형으로 나누어 지체를 분석하였고 회전교차로가 아닌 비신호의 3지와 4지 교차로와 지체도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진입 교통량은 4지교차로에서는 시간당 100대~1000대 까지 100대씩 증가시켜 분석하였고, 3지교차로는 120대~900대까지 90대씩 증가시켜 총 60개의 시나리 오가 분석하였다.(10×6) 분석결과는 기존 운영되던 비신호 교차로보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 평균 지체의 감소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 중에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중에서도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지 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는 대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이면도로나 주거지역의 진입로에 회전교차로 설 치하는데 적합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아가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설치 증대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4.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ects of special roundabouts at large-scale rotaries in Korea.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comparing standard roundabouts with special roundabouts. METHODS: This study reviews the various types of roundabouts, creates 270 scenarios, builds network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operational effects by using VISSIM simulation model and SSAM(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RESULTS : First, the operational effects of standard and signalized roundabouts were analyz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standard roundabouts are the best in the case of under-saturated traffic volume, and signalized roundabouts are the best in the case of over-saturated traffic volume. Second, the operational benefits of a Turbo roundabout were evaluated to be generally lower than the benefits of a standard roundabout, and the benefits of a Turbo roundabout increase when right-turn traffic volume increases. Finally, the safety conflicts of a Turbo roundabout were determined to be the least and decrease when right-turn traffic volume increase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urbo roundabouts rank highest for safety, and signalized roundabouts are best for oversaturated traffic volume.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policy decision-making.
        4,000원
        2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ree different types of roundabout found in the literatures using a VISSIM and SSAM program. METHODS : The three types roundabout tested are the 2-lane roundabout (2R), the Turbo roundabout (TR), and the Flower roundabout (FR). For each scenario, three roundabout types and traffic conditions such as traffic volume and movement ratio were applied to VISSIM in order to compute the average delays. In addition the total conflict was calculated through SSAM by using trajectory data from VISSIM. RESUL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delay in TR and FR type was higher than the 2R. Regardless of the roundabout types, the average delay was reduced as the right-turn vehicles increased. The total conflict in TR was fewer than 2R for all traffic condition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of roundabout deployment. The data also provides some numerical justifications in transition from at-grade intersection to roundabout.
        4,000원
        2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roundabouts are generally influenced by location as well as traffic volum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urban and rural roundabout accident models and to discuss safety improvement guidelines based on the model. METHODS : To analyze accidents, count data models are utiliz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accident data from 2010 to 2013 for 56 roundabouts collected from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SS) of Road Traffic Authority.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using NLOGIT 4.0.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es that there are distribution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juries/fatalities among rural and urban roundabouts were accepted. Second,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ccident models,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developed. Seven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adopted. Third, the common variable of models was evaluated to be traffic volume. CONCLUSIONS : This study developed two negative binomial roundabout accident models and suggested some accident reduction strategi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safety improvement of roundabout.
        4,000원
        2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지체감소, 안전성 증진, 도시미관 개선 등 많은 장점을 가진 교차로로 국외뿐 아니라, 국 내에서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반 회전교차로 도입 검토를 시작으로 2004년 회전교차로 잠정지의 발간 및 2010 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을 통해 도입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2011년 정부의 적극적인 도입 장려를 통해 활발하게 설치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회전교차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도 입 효과 분석 및 시뮬레이션 분석에 국한되어 있었던 연구 분야도 실제 운영 중인 회전교차로의 자료를 통한 사고모형 개발 및 용량 모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 회전교차로에 대한 연구는 연구 기간 및 장소의 한계, 급진적인 도입으로 인한 운전자의 혼란 등으로 연구의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1960년 초반 회전교차로를 도입을 시작한 유럽이나 미국 등에 비해 누적된 연구가 부족한 것도 현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회전교차로의 연구 성과를 비교 및 정리하고, 향후 연구 분야 및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 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 결과를 고찰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 이후 국내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13년까지 전국 364개의 회전교차로가 설치되었으며, 향후 2022년까지 1,592개소를 설치할 예 정이라고 밝혔다(안전행정부, 2014). 그러나 회전교차로의 경우 특징이 설치조건 및 운영특성이 명확하기 때문에 도입 가능한 교차로가 한정되어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5년부터는 1일 15,000대 미만인 구간을 대상으로 회전교차로의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밝힌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와는 달리 회전교차로가 일찍이 도입되어 왔던 미국, 유럽 등 세계 여러나라의 경우 기존에 도입되고 있던 표준적인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진전이 이루어져 왔다. 2차로 회전교차로의 단점을 극복한 Turbo형 회전교차로, Flower형 회전교차로, Target형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었다. 또한 높은 진입교통량 으로 인한 지체증가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신호형 회전교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이 외에도 자전거 이용자 들과 진입차량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한 C-Roundabout, 교통량 방향비에 따라 설치되는 햄버거형, 좌회 전 Slip-lane형 등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존재한다. 이처럼 많은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표준적인 회전교차로 의 도입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내 회전교차로 도입이 최근에 이루어졌으며, 아직 정착단계에 이르 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착단계 이후에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국내 정서에 적합한 회전교차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를 소개하며, 이 중 기존 회전교차로와 기 하구조 및 운영방식이 상이한 Target형 및 Turbine형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dealt with traffic accidents occurring within roundabou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afety effect by introduction of roundabouts. METHODS: In pursuing the above, traffic accident data on roundabouts are collected and compared. For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separated as all intersection points, turning lane accident, approach lane accident by geometric design. RESULTS :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ccidents decreased by 55 accidents/2 year with safety effect of roundabouts. Also the result shows that accidents by point of two-lane roundabout at turning lane(0.26) and approach lane(0.27) is risky than total accidents by point(0.09). Moreover, accidents by point shows high value as diameter of a roundabout is bigger. CONCLUSIONS: When a roundabout is introduced at the intersections there are safety effects by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4,000원
        30.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의 회전교차로는 2010년 도입되어 교통지체, 교통사고가 많은 교차로에 설치되어 현재 전국 지방 지역 364개소에 설치·운영 중에 있다. 회전교차로는 차량이 진행함에 따라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어 외측 차륜에 과도한 윤하중이 실리게 된다. 이는 아스팔트 포장의 응력 증가를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소성변형 (Rutting), 밀림(Shoving), 라벨링(Raveling) 그리고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균열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 서 유럽의 많은 국가들은 회전교차로의 포장을 JCP, CRCP와 같은 콘크리트를 사용한 포장을 권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5년부터 회전교차로를 일반국도에서 확대 설치를 계획하고 있지만 콘크리트 회전 교차로는 설계 및 거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바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RCP의 형태를 갖는 연속철근 콘크리트 회전교차로 포장(CRCR: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Roundabout)의 설계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그림 1과 같이 내경의 크기에 따른 원형구조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CRCR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 로 그림 2와 같은 CRCR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CRCR의 균열 진전, 응력 의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31.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의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과 같은 장점은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런 회전교차 로의 장점 중 높은 운영 효율은 신호 대기로 인한 불필요한 제어지체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지 만 일정 교통량 이상의 경우에는 교차로 내 잠긴 현상 등으로 인해 지체가 발생하여 오히려 운영 효율이 낮 아진다. 이런 이유로 회전교차로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회전교차로 전환의 국내 기준은 회전교차로 설계지침(국토해양부, 2010)에 나타나 있다. 회전교차로 설 계지침에서는 회전교차로 전환 기준을 일교통량 1차로형 12,000대/일 이하, 2차로형 20,000대/일 이하, 첨두시 진입로의 차로당 교통량 125~450대/시, 좌회전 비율 30% 미만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설계 지침 상의 교통량 기준은 기초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매우 보우적인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다.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안은 신호 동시 운영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다. 하지만 신호 운영 회전교차로는 신호교차로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제어지체를 발생시킨다. 이소영 등(2012)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회전교차로에 램프 미터링 시스템 도입을 제안하였으 나,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어 다른 운영 형태와의 효율성 비교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와 회전교차로를 교대로 운영하는 교차로를 제안하고 운영 효율성을 분 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에 첨두시 신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지체 분석을 통해 이런 교차로의 운영 효율 측면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회전교차로의 특성 및 제약 조건 등을 살펴보고, 국내외 연구를 고찰한다. 둘째, 국내 교통 운영 자료를 통해 회전교차로의 운영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설계 기준 및 교통량 자료를 토대로 신호 운영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aaSIDRA를 통해 시나리오별 지체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는 표 1과 같다. 총 540개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였으며, 회전교차로 6 유형, 진입 교통량을 100대부터 1,500대까지 100대 간격, 6가지 회전 비율을 토대로 하였다.
        32.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교차로 중앙에 원형의 교통섬을 두어 통과차량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우회하여 통과하는 교차로이다. 사고감소, 안전성 향상, 운영비 감소, 연료소모 및 대기오염 감소 등 그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유럽, 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 도입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2010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이 발 간되었으며,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 정책과제 중 주요 사업으로 중 하나로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적극 장려되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교통량, 회전비율, 상충감소 등 교통운영 특성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2차로 회전교차로의 상충지점 감소를 위한 터보형 회전교차로,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한 C-Rounabout, 우회전 교통량 처리를 위한 플라워형 회전교차로 등이 있다. 이러한 특수 유형의 회전교 차로는 특정 교통운영특성을 지니고 있는 교차로의 문제점 해결과 운영효율 극대화 효과를 가져온다. 회전교차로는 국내의 경우 도입 및 정착단계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도입은 운전 자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정착단계 이후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다 양한 형태의 회전교차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기존 개발되어 있는 특수 유형의 회전교차로를 소개하며, 회전교통량 비율에 따른 운영효과를 일반 회전교차로와 비교분석 하 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활용하여 일반형, 플아워형, 터보형, 좌회전 slip-lane형 및 햄버거형 회전교차로를 분석하였다. 총 375개(5×15×5) 시나리오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세부 시나리오는 표 1과 같다. 조건 1에서는 회전교차로 유형, 조건 2는 접근로당 교통량 으로 설정하였으며, 조건 3의 경우 교통량 방향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량 방향비에 따른 회전교차로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 대한다.
        3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Although signalized intersections have been considered the best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in urban areas for several decades, roundabouts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s an alternative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especially when traffic is light. Because a roundabout’s efficiency depends on the load geometry as well as the traffic volume, design guidelines for roundabouts are recommended only if the incoming traffic volume is very low. It is rare to substitute a roundabout for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benefits from the transformation of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to a roundabout in an urban area. When there is a more moderate volume of traffic, roundabouts can be effectively used by optimizing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way. METHODS : The methodologi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 signalized intersec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traff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as transformed into a roundabout using VISSIM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Then, we estim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roundabout. In addition, we adjusted a method to improve the benefits of the transformation via the optimization of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 to control the incoming traffic volum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improved delays compared with the signalized intersection during the morning peak hour, non-peak hour, and evening peak hour by 1.78%, 12.45%, and 12.72%, respectivel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of each scenario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had less delay time tha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f optimized signal control algorithms are installed in roundabouts in the future, this will lead to more efficient traffic management.
        4,000원
        3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vel cost according to transferring from rotary to roundabout in Korea. METHODS: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investigating the existing 48 rotaries in Korea and building the networks of before and after improvements using VISSIM, and analyzing their travel cost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field survey, the domestic rotaries were analyzed to need many improvements of geometric structur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Second, the difference of travel cost at 3-legged rotaries were evaluated to be less than other types of rotaries due to low traffic volume. Finally, the travel cost of 4-legged and multi-legged rotaries were analyzed to rapidly increase by increasing volume.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using both real and simulation dat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research topics which compare and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real data and simulation outputs.
        4,200원
        35.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2000년 초반‘회전교차로’라는 용어가 도입되었으며, 최근까지 회전교차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용량증대, 유동성확보, 안전성 증진, 지체감소 및 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을 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심미성 및 도시설계 요소 확보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량제 한 및 신호연동화인 경우 도입의 어려운 점 등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회 전교차로의 도입에 따른 운영효율 확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회전교차로는 좌회전 교통량이 적고 우회전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4지 이상의 교차로, 지방지역 교차 로에서 직진이나 우회전이 포함된 교통사고가 많은 교차로, 시 외곽 간선도로로서 우회전 교통량이 많고 속도가 높은 교차로 등 다양한 지점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2009년 우리나라에서도 저탄소녹색성장에 따른 교통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회전교차로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이미 도입된 회전교차로의 사례(16개 1차 조사 지점)를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회전교차로는 점진적 발전을 이루어 온 국외와 달리 급진적 도입을 시도하여, 회전교차로 의 설치 초창기의 연구에서는 국외의 회전교차로와 수락간격 및 용량 등 운영 행태 측면에서 상이한 특성 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회전교차로의 운영 특성이 국내에서는 수행되지 않았던 방식이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도입 및 정부의 활성화 정책 발표 5년 후 현재 의 운영행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런 실제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운영 행태 분석은 회전교차로의 도입 지점 선정 및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3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s to develop Right-Turning Channelization Design Models of Semitrailer at Intersections by regression of vehicle tracking simulation. 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indicated that right-turning channelization design guide of semitrailer is too complex and is not reflected turning speed and approach angle. To verify effectiveness of right turning semitrailer trajectories according to the changing turning speed and approach angle, vehicle tracking simulation was executed. And then, simulation results were analyzed for modeling design elements; minimum turning radius, swept path width, arc length, width of triangle island, of right-turning channelization using regression methods. RESULTS : When the turning speed is getting higher, minimum turning radius, arc length, width of triangle island increased and the approach angle lower, swept path width, arc length, width of triangle island reduced. The turning radius completely reflected by turning speed. CONCLUSIONS : In this research, it was investigated how much design element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turning speed and the approach angle of semitrailer. The developed right-turning channelization design models can help engineers to easy and comfortable design at various conditions.
        4,000원
        40.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ough the situation that the roundabouts are actively constructed, researches on the effect of the roundabouts focus mainly on the analysis of the expected effects of using only traffic simulation on the operation. Considering such problems,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various aspects based on field observation studies.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from the aspects of traffic operation, traffic safety, and traffic behavior by performing field observation studies with six roundabouts with/without signal controls on the pilot project areas for the roundabouts installed in 2010. RESULTS: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ravel time decreases by 14.7% and 2.4% on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unsignalized intersections, respectively. The average travel speed increases by 9.7 and 5.8km/h on the roundabouts with/without signal lights. Regarding traffic safety, the speed deviation among individual vehicles decreases by approximately 18.4 to 32.7km/h, thus confirming the safety effects. As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conflicts, it might be explained that car crashes and collision with pedestrians decreased by 62.2% and 66.7%.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lowest point of speed in roundabouts appears near the yield line on the entry area on the roundabouts. When passing through the roundabouts, vehicles enter at a speed of 20-30km/h, which is the design speed of the circulatory lane and drive out the roundabout with a higher speed than the entry speed. CONCLUSIONS: When a roundabout is introduced at the intersections below certain traffic volume there are effects of traffic operation, traffic safety, and traffic behavior.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