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rvicidal activity of materials from Ostericum koreanum (Apiaceae) root against late 3rd or early 4th instar larvae of Aedes aegypti and Culex pipiens pallens was examined using standard WHO techniqu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emephos.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of O. koreanum root were characterized as four coumarines; isoimperatorin (I), osthol (II), oxypeucedanin (III) and imperatorin (IV) by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EI-MS, LC-MS, 1H NMR and 13C NMR spectroscopy. On the basis of 24-hr LC50 values, osthol among these four coumarines was the most toxic against Ae. aegypti (1.97 ppm) and Cx. pipiens pallens (1.87 ppm) larvae, but its activity was less than temephos (0.0047 and 0.013 ppm, respectively). LC50 values of isoimperatorin, oxypeucedanin and imperatorin derived from O. koreanum root against Ae. aegypti larvae were 2.46, 6.92 and 2.17 ppm, and against Cx. pipiens pallens larvae, were 1.99, 5.04 and 3.68 ppm.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materials and coumarines from O. koreanum root have potential to be used for mosquito control.
        2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Asarum heterotropoides root steam distillate compounds to third instar larvae of Culex pipiens pallens, Aedes aegypti, and Ochlerotatus togoi (formerly Aedes togoi) was examined using a direct contact mortality bioassa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fenthion and temephos. A. heterotropoides root steam distillate exhibited good larvicidal activity (21.07-27.64 ppm), based on LC50 values. Potent activity was produced by safrole (LC50, 8.22-16.10 ppm), terpinolene (11.85-15.32 ppm), -terpinene (12.64-17.11 ppm), (–)-β-pinene (12.87-18.03 ppm), (+)-limonene (13.26-24.47 ppm), 3-carene (13.83-19.19 ppm), and α-phellandrene (13.84-23.08 ppm), although the larvicidal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less toxic than either fenthion (LC50, 0.023-0.029) or temephos (0.016-0.020). A. heterotropoides root steam distillate and its constituents described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mosquito larvicides for protection from humans and domestic animals from vector-borne diseases and nuisance caused by mosquitoes.
        2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view of the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developing plant-origin insecticides are an alternative to chemical insecticid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larvicidal potential of the two (H52C1 and H5C) compounds from Asarum sieboldii Miq. against dengue vector Aedes aegypti. Among the two compounds, compound I (H52C1) was most active than the compound II (H5C) against third instar larvae of Ae. aegypti. The LC50 value of the compound I was 2.03 (95% CL, 1.51-2.76) and the compound II was 10.66 (95% CL, 9.23-12.42). These findings would be useful in promoting research aiming at the development of new agents for mosquito larval control based on bioactive chemical compounds from plant origin.
        2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로토닌 수용체는 세로토닌과 반응하여 세포막의 G단백질을 통해 중개단백질 (adenylyl cyclase, phospholipase C, cGMP phosphodiesterase, ion channel)을 활성화시켜, 이뇨, 기억, 발생 등의 다양한 생리적 반응에 관여한다. 곤충세포인 Schneider2 (S2)와 척추동물 세포인 Chinese hamster ovary (CHO)-Kl에서 Aedes 5-HT 수용체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기 위해, Aedes 5-HT 수용체 유전자를 형질이입시켰다. 선발된 세포주들(Tr-S2, Tr-CHO)에서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은 reverse transcription-PCR, Western blot, immunocytochemistr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세로토닌 농도증가에 대한 Aedes 5-HT수용체의 기능을 세포 내 cAMP수준을 통해 조사한 결과,Tr-CHO 세포주는 Tr-S2 세포주보다 9배 이상 cAMP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이 결과는 수용체 유전자가 세포에서 발현되었으나, 세포의 종류와 세포막에 존재하는 G단백질 차이에 따라 중개단백질 활성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HO-Kl 세포에서 Aedes 5-HT 수용체의 기능이 S2 세포보다 더 효율적이며, Aedes 5-HT 수용체를 발현하는 Tr-CHO 세포주는 동력제 또는 대립제 검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4.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컷 Aedes aegypti의 난성숙과장에서 새로 나타나는 malate dehydrogenase(L-malate, oxidoreductase, EC 1.11.37, MDH)를 DEAE-Sepharose, Sulphonyl-Sepharose, Cibacron 3FGA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은 70,000 dalton정도의 dimer 형태로 되어 있으며 최적 pH는 malate-oxaloacetate반응에서는 pH 9.0~9.2, oxaloacetate-malate 반응에서는 pH 9.8~10.2이었다. 정재된 MDH는 mitochondria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질로서 malate에 대한 Km값의 경우 M, oxaloacetate에 대한 Km 값은 M, NAD에 대한 Km값은 M이며 NADH에 대한 Km 값은 M 을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기질에 의한 저해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기질에 대한 Km값을 부분적으로 분리한 DEAE-sepharose에 흡착된 원형질 MDH와 비교한 결과 malate에 대한 Km 이 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정제된 MDH는 cltrate, -ketoglutarate, ATP 등의 대사산물에 의하여 저해작용을 받았다. ATP 및 citrate에 의한 MDH 활성도 저해는 oxaloacetate-malate반응에서 보다는 malate-oxaloacetate 반응에서 덜 일어났다. Oxaloacetate-malate 반응의 경우 ATP에 의하여저해작용이 완전히 일어났으며 malate-oxaloacetate반응에서는 cltrate에 의하여 저해작용이 일어나지 않았다. 흡혈 후 생성되는 MDH는 난소에서 합성되며 흡혈 수 난소에서 18시간 때부터 활성도가 나타나 48시간 이후 최고 활성도가 유지되는데 TCA회로의 isocitrate dehydrogenase 의 경우 난소내에서의 활성도 변화가 MDH의 변화 양상과 같았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