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fluence of triploidization on cell and nucleus siz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tissues of erythrocyte, retina, kidney, hepatocyte and midgut epithelium in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has been determined histologically. Induced triploid fish are produced by cold shock treatments. Likewise, the size of horizontal cell nucleus in inner nuclear layer of retina, ganglion cell nucleus in ganglion cell layer of retina, proximal tubule cell of kidney, hepatocytes and nuclear height of midgut epithelium all appear to be significantly larger than diploid (P<0.05). On the other hand, retina thickness is larger in diploid than induced triploid (P<0.05). Induced triploid shows low density of cell number.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ame characteristics in the induced triploid exhibiting larger cells and nucleus sizes with fewer number of cells than the diploid can be useful criteria for the distinction between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and also the ploidy level in marine medaka.
        22.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 size control is a fundamental developmental processes for higher plants as well as a promising target trait for molecular breeding in crop plants. Genetic mechanisms how plant organs grow to a certain size remains still unclear. Here we present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tic mutant, big flower1-1 (bif1-1) in Arabidopsis that exhibits bigger organ size primarily due to increased cell size.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it is a single, semi-dominant mutation. Phenotypic analysis showed that bif1-1 exerts pleiotropic effects: it caused bigger seed size, bigger seedling, bigger leaf, thicker stem, increased trichome branching, smaller fruit, and bigger pollen. Microscopic analysis suggested that the bigger organ size in bif1-1 mutant is primarily attributed to increased cell size. Gene exp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most of growth-control genes tested were not altered in bif1-1 mutant. Instead, expression of ARGOS and auxin-inducibility of ANT were reduced in bif1-1 mutant. Our ongoing positional on the corresponding gene would not only shed light on the molecular mechanisms how plants adopt final organ size but also provide a promising genetic resource for genetic engineering of flower- and seed-size in crop plants.
        23.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옥수수로부터 찰옥수수로 변한 소비자들의 기호성과 홍수출하를 피하고 생산자의 소득을 높이기 위한 주년공급에 대응하기 위해서 조생종과 만생종 찰옥수수의 육묘와 이식재배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2007년에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풋옥수수의 안정성 높은 이식재배법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파종 후의 출사일수가 길어지는 반면, 이식후의 출사일수는 짧았는데, 출사일수는 찰옥 1호가 찰옥 4호에 비하여 9~12일, 그리고 2기작이 1기작에 비하여 12~15일 정도 짧았다. 2. 육묘 이식재배한 찰옥수수의 간장은 육묘일수가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직파재배에서 간장은 2기작재배에서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17%, 그리고 찰옥 4호는 24% 감소하였다. 3. 이삭길이는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다소 감소하였는데, 찰옥 1호는 1기작재배에 비하여 2기작재배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4. 상품 이삭수는 직파재배에서 2기작재배가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64% 감수하였고, 찰옥 4호는 12%로 감소하여 그 정도가 적었다. 5. 상품 이삭수로 보아 찰옥수수의 적정육묘일수는 찰옥1호는 1기작재배 15일 육묘, 2기작재배는 이식재배 보다 직파재배가 적당하고, 찰옥4호는 모든 작기에서 20일 육묘로 판단되었다.
        2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7년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적정육묘 일수, 충실한 묘를 육성하기 위한 플러그셀 크기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찰옥수수 묘의 묘장, 엽수 및 건물중은 파종기와 플러그셀 크기에 따라서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는데. 찰옥수수의 묘는 3월 파종 보다 5월과 7월 파종에서 생장속도가 빨랐다. 2. 찰옥수수 묘의 묘장과 엽수는 육묘일수가 길수록 증가하였는데, 3월 14일 파종에서는 30일 묘(21.6 cm), 5월 8일 파종에서는 15일 묘(25.5~26.9 cm), 그리고 7월 3일 파종에서는 10일 묘(21.6~24.0 cm)에서 이식에 적합한 묘장이 되었으며, 엽수는 3월 14일 파종에서는 파종 후 15~20일, 그리고 5월 8일과 7월 3일 파종에서는 파종 후 10일에 이식에 적합한 2~3매가 되었다. 3. 건물중도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는데, 3월 14일 파종에서는 육묘 30일에 0.43g, 5월 8일 파종은 20일에 0.57~0.67g, 7월 3일 파종은 15일에 0.53g이었고, 또한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건물중 증가속도가 2~3배 빨라졌다. 4. 묘장과 엽수로 보아 찰옥수수의 적정육묘일수는 모든 플러그셀 크기에서 3월14일 파종에서는 20일, 그리고 5월과 7월 파종에서는 10~15일이었다. 5. 찰옥수수 플러그묘의 묘장, 엽수, 엽면적 및 건물중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엽색도는 대부분의 형질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25.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election efficiency m the first gene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tion pattems of major tuber characteristics when raising hybrid seedling using the different plug cell size. The correlations in related 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