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꿀풀과(Labiatae)의 일종인 잉글리쉬 라벤더(Lavendula angustifolia L.)추출물이 tert-butylhydro- peroxide (t-BHP)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체피부흑색종세포(SK-MEL-3)를 배양한 후 t- BHP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영향을 세포증식율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t-BHP의 멜라닌화(melanogenesis)에 대한 라벤더 추출물의 영향을 티로시나제 활성(tyrosinase activity) 및 멜라닌합성(melanin synthesis)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t-BHP는 배양 SK-MEL-3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따라 세포증식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t-BHP의 독성이 세포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독성값(initial-cytotoxicity value )와 중간독성값(mid-cytotoxicity value)가 각각 4 uM과 30uM에서 나타났다. 한편, t-BHP에 대한 라벤더추출물은 t-BHP에 의해 감소된 세포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동시에 티로시나제의 활성과 멜라닌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라벤더추출물은 t-BHP에 대한 항산화효과와 멜라닌화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itis amurensis (VA; V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oriental herbal medicine. It has been reported that roots and seeds of VA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tems and leaves of VA on hydrogen peroxide (H2O2) (100 μm)-induced neuronal cell damage was examined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VA (10-100 μg/ml)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H2O2-induced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measur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VA inhibited H2O2-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a2+]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were measured by fluorescent dyes. Pretreatment of VA also preven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0 μm H2O2, which was measured by HP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 showed a neuroprotective effect on H2O2-induced neuronal cell death by interfering with H2O2-induced elevation of [Ca2+]i, glutamate release, and ROS generation. This has a significant meaning of finding a new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tems and leaves of VA in the CNS.
        2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활성산소종의 일종인 hydrogen peroxide(H2O2)에 대한 산수유(Cornus fructus, CF)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세포부착능과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H2O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세포의 세포부착능을 감소하였으며 XTT50값이 100 uM이하로 나타남으로서 Borenfreund와 Puerner(1984)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2O2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CF추출물의 세포부착능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CF추출물의 처리는 H2O2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부착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H2O2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된 지질과산화에 의한 막손상에 대하여 CF추출물의 처리는 H2O2에 의하여 증가된 LDH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CF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은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또한 CF추출물은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방어함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2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ied leaves from Cedrela sinensis A. Juss. (CS), have been observed to posses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contain various antioxidant constituents.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S on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neurotoxicity was examined using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in the present study. Exposure of cultured neurons to 100 μM H2O2 caused a significant neuronal death as assessed by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The addition of CS,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 to 50μg/ml, concentration-dependently prevented the H2O2-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CS (50μg/ml) significantly inhibited H2O2-induced elevation of the cytosolic Ca2+ concentration ([Ca2+]c), which was measured by a fluorescent dye, Fluo-4 AM. CS (30 and 50μg/ml) inhibited glutamate release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100μM H2O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 may mitigate the H2O2-induced neurotoxiciy by interfering with the increase of [Ca2+]c, and then inhibiting glutamate release and generation of ROS in cultured neurons.
        26.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nguisorbae radix (SR)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L. (Losaceae) is widely used in Korea and China due to it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SR on amyloid β Protein(25-35) (Aβ (25-35)), a synthetic 25-35 amyloid peptide, -induced neurotoxicity using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SR,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50 μg/ml, inhibited the Aβ (25-35) (10 μM)-induced neuronal cell death, as assessed by a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number of apoptotic nuclei, evidenced by Hoechst 33342 staining. Pretreatment of SR (50 μg/ml) inhibited 10 μM Aβ (25-35)-induced elevation of cytosolic calcium concentration ([Ca2+]c), which was measured by a fluorescent dye, fluo-4 AM. SR (10 and 50 μg/ml) inhibi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 μM Aβ(25-35), which was measured by HPLC,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R prevents Aβ (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in vitro.
        27.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ulis Bambusae in Taenia is widely used in Korea and China due to it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Caulis Bambusae in Taenia (CB) from Phyllostachys nigra Munro var. henonis Stapf (Gramineae) on amyloid β protein (25-35) (Aβ (25-35)), a synthetic 25-35 amyloid peptide, -induced neurotoxicity using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CB,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50μg/μl, inhibited the Aβ (25-35) (10 μM)-induced neuronal cell death, as assessed by a 3-[4,5-dimethyI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number of apoptotic nuclei, evidenced by Hoechst 33342 staining. CB (50 μg/μl) inhibi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 μM Aβ, (25-35) which was measured by HPLC. Pretreatment of CB (50 μg/μl) inhibited 10μM Aβ (25-35)-induced elevation of cytosolic calcium concentration ([Ca2+]c), which was measured by a fluorescent dye, fluo-4 AM,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B prevents Aβ (25-35)-induced neuronal ell damage in vitro.
        2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세포사 (apoptosis)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ceramide를 배양중인 생쥐 과립세포에 처리한 뒤 형광염색, in-situ 3'-end labeling(ISEL), 그리고 flow cytometry 기법을 이용하여, 자연세포사 및 세포주기에 미치는 ceramid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Ceramide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ceramid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로의 생존율은 농도에 비레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
        30.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 식물의 추출액이 자가영양배양세포의 광합성전자전달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9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으로부터 종자발아, PA세포의 엽록소 억제정도, DCIP의 환원율, 세포 생존율, 광계 I의 전자전달활성,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의 추출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10% 처리시 전 식물체에서 상추의 발아억제 현상을 나타내었고, 특히 백두옹과 초오 추출물 10% 처리시는 100% 억제를 나타내었다. 2. 백두옹의 증류수 및 MeOH 추출액을 PA세포에 처리한 경우 엽록소의 생성을 100% 억제 하 였다. 이는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제로 알려진 DCMU 10-3M 처리와 동일한 억제 효과였다. 3. PA세포에 추출물 처리시 백두옹이 힐반응 억제가 가장 컸으며, 세포 생존력은 가장 낮았다. 4. 광합성 산소발생은 반하, 독활, 백두옹, 만형자 추출액 처리시 14-77% 억제되었고, 특히 PA 세포 2ml 반응액에 백두옹 추출물 60rl 처리시 50% 산소발생 억제를 나타내었다. 5. 추출액을 PA 세포에 처리한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SDS-PAGE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백두옹 추출물 10% 처리에서 14KD, 31KD, 41KD, 53KD, 73KD의 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31.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원형질체를 이용하여 체세포잡종을 육성하기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의 엽육부위, Callus에서 효과적인 원형질체의 분리, 적합한 배양조건 및 세포융합에 관한 조건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 융합조건에 적합한 식물원형질체의 분리 방법은 여러 종류의 효소농도에 따라 다르지만 담배 및 완두엽육 원형질체분리에는 Macerozyme 0.5%, Cellulase 2.0%, KDS 0.5%, Mannitol 0.7M의 효소용액에 처리시 활성 있는 원형질체를 얻을 수 있었다. 2. 배양중인 담배 및 대두의 Callus로부터 원형질체분리는 배양기간에 따라 세포활성도가 떨어지거나 쉽게 파괴되는 현상을 보여 양호한 원형질체를 얻을 수가 없었다. 3. 원형질체의 배양은 배양배지에 Plating할 경우 세포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1.0 104 /ml이상이어야 분열이 가능하였고 배양조건은 150Lux 12시간 광암처리후가 세포분열 및 증식이 가장 왕성하였다. 4. 세포융합은 PEG농도가 중요하며 PEG 1500 0.33M에서 CaCl2농도가 높을수록 융합율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