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4.
        202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처분시설 내 1단계 인수·저장구역의 인수검사 공간 및 드럼 취급 공간 부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폐물검사건물을 건설하여 저장·처리능력을 확충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CNP 코드를 이용하여 방폐물검사 건물 내 저장구역에서 취급하는 해체 방사성폐기물 대상 신형처분용기를 대상으로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시설 내 저장 가능한 최대 용기 개수(304개)와 방사선작업에 대한 연간 예상 작업시간(약 306시간)에 대하여 연간 집단선량은 총 84.8 man-mSv로 계산되었다. 시설 내 총 304개의 신형처분용기(소형/중형 타입)가 저장 완료된 시점에서 인수검사, 처분검사를 위한 작업종사자의 투입인력은 총 25명, 작업종사자 당 예상피폭선량은 연평균 3.39 mSv로 산출 되었다. 소형용기 취급 시 작업종사자의 고방사선량 작업에 따른 작업효율과 방사선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라이너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차폐가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측기반의 해체폐기 물의 선원항과 특성을 활용하여 방사선작업 당 작업시간 및 투입인력을 산출함으로써 작업종사자의 최적의 방사선작업조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5.
        202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 해체 공정 중 다량의 콘크리트 방사성 폐기물의 절단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방사성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방사성 에어 로졸은 인체 호흡기 흡착에 의한 내부피폭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방사선 방호를 위한 내부피폭평가가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작업환경의 에어로졸 특성값을 사용하기에는 선행 연구가 미비하며 콘크리트에 포함된 방사성 핵종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작업자 내부피폭평가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된 콘크리트 에어로졸 특성값을 활용하여 원전 해체 전 절단 작업자의 내부 피폭량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콘크리트 절단 시 발생하는 사전 연구에서 발표된 에어로졸의 수농도 크기 분포데이터를 뉴턴-랩슨법을 이용하여 피폭평가 계산에 필요한 방사능중앙 공기중역학직경(Activity Median Aerodynamic Diameter)값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원전 정지 10년 후 비방사능 값을 ORIGEN code로 계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핵종별 예 탁유효선량을 IMB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핵종별 예탁유효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152Eu에 의한 최대 예탁유효선량은 전체 선량값의 83.09%를 차지하고, 152Eu를 포함한 상위 5개 원소(152Eu, 154Eu, 60Co, 239Pu, 55Fe)의 경우 최대 99.63%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원전 해체 전 콘크리트의 구성 원소 중 상위 5개 주요 원소 측정을 먼저 시행한다면 더 빠르고 원활한 방사능 피폭관리 및 해체 작업 안전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3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박물관, 기록원 등의 주요 소독약제인 메틸브로마이드(MB)와 Ethylene Oxide(EO)는 오존층 파괴 물질 및 1급 발암물질로 규제가 되고 있어 대체 훈증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친환경 약제인 검역훈증제 에틸포메이트 (베이퍼메이트®)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주요 해충인 독일바퀴(Blatella germanica) 및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를 대상으로 Dose response 실험을 실시하였다. 공시충은 팜한농 작물보호연구센터 곤충사육실에서 누대사육중인 개체를 사용하였으며, 데시게이터(6.9L)에 농도별로 24시간동안 밀폐 훈증처리하여 약효를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Probit analysis 통해 L(Ct) (Lethal Concentration x Time, gꞏhꞏm3)값을 산출하였다. 시험결과 L(Ct)50 및 L(Ct)99 값은 독일바퀴(혼합태)의 경우 48.38 및 346.34 gꞏhꞏm3 흰개미(성충)은 14.91및 660.94 gꞏhꞏm3로 나타났다. 모두 방제가 가능한 L(Ct)99 값은 660.94 gꞏhꞏm3으로 이는 에틸포메이 트 28.2 g/m3(베이퍼메이트® 170 g/m3)를 24시간 처리시 완전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내 유통되고 있는 기타가공품에 대하여 중금속 (납, 카드뮴, 수은), 부정유해물질 (발기부전치료제와 그 유사물질 36종, 비만치료제 3종, 스테로이드 28종)을 조사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기타가공품에 대한 기준규격 제정 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그결과 부정유해물질은 검출되지 않았고, 중금속은 납(Pb) 0.001~13.39(mg/kg), 카드뮴(Cd) 0.003~1.231(mg/kg), 수은(Hg)은 0.001~0.650(mg/kg)의 결과를 얻었다. 기타가 공품은 중금속에 대한 규격 기준이 없으므로, 중금속의 국내·외 기준을 비교하였을 때 중금속 최고기준을 적용하 면 납(Pb)과 수은(Hg)에서 각각 2건씩 4건이 초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는 FAO/WHO (Codex)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결과, 해물파전믹스, 들깨가루는 Pb의 PTWI의 기준 0.214를 초과하였다. 결론적으로 분말류나 환제품을 유사식품 기준으로 적용 하면 부적합으로 판정 될 수 있기 때문에 규격검사를 피할 목적으로 기타가공품으로의 등록을 지향한다. 이를 악용할 경우 검사의 사각지대로 인해 시민의 건강이 위협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품목제조허가 신고시 규격외 일반가공식품에서 기타가공품으로의 등록을 지양하고, 기타가공품의 세부적인 검사규격을 제정하여 관리해야 함을 제언한다.
        4,000원
        4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s are common pests frequently found in imported and exported fruits and vegetables. Methyl bromide(MB), a Quarantine and Pre Shipment(QPS) fumigant, could offer eradication of aphids within short period. However, MB is limited in use because of poor gas evaporation at low temperature(<5℃) and there is phytotoxic effect or damage on quality in post-harvest vegetables and fruits even at >5℃. Two candidates of MB alternative, ethyl formate(EF) and phosphine(PH3), are used and being investig at edon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fumigation to replace MB. Aphids are known as quarantine pest that are hard to control when conduct short period fumigation with PH3 and low dosage of EF. In this paper, dose response assessment of EF and PH3 are presented for three different aphid pecies : cotton aphid(Aphisgossypii), green peach aphid(Myzuspersicae) and turnip aphid (Lipaphiserysimi). The LCt99% values of EF at room temp. and low temp. (5℃) were 4.42 and 4.45 g·h·m-3 for cotton aphid, 3.23 and 5.58 g·h·m-3 for turnip aphid, 3.23 and 5.58 g·h·m-3 for green peach aphid when 2-hours fumigation. PH3 showed 0% efficacy on all species when 2-hours fumiga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