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3.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the technology adoption process and its drivers in the Vietnamese educational system. Research data was collected wit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more than 600 teachers in primary schools, secondary schools,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Vietnam in 2020. Based on a holistic literature review, we develop a model of two extrinsic factors (global needs and school-infrastructure), and two intrinsic factors (teachers’ technological literacy and their beliefs), which are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technological adoption. We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 by asking the teachers’ ability and their efficacy to implement technology in teaching according to a Likert scale. With the support of SPSS_22 and STATA_2015, we find that over 70% of changes in technology adoption are explained by the changes in four independent variables and three control variables related to age, gender, and teachinglevel of the teachers. Furthermore,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wo dependent variable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y integration ability can be seen among teachers’ gender, age, and school-level. Specifically, male teachers seem to adopt technology at schools than female teachers better, and university teachers have the lowest level of technology adoption compared to other school-level teachers.
        2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녹색성장기본법」과 RPS 제도 등의 시행으로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기존의 에너지 시장이 신・재생에너지 시장으로 변화되어감에 따라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에너지 자립의 측면에서 국내・외적으로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정부부처는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 처리의 확대를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다수의 자자체 및 단체에서 바이오 가스화 시설의 설치를 예정하고 있으나 설치 및 운영 인력들의 대한 바이오가스화 시설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 및 시설 운영으로 가동률 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부문 산업현황 조사와 바이오가스화 부문 업체 및 종사자 인원을 조사 및 전문인력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체계 개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NCS 및 전문인력의 수행 및 요구 직무를 분석하여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기획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까지의 필요 교육내용과 교육체계를 단계별로 도출하였다.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를 주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바이오가스 산업분야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교육체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인력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로 인하여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부문의 전문성이 확보되고 안정적인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처리가 가능하여 바이오가스화 산업의 확대가 기대된다.
        25.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년 04월 08일-06월 18일까지 대전·경상북도지역의 3년제 방사선(학)과 300명, 4년제 방사 선학과 300명 총 600명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3년제보다 4년제 방사선학과 학생 들의 교육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그리고 남학생과 저학년에서 교육만족도가 높지만 일부 항 목에서만 유의하였다(p<0.05, p<0.01,p<0.001). 3년제 방사선(학)과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설과 목의 다양성보다는 새롭고 전문적인 산학협력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방법일 것이다.
        26.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 the suggestion of the NASA Meteoroid Environment Office (NASA/MEO), which promotes lunar impact monitoring worldwide during NASA’s Lunar Atmosphere and Dust Environment Explorer (LADEE) mission period (launched Sept. 2013), we set up a video observation system for lunar impact flashes using a 16-inch educational telescop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rom Oct. 2013 through Apr. 2014, we recorded 80 hours of video observation of the unilluminated part of the crescent moon in the evening hours. We found a plausible candidate impact flash on Feb. 3, 2014 at selenographic longitude 2.1° and latitude 25.4°. The flash lasted for 0.2 s and the light curve was asymmetric with a slow decrease after a peak brightness of 8.7 ± 0.3 mag. Based on a star-like distribution of pixel brightness and asymmetric light curve, we conclude that the observed flash was due to a meteoroid impact on the lunar surface. Since unequivocal detection of an impact flash requires simultaneous observation from at least two sites, we strongly recommend that other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Korea set up similar inexpensive monitoring systems involving educational or amateur telescopes, and that they collaborate in the near future.
        2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국사회에서 교육결손집단이자 사회취약계층인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제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확산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환경에서 교육소외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는 중도입국아동 및 청소년을 포함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교육지원사업 및 프로그램과 교육지원체제 성공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체제는 전 국가적인 ‘교육수월성 강화(excellence in education)’와 ‘사회적 통합(social inclusion)’을 도모하는 교육복지를 기조로 전개되고 있었다. 둘째, 중도입국 이주학생의 성공적 통합은 학교-가정-지역 커뮤니티의 다자간 파트너십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배경을 가진 이주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의 학교는 전담인력 배치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역량강화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넷째,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생활지도 및 보살핌(good pastoral care)사업을 병행하였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우리의 교육체제가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모든 학습자들의 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학교 ‘안’과 학교 ‘밖’의 다양한 교육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28.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maritime educational and training systems in different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ample countries have been divided into two large groups, one of which comprising the countries adopting European maritime educational system and the other of which consisting of countries adopting American maritime educational system. From the comparison of the two educational systems, th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system has been analys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 maritime educational institutes of the countries such as U.S.A., Japan, Korea, Taiwan, which have American maritime educational system, have more adaptability to the rapidly changing, shipping environment. In addition,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college of the Maritime Science of the Korea Maritime University is required to set up a new educational model which is similar to the of the SUNY Maritime College in the U.S.A to meet the recent changes in Korean shipping industr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