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ste water-soluble cutting oil was treated with W1 type #1 and W1 type #2. The properties of the original water-soluble cutting oil were pH=10.4, viscosity=1.4cP, CODcr=44,750 ppm, and TOC=10,569 ppm. However, the properties of the oil used for more than 3 months were changed to pH=7.82, viscosity=2.1cP, CODcr=151,000 ppm, and TOC=74,556 ppm. It might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lecular chains were cut due to thermal oxidation and impurities such as metal chips were incorporated in to the oil during the operation processes. To prevent the putrefaction of oil, the sterilization effect of ozone and UV on the microorganism in the oil was investigated. Ozone treatment showed that 99.99% of the microorganism was annihilated with 30 minutes contact time and 60 minutes were necessary for the same effect when UV was used. Ozone treatment could cut molecular chains of the oil due to strong sterilization power, which was evidenced by the increase of TOC from 25,132 ppm at instantaneous contact to 28,888 ppm at 30 minutes contact time. However, UV treatment didn't show severe changes in TOC values and thus, seemed to cause of severe cut of molecular chains. When the activated carbon was used to treat the waste water-soluble cutting oil, TOC decreased to 25,417 ppm with 0.1g carbon and to 15,946 ppm with 5.0g carbon.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ste oil of small molecular chains could be eliminated by adsorption. From th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se treatment techniques could be proposed to remove the waste oil of small molecular chains resulting in the degradation of the oil properties. In addit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could be used for the correlation with future works such as investigation of the molecula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izes, lengths, and molecular weight of the chains.
        2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출조건에 따른 지골피의 몇가지 물리적 성질 및 화학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1. 고형분과 총당함량은 물추출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나 반면에 탄닌산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2. 지골피 물추출물이 탁도와 갈색도가 에탄올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색도 중 적도와 황색도는 유사하였다. 3. 용매별 분획추출결과 수율은 물 > n-부탄올 > 에틸에텔 > 초산에 틸 분획순으로 증가하였다.
        23.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와 가리 시용량이 버어리종 잎담배 (1988년 ; Burley 21. 1989년 ; Burley 21과 KB 101 )의 내용성분과 물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 3수준( 1988년 ; 17.5, 22. 75, 28.0kg/10a, 1989년 ; 12.5, 17.5, 22.5kg/10a), 가리 3수준 (1988년 ; 17.5, 35.0, 52.5kg/10a, 1989년 : 25.0, 35.0, 45.0 kg/10a)을 두어 포장에서 시험 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urley 21에 비하여 KB 101이 전질소 및 전알칼로이드 함량, 가리 /전질소 함량비가 낮았던 반면, 명도, 적색도, 황색도 및 부풀성이 높았다. 2. 전질소 및 전알칼로이드 함량은 질소를 22.75kg/10a까지 시용할 때는 증가폭이 컸으나 22.75kg/10a을 초과하여 시용할 때는 증가폭이 완만하였다. 또한 질소시용량 증가에 의하여 건엽의 가리함량, 가리/전질소 함량비, 부풀성 및 부스러짐 저항성지수가 낮아졌다. 3. 가리시용량 증가에 의하여 건엽의 가리용량과 부스러짐 저항성지수는 높아졌다. 4. 건엽의 가리/전질소 함량비에 미치는 영향은 가리시용량보다는 질소시용량이 컸다. 5. 질소시용량이 22.75kg/10a을 초과할 때, 잎담배의 품질과 이화학성에 유리한 점은 없었으며, 가리시용량은 현행 시비량인 35.0kg/10a 이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24.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계 5품종 및 다수계 7품종의 쌀의 물리, 화학적 생질의 상호관계를 조사한 결과 쌀의 평형수분함량은 아밀로스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0.906** )을 보였다. 쌀의 단단함은 주로 쌀알의 폭과 용적에 영향을 받았으며 도정시간은 쌀의 단단함 및 쌀의 폭, 용적, 표면적 및 무게 등과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쌀의 일반성분함량은 쌀의 단단함, 도정시간 및 평형수분함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