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석류는 토사나 돌, 자갈이 물과 혼합하여 하류로 흐르는 현상으로 최근 발생한 우면산 토석류 재해와 춘천시 펜션의 토석류 재해로 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토석류 재해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저감 공법으로 현재 가장 많이 계획 및 시공되고 있는 것이 사방댐 이다. 하지만, 사방댐은 토석류 발생 위치와 규모를 예상하기 어려워 도입 결정이 힘들고 산림에서의 사방댐건설로 인해 자연환경의 훼손 및 생태의 단절이 뒤따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토석류 저감공법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사방댐 건설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식생 및 수목을 활용한 토석류 저감공법의 연구사례와 국내 도입 및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목식재에 의한 토석류 재해 저감공법의 국내 도입이 보다 활발히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ltural practice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in highland area were performed for a potential medicinal crop. These studies were examined to propagation methods, planting densities, nitrogen treatments, and cropping ye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dequate number of buds per tuberous root was 4 for vegetative propagation because the number of tuberous root harvested was 16.8 and the yield was also the highest, exhibiting 1,060 kg/10a. The suitable planting time for vegetative propagation was later than early April. If the earlier tuberous roots were planted, the less they emerged. The highest emergence rate was obtained from the planting density of 30×20cm as 97.2% while the yield was highest in the 30×15cm density, exhibiting 1,883 kg/10a with emergence rate at 94.9. It seemed that the higher planting density promoted plant height growth and yield in Asparagus cochinchinensis. The highest fresh weight was recorded at 6 kg/10a of nitrogen fertilizer into the sandy loam soil compared to the level of 0, 3, 9 kg/10a. The yield was increased with cropping years. However, the proper harvesting time was the second year of cultivation because the rate of weight increase was maximized in the 2-year-old tuberous root. The yield in the third year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second year.
        23.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답리작 유휴 농지에 바이오 디젤의 원료인 유채의 다수확 재배법을 구명코자 시험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0×20 cm 조파는 종실수량이 298 kg/10a인데 비하여 50×15 cm 점파구에서는 1.000 kg/10a의 표준 퇴비 시용구가 361 kg/10a로서 21% 증수였고 1.500 kg/10a의 퇴비 50% 증비구에서는 422 kg/10a로서 42%가 증수였으며 50×30 cm의 이식구에서는 1.000 kg/10a의 표준 퇴비 시용구가 392 kg/10a로 32% 증수였고 1.500 kg/10a의 퇴비 50% 증비구에서는 455 kg/10a로서 53%가 증수되어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바이오디젤 원료인 수유량에서도 50×30 cm 이식, 50% 퇴비 증시구에서 200 kg/10a로서 56%가 증수되어 가장 수유량이 높았다.
        2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기내에서 생산된 나팔나리 ‘죠지아’의 소인경의 크기와 식재방법이 구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소인경의 크기가 클수록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경출엽 발생율이 높았다. 또한, 소인경의 크기가 큰 것(구둘레 4.0cm)은 작은 것(구둘레 2.2cm)을 식재하는 것보다 구둘레, 구고, 구직경, 구중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다. 식재깊이는 다른 처리에 비해 1cm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둘레, 구직경, 구중 등 구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절화용 구근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재간격은 구근 생육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25.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equential planting method was developed to identify durable blast resistance in Korean rice cultivars. Two types of ric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by a sequential planting after inoculation of mixed 26 rice blast isolates. Daesanbyeo and Gihobyeo, sh
        2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하수오 근수량 증대를 위한 밀식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직파와 육묘 이식으로 구분하여 파종하고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만장과 분지수는 길거나 많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개체당 엽수는 22주/m2 에서 가장 많았다. 2. 지하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고, 재식밀도 간에는 주당 지근수, 근장 및 근태는 소식할수록 많거나 길거나 굵었으나, 단위 면적당 지근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3. 생근수량은 직파 재배보다 육묘 이식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많아 육묘 이식 17주/m2 (1,680 kkg/10a)에 비하여 27주/m2 (2,567 kg/10a)에서 53%증수되었다.
        27.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 재배시 적합한 재식방법을 구명하고자 충북지방재래조을 공시하여 휴폭 200cm, 조간 30cm(6렬), 주간 8.5cm(m2당 30주)로 4월 23일에 파종하여 란괴법 3반복으로 시허믈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은 관행인 평식의 5월 23일 보다 사식, 직식에서 2~4일 늦었으며, 과자, 과장×과폭 비 등은 큰차는 없었으나 평식〉사식〉직식 순이었다. 2. 지하부 생육중 근장과 근태는 평식 29.2cm, 10.0mm 보다 사식 3.4cm, 0mm, 직식은 2.8cm, 1.0mm가 각각 감소하였으며 당함량은 평식〉사식〉직식 순으로 많았다. 3. 10a당 총수량은 평식 1,203kg에 비하여 사식은 9%, 직식은 15%가 각각 감소되었고, 상품수량은 총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중부 내륙지방에서 지황 재배법 재식방법은 관행인 평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