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ponses of five varieties and three cultivars of pea (Pisum sativum)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odulation, growth,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were investigated. The pea varieties were IPSA Motorshuti-l, IPSA Motorshuti-2, IPSA Motorshuti-3, BARI Motorshuti-l, BARI Motorshuti-2 and the cultivars were 063, Local small and Local white. Fifty percent seeds of each pea variety/cultivar were inoculated with a mixture of Rhizobium inoculants at rate of 15g/kg seed and the remaining fifty percent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The plants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growth,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Among the varieties/cultivars, BARI Motorshuti-l performed best in almost all parameters including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of the crop.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r=0.987** , 0.909** ),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r=0.944** , 0.882** ), dry weight of shoot (r=0.787** , 0.952** ), N content (r=0.594** , 0.605** ) and N uptake (r=0.784** , 0.922** ) by shoot both at flowering and pod filling stages of the crop,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BARI Motorshuti-l in symbiotic association with Rhizobium inoculant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 uptake by pea.
        22.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ponses of six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varieties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were investigated. The mungbean varieties were BARI Mung-2, BARI Mung-3, BARI Mung-4, BARI Mung-5, BINA Moog-2, and BU Mung-1. Two-third seeds of each variety were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and the remaining one-third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Rhizobium strains TAL 169 and TAL 441 were used for inoculation of seeds. Inoculation of seeds with Rhizobium strains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nitrogenases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compared to uninoculated contro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It was concluded that BARI Mung-4 in association with Rhizobium strain TAL 169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odulation,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itrogen uptake by shoot of mungbean.
        23.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에서는 콩 재배품종과는 친화성이 없다고 알려진 R. fredii (fast-grower)와 기존의 근류균계인 B. japonicum 간의 상호작용 및 숙주친화성 등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뿌리분할방법(split-root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근류균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Lee와 Peking 품종 및 R. fredii인 PRC205(P205) 균계와 B. japonicum인 USDA110(U110) 균계를 이용하였다. 뿌리분할장치의 양분된 뿌리에 독립적으로 접종하였으며 처리당 4반복씩 완전임의로 배치하였다. 균계간 경합을 보기 위하여 4조합의 근류균계들을 분할장치 양측에 동시 접종하였으며, 또한 균계간 상호작용을 보기 위하여 6조합의 균계를 반분된 뿌리의 양측에 1주일 간격으로 접종하였다. 접종후 3주만에 근류착생 정도와 생육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ee품종에서는 분할된 뿌리 양쪽에 P205만 접종되었을 때 근류중이 가장 작았던 반면 Pe-king 품종에서는 P205만 접종되었을 때 근류중이 가장 컸다. 2. 두 균계를 동시에 접종했을 때 Lee 품종에서는 UlIO에 대해 P205의 경합력이 거의 없었으나 Peking 품종에서는 오히려 P205의 경합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양 품종 모두 처리에 따른 뿌리의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부 생육량에서는 Lee 품종의 경우 P205만 처리되었을 때 현저히 적었으며 Peking 품종은 P205 단독처리에 비해 U110 단독처리시 적었다. 4. P205를 1차 접종했을 때 Lee품종의 경우 2차 접종된 side의 근류수와 근류중을 현저히 감소시켰는데 다만 U110의 근류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Peking품종에서는 근류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근류중은 상당히 억제하였다. 5. U110을 1차 접종했을 경우에는 두 품종 공히 반대편 side의 근류착생을 심하게 저해하였다. 6. Lee 품종의 경우 1차 접종된 균계가 2차 접종된 side의 뿌리생육을 다소 억제하였으나 처리간 차이가 있었으며 근류착생이 불량했던 P205 처리구에서도 뿌리의 생육은 양호하였다. 반면에 Poking 품종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7. 지상부 생육은 Lee품종의 경우 U110 1차 접종구가, Peking 품종에서는 P205 1차 접종구에서 양호하였다.
        24.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양액중의 질소농도 및 재식밀도 등의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에 미치는 처리효과는 생육중기 (V7, Stage)에 있어서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개화기미(R3 Stage)에서는 그 효과가 증대되어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경장이 증대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더욱 컸고 근류비착생계통에서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질소시용 또는 195ppm까지의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대되었고 밀식에 의하여 증대되었다. 2. 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건물중이 증대되었는데 그 효과는 무질소구에서 더욱 현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에 의하여 장백콩과 팔달콩에서는 건물중이 계속 증가되었으나 황금콩과 Clark에서는 질소증시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여하였는데 특히 팔달콩에서 더욱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무질소 또는 저질소 수준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 및 밀식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이 증가되었다. 4. 폿트당 수량이 미치는 근류균의 접종 효과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증수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며 질소증시효과도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증수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밀식에 의한 증수효과도 황금콩에서는 현저하였으나 기타 품종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5. 개체당 수량도 황금콩과 팔달콩에서 근류균 접종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고 질소시용효과는 밀식조건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소식조건에서는 근류균을 접종하였을 때는 증수되지 않았으나 근류균을 비접종하였을 때는 팔달콩과 Clark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개체당 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6. 수량은 건물중,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 그리고 개화기미의 근류수와,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25.
        198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포장에 사용하는 제초제가 근류균의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초제 Alachlor, Linuron, Simazine 및 Paraquat를 농도별로 YEMA 배지에 혼합하여 근류균을 접종, 배양하여 생존률을 조사하였다. 1. 콩근류균은 Alachlor와 Linuron의 사용권장 농도인 400ppm 처리에서도 각각 27.4%와 57.8%의 생존률을 보여 유의한 근류균의 감소를 보였다. 2. Simazine은 공시제포제중에서 가장 영향이 적었으며 Paraquat는 200ppm에서도 현저한 생존균수의 감소를 보였다. 3. Alachlor에 대한 근류균의 감수성은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I-122 균주가 가장 낮은 감수성을, I-145가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였고 중도 저항성인 K-5 균주는 사용권장농도에서는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4. 콩품종의 근류형성력은 균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Alachlor에 저항성인 균주 I-122, K-5 가 높은 근류형성력을 보여 근류형성력은 환경적응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27.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과목초의 근류균 접종방법 개선책의 일환으로써 3수준의 근류균농도, 즉 10, 20, 30%; 3종류의 접착제 즉 gum arabic, methyl cellulose 및 carboxy methyl cellulose; 그리고 4종류의 석회와 calcium carbonate를 포함한 5종류의 피복재료를 사용하여 근류균을 접종한 후에 plate count법으로 생존하고 있던 근류세포수를 측정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ew Zealand산 peat slurry의 근류균을 사용할 경우 근류균을 10%에서 3.5 109 개로써 표준에 가까운 근류균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 2. 접착제로서 gum arabic은 40% 용액에서 methyl cellulose는 5% 용액 그리고 carboxy methyl cellulose는 4% 용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최대착생수를 나타내었으나 그 중에서 methyl cellulose 5% 용액이 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3. 피복재료로서 치과용석회(Lime A)는 타재료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8.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성토양에서 Alfalfa에 대한 근류균의 접종효과를 밝혀 우리나라에서 Alfalfa의 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0년 포장에서 Alfalfa 품종 Luna를 공시품종으로 국내에서 분리한 근류균(Rhizobium meliloti)을 공시균주로 하여 근류근 접종과 석회시용의 효과를 단보당 농용석회 100, 300, 600kg의 3가지 석회 수준에서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근류균 접종구에서는 석회의 시용이 생육초기 근류형성량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위근류의 형성이 거의 없었으나 무접종구에서는 생육 초기부터 위근류가 형성되었다. 2. 석회시용 효과는 생육초기부터 나타났는데 석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토양 pH, 초장, 근장, 지상부 건물중, 뿌리의 건물중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예취기별 건물수량은 근류균 접종 및 석회시용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근류균 접종구에서 석회시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연간 총수량은 무접종구가 약 83kg/10a, 접종구가 약 286ks/10a으로 근류균 접종에 의해 3배 정도의 수량증대를 보였다. 4. 식물체내 전질소함량은 근류균 접종에 의해 잎이 4.0~4.5%, 줄기가 1.5~l.8% 그리고 뿌리는 1.7~l.9%정도로 헌저히 증가되있으며 근류형성률이나 석회시용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9.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성토양에 적응할 수 있는 계통으로 캐나다에서 육성보급된 알팔파 근류균 Rhizobium meliloti BALSAC과 일반적으로 알팔파 재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통 근류균이 알팔파 뿌리혹 형성과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pH 5.4정도의 산성토양을 석회시용으로 pH를 5.9, 6.4로 교정한 뒤 몇가지 종자처리 즉 무처리, 무처리+N시용, 근류균접종, 근류균 접종+석회피복으로써 초자실에서 2개월간 포트시험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알팔파의 건물량 생산에는 두 근류균계통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뿌리혹 형성에 있어서는 Balsac 계통의 효과가 인정되있다. 2. 석회시용으로써 식물체와 뿌리혹의 건물중 및 뿌리혹수가 증가되었으며 뿌리혹의 증가는 주로 측생근에서의 뿌리혹수 증가에 기인하였다. 3. 근류균을 접종하지 않고 질소비료만을 시용함으로써 뿌리혹을 형성한 개체비율, 뿌리혹의 건물중 및 전체뿌리혹수에 대한 굵은 뿌리혹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되었다. 4. 상업적으로 생산된 근류균의 종자처리 효과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5. 뿌리혹과 관련된 형질조사에서는 상대적으로 그 변이계수가 컸으며 그 변이를 감소시키고 추정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특별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