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8

        2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연안의 반폐쇄성 해역인 영일만에서 고주파해양레이더(HF-Radar)로 측정된 표층 해수유동 자료를 활용하여 1)바람과 수평 적인 해수유동 사이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2)수직적으로 조밀한 간격의 층별 수온시계열 자료와 연계하여 수평적 및 수직적 해수유동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시계열 관측기간 중 영일만 해역의 전역에 걸쳐 북동풍이 우세하게 나타났을 때 표층부터 저층까지 수온의 급격한 상승이 동반되었다. 또한 표층의 장주기 해수유동에서도 풍향과 유사한 방향의 흐름이 뚜렷하게 관측되었다. 바람과 표층 해류 사이의 지 연상관 분석을 통해 영일만에 북동풍의 바람이 불기 시작하여 일정하게 지속된다면 짧은 시간(1 ~ 2시간) 내에 남서향의 표층 해류가 발 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평균된 장주기 표층 해류로부터 수렴과 발산을 계산하였고 이를 통해 층별 관측지점에서 발생한 두 번의 급 격한 저층수온 상승이벤트가 모두 영일만의 북동풍과 연관된 표층 해수(상대적 고온수)의 수렴(침강) 현상으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판단 하였다.
        4,600원
        26.
        2022.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light an exoplanet blocks from its host star as it passes in front of it during a transit, the mid-transit time can be determined. Periodic variations in mid-transit times can indicate another planet’s gravitational influence. We investigate 83 transits of TrES-1 b as observed from 6-inch telescopes in the MicroObservatory robotic telescope network. The EXOTIC data reduction pipeline is used to process these transits, fit transit models to light curves, and calculate transit midpoints. This paper details the methodology for analyzing transit timing variations (TTVs) and using transit measurements to maintain ephemerides. The application of Lomb-Scargle period analysis for studying the plausibility of TTVs is explained. The analysis of the resultant TTVs from 46 transits from MicroObservatory and 47 transits from archival data in the Exoplanet Transit Database indicated the possible existence of other planets affecting the orbit of TrES-1 and improved the precision of the ephemeris by one order of magnitude. We now estimate the ephemeris to be (2 455 489.66026 BJDTDB ± 0.00044 d) + (3.0300689 ± 0.0000007) d×epoch. This analysis also demonstrates the role of small telescopes in making precise midtransit time measurements, which can be used to help maintain ephemerides and perform TTV analysis. The maintenance of ephemerides allows for an increased ability to optimize telescope time on large groundbased telescopes and space telescope missions.
        4,200원
        27.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plexation of actinides and lanthanides with carboxylic organic ligands is known to facilitate migration of radionuclides from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s of spent nuclear fuel. In order to examine the ligand-dependent structures of trivalent actinides and lanthanides, a series of Eu(III)-aliphatic dicarboxylate compounds, Eu2(oxalate)3(H2O)6, Eu2(malonate)3(H2O)6, and Eu2(succinate)3(H2O)2,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using X-ray crystallography and time-resolved laser fluorescence spectroscopy. Powder X-ray diffraction results captured the transition of the coordination modes of aliphatic dicarboxylate ligands from side-on to end-on binding as the carbon chain length increases. This transition is illustrated in malonate bindings involving a combination of side-on and end-on modes. Strongly enhanced luminescence of these solid compounds, especially on the hypersensitive peak, indicates a low site symmetry of these solid compounds. Luminescence lifetimes of the compounds were measured to be increased, which is ascribed to the displacement of water molecules in the innersphere of Eu center upon bindings of the organic ligands. The numbers of remaining bound water molecules estimated from the increased luminescence lifetime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crystal structures. The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a of these crystalline polymers suggest that oxalate ligands promote the sensitized luminescence of Eu(III), especially in the UV region. In the case of malonate and succinate ligands, charge transfer occurs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Eu(III) to the ligands under UV excitation, resulting in weaker luminescence.
        28.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1월 23일 이후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봉쇄 조치가 전국으로 확대 되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2020년 2월 1-2일에 PM10 질량농도 일평균 최대 88-98 μg m−3의 고농도 연무가 발생하였다. 이 기간에 동아시아 지역은 850 hPa 기온 아노말리가 양(+), 동서류 아노말리는 음(-)으로 온난하고 정체적인 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동아시아 지역의 인위적 배출량 감소에 따른 한국의 PM10 장거리 수송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WRF-Chem을 활용하였다. WRF-Chem에 인위적 배출량을 변화 없이 적용한 BASE와 인위적 배출량을 50%로 감소시켜 적용한 CTL의 PM10을 한국의 지상 측정값과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CTL에서 PM10의 IOA는 0.71로 BASE의 0.67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중국의 COVID-19 봉쇄 조치로 인해 인위적 배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 다. 또한, 한국 이외의 지역 배출량을 0으로 설정한 BASE_ZEOK와 CTL_ZEOK를 모의하여 BASE와 CTL에서의 장 거리 수송 기여도의 변동을 분석하였다. CTL은 BASE와 비교하여 배출량이 50%로 감소하였지만 PM10 장거리 수송 기여도는 10-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지역의 배출량 감소에 따라 풍하측 한국의 PM10 장거리 수송 기 여도 변동이 선형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은 종관 기상 변동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2월 1-2일 한국의 고농도 PM10 연무 사례에 대한 CTL에서 PM10 에어로졸 성분의 장거리 수송 기여도는 기타 무기물이 80-90%로 가장 높았고, 질산염은 30-60%, 황산염은 0-20%, 암모늄은 30-60%를 나타내고 있었다. 중국의 봉쇄 조치로 인하여 교통 및 물류 수 송이 감소하면서 2차 에어로졸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5,500원
        29.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하의 단층들이 지표면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단층의 유무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HVSR 분석법으로 지표 면 아래 단층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포항분지 흥해지역 동편의 곡강단층을 통과하는 지역을 선정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차하는 두개의 측선에서 조밀하게 관측한 배경잡음으로 HVSR 분석을 통해 공명주파수를 산정하였다. 연구지역 내 시추 자료의 기반암 깊이 정보와 시추 지역의 공명주파수를 이용해 상관식을 도출한 후 두 측선에서의 공명주파수를 상관식에 적용해 기반암 심도를 산출하였다. HVSR 분석 결과 두 측선에서 기반암 심도가 급 격히 변하는 곳이 있다. 특히 곡강단층 인근에서 공명주파수가 급격히 변화하였고, 기존에 알려진 단층이 없는 지역에 서도 공명주파수와 기반암 심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곳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형상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blind fault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지표면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단층을 식별하기 위한 HVSR 방법의 적 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200원
        30.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차량-교량 상호작용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차량이 주행하는 교량의 동특성은 차량의 질량 및 진 동을 무시하지 않는 경우 상호작용을 반영해야 하는데, 이때 시스템은 시간가변적이므로 고유진동수 또한 시간가변적인 특성을 보인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과 교량을 각각 2자유도를 갖는 시스템으로 모델링하여 차량의 위치와 질량비 그리고 시스템 강성비에 따른 시간가변적 고유진동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초기 고유진동수가 작은 시스템은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증폭비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나 상호작용이 발생할 경우 증폭비는 분기점을 보이며 비선형적 추세를 보이는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호작 용이 발생하는 시스템차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34.
        202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acoustic mode parameters of the Sun and Sun-like stars vary over activity cycles. Since the observed variations are not consistent with an activity-related origin, even Sun-like stars showing out-of-phase changes of mode frequencies and amplitudes need to be carefully studied using other observational quantities.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presumed relations between the global seismic parameters are a signature of the stellar activity cycle, we analyze the photometric light curve of HD 49933 for which the rst direct detection of an asteroseismic signature for activityinduced variations in a Sun-like star was made, using observations by the CoRoT space telescope. We nd that the amplitude of the envelope signi cantly anti-correlates with both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envelope and the width of the envelope unless super are-like events completely contaminate the light curve. However, even though the photometric proxy for stellar magnetic activity appears to show relations with the global asteroseismic parameters, they are statistically insigni ca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global asteroseismic parameters can be utilized in cross-checking asteroseismic detections of activity-related variations in Sun-like stars, and that it is probably less secure and efective to construct a photometric magnetic activity proxy to indirectly correlate the global asteroseismic parameters. Finally, we seismically estimate the mass of HD 49933 based on our determination of the large separation of HD 49933 with evolutionary tracks computed by the MESA code and nd a value of about 1:2M and a sub-solar metallicity of Z = 0:008, which agrees with the current consensus and with asteroseismic and non-asteroseismic data.
        4,000원
        3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중국의 COVID-19 폐쇄는 한국의 풍상측에 위치한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량을 감소시켰다. 몽골 북부로 부터 중국 동부를 거쳐 한반도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2020년 1~2월에 기온 아노말리가 양(+)으로 온난하였고, 2020년 1월에는 동서류 아노말리가 음(−)으로 정체적인 특징을 보였다. 2019년 12월~2020년 3월에 한국 중부 서쪽의 석모리와 파도리에서 중국 배출량 감소의 영향에 따라 PM10, NO2, O3 농도 변동이 나타났다. 파도리에서 PM10, O3 월평균 농도와 최근 4년의 월평균 농도의 비는 2019년 12월과 비교하여 중국의 COVID-19 폐쇄 이후인 2020년 1~3월에 각각 0.7~4.7%, 9.2~22.8%로 감소하였다. 2020년 1월 중국의 춘절 기간에는 석모리와 파도리에서 PM10, NO2, O3 농도가 최근 4년의 춘절 기간과 마찬가지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0년 1월 평균 농도가 최근 4년 1월과 비교하여 감소한 것은 중국 춘절 전후의 기간에도 배출량이 감소하였던 것과 관련 있다. 2020년 1~3월 석모리의 PM10, NO2, O3 농도의 비 ( /M)는 각각 70.8~89.7%, 70.5~87.1%, 72.5~97.1%이었고, 파도리에서도 각각 79.6~93.5%, 67.7~84.9%, 83.7~94.6% 로 추정 월평균(M)보다 월평균(Os)이 감소하였다. 2020년 1월에 몽골 북부로부터 중국 동부와 한반도에 이르는 지역의 온난화로 인한 광화학 반응으로 최근 4년과 비교하여 AOD가 높게 나타났으나 2020년 3월에는 풍상측인 중국에서 2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전구물질 배출 감소로 최근 4년과 비교하여 낮은 AOD 분포를 보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5,200원
        3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에서 1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7개 정점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분석과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영양염(DIN, DIP, Si(OH)4) 등의 환경요인 분석을 행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Chl-a)은 7월 (평균 15.4±4.3 μg/L)에 가장 높았고, 12월(평균 3.5±0.6 μg/L)에 가장 낮았다. 보조색소의 경우 fucoxanthin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 로 peridinin, Chl-b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월 변동은 Chl-a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결과, 규조류가 평균 70 %로 가장 우점하였으나, 일부 녹조류, 은편모조류, 와편모조류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종인 규조류는 특히 수온 및 N:P ratio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여름철 고온환경 및 육상으로부터의 영양염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종조성은 전반적으로 계절에 따른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 및 지형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강우로 인한 담수 및 영양염 공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800원
        39.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까지 1년간 우리나라 서남해안 함평만의 도리포에서는 조간대의 해조류 식물 군집과 가입리에서는 식용 해조류 가시파래의 월별 변동성을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된 해조류는 총 22종이었으며, 녹조류 5종, 갈조류 4종 그리고 홍조류 13종이었다. 함평만 도리포 암반 조간대에서 연간 우점하는 해조류는 구멍갈파래였고, 준 우점종은 잎파래와 애기가시덤불이었다.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수직분포는 잎파래 - 애기가시덤불 - 구멍갈파래 - 지충이었다. 가시파래의 생물량은 6월에 최대를 보였고 11월에 최소를 보였으며, 2.4∼98.2 g dry wt. m-2 범위를 나타냈다. 가시파래의 생물량은 수온과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영양염류 및 빛의 강도 같은 기타 환경요인과의 관계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4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증폭특성과 퇴적층 두께를 분석할 때 배경잡음을 이용한 HVSR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배경잡음을 관측할 때 풍속과 강수량의 변화가 HVSR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진계는 매설 깊이를 다르게 하여 포항기상대에 설치하였다. 지진계가 지표에 노출된 상태에서 배경잡음을 관측하고 분석하면 부정확한 HVSR 결과가 도출된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상황에서 관측한 배경잡음 또한 부정확한 HVSR 결과를 도출한다. 바람의 세기 3 ms−1 이하에서 배경잡음을 관측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지진계를 매설하면 강수량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HVSR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배경잡음 관측 시 지진계의 매설 깊이와 날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치환경과 관측환경을 제시함으로써 HVSR 분석 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 향상을 도모한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