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6

        2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ore-less cultivar Lentinula edodes ‘Daedam’ was bred from monokaryotic strains of ‘LE15401-24’ and ‘LE192118-1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Daedam’ on potato dextrose agar was 22~25oC. Total cultivation period of the new cultivar, from inoculation to its first harvest, was 134 day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Hwadam’. Total yield of ‘Daedam’ was 222g per 3kg substrate, and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266.0g). The fruiting body of ‘Daedam’ had a thick and small pileus and a longer stem compare to control cultivar. As a result of a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Daedam’ on the different substrate types, the biological efficiency was 26.7% in the 1.2kg cylindrical substrate(C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3kg rod-type substrate(RS). 'Daedam' had a similar yield compared to 'Hanacham' in first fruiting body production, but the cultivation period was 40 days shorter. Therefore, 'Daedam' can only harvest fruiting bodies once,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as spore-less oak mushroom cultivar for short-term cultivation instead of 'Hanacham' in mushroom farms.
        4,000원
        2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phenomenon of the biased cultivation of certain mushroom varieties and to develop a competitive variety of Pleurotus nebrodensis. We have collected and tested characteristics of genetic resources from domestic and overseas varieties since 2015. We bred the domestic variety ‘Boram’. The optimal temperature was 26~29oC for mycelial growth and 15~18oC for fruit body growth temperature. This variety was similar to the control variety (Uram) in terms of the number of cultivation days and yield per bottle. The shape of the new cultivar was round, whereas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patula-like. The yield was 181.1 g/bottle, which was statist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variety. When incubating the parent and control varieties, the replacement line was clear. Moreover,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mycelial DNA resulted in different band patterns between the parent and control varieties, confirming the hybrid species.
        4,000원
        25.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 절화장미의 양액재배 시 생장조절제 종류 및 처리농 도에 따른 생육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장미 ‘수려(Suryeo)’ 품종을 이용하여 동절기 양액재배 시 생장조절제인 BA, CCC, Kinetin, 4-CPA, TDZ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생장 조절제 중에 Kinetin, BA와 TDZ가 절화장미 ‘수려’ 품종 재 배생육에 영향을 주었다. Kinetin은 초장과 절화장이 길어지 고, 꽃잎수 및 상품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처리농도에 따른 영 향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BA는 절화장 및 절화 수확 일수가 짧아지고 절화수량이 많아지며, 수확량 및 비상품화율 도 높아져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TDZ는 생육억제와 상품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그 외 CCC와 4-CPA처리시 영향은 크 지 않았다. ‘수려’와 같은 장미에 동절기 생장조절제 처리시 생육과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Kinetin 처리가 효과적인 것 으로 보인다. 향후에도 동절기 절화장미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서 더 많은 생장조절제 처리 및 농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 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목선인장은 수출 화훼류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품목 으로 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된다. 품종 육성은 접목선인장에서 적색 외에도 다양한 색상의 품종이 요 구되어 접목선인장의 품종 개발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고자 밝 은 분홍색이 선명하고, 기호도가 좋은 ‘연실(YeonSil)’ 품종을 육성하였다. 접목선인장 ‘연실’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구 의 색상이 흑·분홍색인 ‘0105057’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같은 흑·분홍색인 ‘BP72’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은 실생 품종(등 록번호 제 3920호)이다. ‘연실(YeonSil)’은 편원형으로 구색 은 분홍색(RP N66B)에 돌출된 결각(tubercle)이 있는 모양 으로 대조구 ‘연시’보다 높은 기호도를 가졌다. 재배 방법을 달리하여 육성된 ‘연실’ 품종을 토경과 양액재배(저면매트를 활용한 양액급액)방법으로 재배 후 생육 특성을 검토하였다. 접목선인장 재배방법에 따른 토양재배와 양액재배 방법 간 생 육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양액재배에서 우수한 경향을 보 였다. 생육 중 저면 매트를 활용한 양액재배가 토경재배보다 생체중, 구폭, 구고, 구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 선인장 재배에서 토양재배는 뿌리썩음병 등의 병 발생 문제가 심각하여 저면매트를 활용한 양액재배가 토양재배를 대신하 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접목선인장에서 품종 개발과 함께 재배방법에 대한 일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6년 거베라 신품종 ‘샤이핑크 (Shy Pink)’를 육성하였다. ‘Shy Pink’는 2008년 10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녹색 화심의 분홍색 반겹꽃 ‘프리존’과 갈 색 화심의 살구색 반겹꽃 ‘아틸리아’를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72개체 중에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생육 및 개화특성검 정을 거쳐 선발한 절화용 대륜 거베라 품종이다. ‘샤이핑크 (Shy Pink)’는 화형이 안정적인 갈색 화심의 연분홍색(RHS R49A) 반겹꽃 대륜계 품종이다. 꽃은 평균 직경이 12.4cm이 고, 내부설상화와 화반의 직경은 각각 7.2cm와 2.3cm이다. 외부설상화의 길이와 폭은 각각 6.0cm와 1.2cm로 꽃잎이 좁은 도란형이다. 꽃대 직경은 상부 6.1mm, 중부 7.0mm 정 도로 강건하며, 꽃대의 길이는 48.9cm이다. 절화수명은 12.1 일로 대조구인 ‘하모니(Harmony)’ 12.0일로 유사하였지만 절 화수명이 길며, 연간 채화량은 52.8본/주로 다수성 품종이다.
        4,000원
        2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그린’은 숙기가 빠르면서 추위에 강해 수량이 많은 호밀 품 종을 육성하기 위해 육성한 품종이다. ‘조그린’의 출수기는 평균 4월 15일로 표준품종인 ‘곡우’보다 5일 빠른 조생종이다. 수확시 기의 초장은 117 cm로서 표준품종 ‘곡우’에 비해 6 ㎝가 컸고, ㎡당 경수는 983개로 ‘곡우’의 979개 보다 많은 편이었다. 내한성 및 흰가루병 등에 대한 내병성은 전국 4개 지역에서 3년간의 평 균이 0으로서 ‘곡우’와 같았으며, 내도복성도 3으로 같았다. ‘조 그린’의 건물수량은 ha당 8.1톤으로 ‘곡우’에 비해 4% 많았다. ‘조그린’의 조단백질 함량은 11.9%로 ‘곡우’ 보다 0.8% 낮았으 며, ADF와 NDF 함량은 각각 36.9%와 64.5%로 ‘곡우’보다 높았 다. 또한 TDN 함량은 낮았으나 TDN 수량은 ha당 5.09톤으로‘곡우’ 보다 많았다. ‘조그린’의 종실수량은 평균이 ha당 3.1톤으 로 ‘곡우’와 대등하였다. ‘조그린’은 내한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 국의 답리작 및 전작지대에서 추파에 의한 월동재배가 가능하다. 그러나 비료를 많이 주고 밀식을 하면 도복이 발생하여 수확작업 을 어렵게 하고 조사료 품질을 떨어뜨리므로 적정 파종량과 표준 시비량을 준수하는 것이 좋다.
        4,000원
        29.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toplasts were isolated from the primary leave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seedlings 10 days after in vitro germination. The leaves were stripped and incubated in an enzyme mixture consisting of 1.2% Cellulase R-10 and 0.3% Macerozyme R-10 in cell and protoplast washing solution (CPW) overnight. The average protoplast yield was 8.25 x 106 protoplasts per g of fresh leaf tissue. When protoplasts were cultured at a density of 3.0 × 105 protoplasts/mL in agarose solid KM8P/KM8 medium, first and second divisions were observed in the protoplasts within a week. Protoplast-derived microcolonies formed after 4 weeks of culture, and visible colonies were present after 3 months of culture. Protoplast-derived microcalli were transferred to Murashige and Skoog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kinetin and 0.1 mg/L NAA and incubated in the light for 3 weeks. They grew into callus, which then regenerated into plants after 7 weeks of culture. The regenerated plants grew as apparently normal flowering fertile plants.
        4,000원
        3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eeding date and performance of early maturing rye cultivars for the Dry matter yield (DMY) and nutritive value during 2016 and 2017 in Yeongseo region of Gangwondo,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field was designed as a split-plot arrangement. The treatments were two planting dates on September 25 and October 02 as the main plots, and two cultivars of forage rye including Gogu and Koolgrazer as sub-plots. The cultivars were harvested on April 26 at the heading stage of both years. In this experiment, the sowing dates and cultivars of the forage rye did not effect on DMY. The DM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of forage rye and seeding date of both years. Similar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MY of Gogu and Koolgrazer in both seeding date and years. The CP, NDF, ADF, and RFV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of forage rye and seeding date of both years. Considering the DMY and nutritive value of the current experiment, seeding of forage rye cultivars Gogu and Koolgrazer on September 25 and October 2 could be used as an recommended seeding date at northern area. In addition, based on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oth cultivars had relatively similar forage yield and quality that makes them to be recommended for cultiv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DMY was first presented in Yeongseo region where there is no cultivation data for forage rye.
        4,000원
        39.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국화 ‘솔라에그(등록번호 8569)’는 2015년 경상남도농 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분홍색 ‘포인트에그’를 감마선 처리 를 하여 육성하였다. 특성검정과 형질 안정성은 2017년에서 2018년까지 3회를 수행하였다. ‘솔라에그’는 분홍색 꽃잎(54D) 과 적자색 중심부(59B)를 가진 ‘아네모네’ 형태이다. 꽃과 잎 색깔과 모양에서는 ‘솔라에그’와 ‘포인트에그’ 간의 차이는 거 의 없었다. ‘솔라에그’의 식물체와 개화 연구에서 조명과 억제 재배를 했을 때 약 42일로 개화소요시간은 비슷했다. 그러나 초장, 꽃 크기, 꽃 중심부 크기와 착화수에서 ‘포인트에그’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자연재배조건에서 꽃 크기 는 4cm으로 대조품종과 비교했을 때 컸다. 국화 품종에서는 꽃의 크기가 상업적으로 중요한 형질이다. ‘솔라에그’의 표현 형과 개화기 연구와 비교하여 배수성, RAPD, 세포 크기 및 수 분석을 하였다. 이들 결과에서는 표현형의 변화는 작은 유전 적 변이와 세포 분열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중형 크기의 ‘솔라에그’는 분화국화로 이용되며 농가의 평균소득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40.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ddybell’ is a promising crabapple variety developed as a pollinizer at the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in 2019. This variety was selected from seedlings obtained by natural crossing of Malus baccata. It was collected from Mt. Jeombong, Inje-gun, and Gangwon-do. Line selection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6,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from 2009 to 2010. Tree vigor and tree form of ‘Buddybell’ were medium and upright, respectively. The first flowering time was early, around April 16, and the flowering period was as long as 14 days. The flowers of ‘Buddybell’ were pink in the balloon stage and white in full bloom. ‘Buddybell’ has a high fruit setting rate with major apple varieties(‘Fuji’, ‘Hongro’, and ‘Tsugaru’). The amount of pollen weight per 1,000 inflorescence of ‘Buddybell’ wa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Maypole'; hence, it is highly useful as a pollinizer in apple orchard. ‘Buddybell’ was officially applied for variety protection on Korea Seed & Variety Service in 2020 (Application no.2020-237).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