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21.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라오스지역에서 분포하는 미소 나방인 Promalactis vittapenna종을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미기록 종의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 정보,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제시하였다. 또한, 라오스 전체 종에 대한 분류학적 키를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2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rine red algal species was collected from Uljin, located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during a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This alga shares the generic features of Plocamium, and is characterized by linear, flat and thin thalli with narrow axes, branches developing in alternating pairs from margins of the axes, two to four times alternately pinnately branching, linear or occasionally adaxially curved lowermost branchlets and distinctly and compactly clustered stichidia.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e Korean alga nests in the same clade as P. serrulatum.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both sequences within the clade was calculated as 0.0-0.2%.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is Korean species is identified as P. serrulatum described originally from Taiwan.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serrulatum in Korean marine algal flora.
        4,000원
        3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Macrobathra속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며, 본 속에 속하는 1종(M. quercea Moriuti, 1973)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정확한 분류 동정을 위해 외부형태학적 특징을 검경 및 도해하고, 성충 및 생식기 사진, 분포정보 및 기주식물 등의 정보를 제시하였다.
        3,000원
        3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rine green algal species (Chlorophyta) was collected from the eastern coast of Korea. It i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monostromatic thallus, usually undulate and entire margins, cap-like chloroplast and several pyrenoids per cell.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molecular data, the Korean alga nests in the same clade as Monostroma alittorale originally described from Japan, as a sister clade of M. grevillei from France. The genetic distance for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among Monostroma species ranges from 2.3% to 38.2%. The value between the Korean entity and M. alittorale was calculated as 0.01%, considered to be intraspecific divergence. This Korean entity is identified as Monostroma alittorale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M. alittorale in Korea.
        4,000원
        3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금강수계의 하구역에 위치한 하제항 암벽으로부터 기중성 남세균이 채집되어, 단조류 배양되었다. 2개의 남세균 배양주로부터 형태적 형질과 TEM에 의한 세포 미세구조 특징을 관찰하였다. 또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규명하여 BLAST 검색, 염기서열 유사도, 유전거리 및 계통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배양주는 Wilmottia murrayi와 계통학적으로 동일한 clade를 형성하였고, 99%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냈다. TEM을 통한 세포 미세구조는 틸라코이드가 여러겹으로 세포막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Coleofasciculaceae과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W. murrayi를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4,000원
        4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tesia Cameron is a cosmopolitan genus of the subfamily Microgastrinae. This genus comprises more than hundreds of species (Whitfield et al., 2009). The members of the genus Cotesia parasites on larvae of Macrolepidoptera: Noctuidae, Geometridae and Saturniidae (Achterberg & Polaszek, 1996; Whitfield et al., 2009). Previously, 33 Korean species of the genus have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researchers (Kim, 1963; 1970; Ku et al., 2001; Papp, 1974; 1990; 2003). In this study, Cotesia urab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Diagnosis, distribution, and host information are provid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