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첨가 배추김치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를 에서 21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유리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GABA 함량도 대조구와
        22.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종류의 약용식물(당귀, 목통, 골담초)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여 건강 식품의 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3종류의 한약재중 물추출물의 수율은 목통()>골담초()>당귀()의 순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의 수율은 목통()>당귀(), 골담초()의 순으로서 목통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 300-1,000 ppm에서 당귀가 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
        23.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증자시간, 볶음온도 및 볶음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회귀식의 는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pH 3.0)에서 각각 0.9356, 0.9578 및 0.9436으로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성 성분의 최대값은 증자시간 135.59분, 볶음온도 및 볶
        24.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솔잎발효추출물(PEE)과 에탄올추출물(PE 80, PE 50)로 효소적 저해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솔잎발효 추출물인 PEE가 솔잎 에탄을 추출물 PE 80과 PE 50에 비해 약 5∼38%정도 저해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XOase 저해효과는 PFE가 62.77%, PE 80이 64.90%, PE 50이 55.91%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
        25.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tyrosinase 저해, xanthine oxidase 저해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열수, ethanol, methanol 그리고 acetone등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과 30 kGy로 조사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모두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 후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는 열수 추출물보다
        26.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작용 및 대두유에 농도별(0.5, 1 및 5%)로 첨가하여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pH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H 1.2의 경우 100 /mL의 농도에서 80%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작용은 50 /mL의 농도에서 약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목초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두유를 control로 사용하였고, 0.1% BHT를 첨가한 대두유는 비교군으로 사
        27.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28.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재배한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 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의 물추출물에서 37∼47%였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 57∼70%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19∼48%로서 균사체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29.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 부위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용매 중 활성이 높게 나타난 메탄올 추출물을 비극성∼극성 용매별로 계통분획한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잎은 80%, 씨를 제거한 과실 81%, 과피 73% 및 종자 63%로 아질산염 소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과 씨를 제거한 과실의
        1 2